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81개의 기록물
  • [2023 학산마당극놀래] 마당을 함께 열다 - 마당깨비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마당을 함께 열다 장 르|탈춤극 참여팀 |'마당깨비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아이들이 마을에서 놀고, 배우고, 즐기며 쑥쑥 자랄 수 있는 마당으로, 초2부터 중3까지 다양한 연령의 아이들이 함께 어울리며 마을과 이웃으로 문화적 시선을 확장하고 있다. 출연진 |이규석, 김운주, 김지윤, 배흐저드, 연승후, 우성민, 울르즈백, 이서우, 자르니고르, 전가람, 정하준, 최서윤, 최윤경, 최윤서 연계단체| 공연단체 위로(강사 차은선) 작품소개|어려운 일이 생길 때 우리는 어떻게 헤쳐나갈까요?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민하던 말썽쟁이 도깨비들은 '마당'을 떠올린다. 마당깨비들과 함께 열어 갈 마당 이야기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귀신씨나락까먹는 소리 - 둥우리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귀신씨나락까먹는 소리 장 르|거대인형극 참여팀 |'둥우리'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학산마당극놀래 10주년을 맞아 2015년에 활동하였던 동아리원들과 신규 회원들이 의기투합해서 뭉쳤다. 지역의 이야기와 이슈를 중심으로 한 공연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출연진 |이영남, 김성수, 김태봉, 문다비다, 신영순, 이인숙 연계단체| 극단 미추홀 (강사 김범수) 작품소개|승기화장터 동창 모임이 있는 날. 하나 둘 날아든 귀신들의 씨나락 까먹는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동창 모임이 한 창인데... 그때, 길을 잘 못 찾아든 개 한 마리가 나타난다. 전세 사기를 당해 죽은 주인을 지키지 못해 억울해 하는 개의 사연을 들은 망자들은 넋을 기리며 자손들의 안녕을 기원하고 다시 길을 떠나는 이야기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두 개의 항아리 - 마냥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두 개의 항아리 장 르|연극 참여팀 |'마냥'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인천시각장애인복지관과 연계하여 시각장애인으로 구성된 동아리. 자전적 이야기와 장애인식 개선 등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창작 작품으로 많은 공감과 호응을 받고 있다. 출연진 |김월랑, 박신영, 김광열, 박은실, 이금희, 이혜란, 임순자 연계단체|예술공작소 웃다짓다 (강사 오지나) 작품소개|육아는 어렵다. 시각장애인 순진에게 육아는 더더더욱 어렵다. 장애인, 비장애인이 모두 공감할 수밖에 없는 순진의 육아 투쟁기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엄마의 의자 - 어벤져수봉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엄마의 의자 장 르|입체낭독극 참여팀 |'어벤져수봉'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어벤져스의 영웅들처럼 60대부터 17살 청소년까지 함께 하는 다재다능한 동아리원들이 모였다. 특정 나이대 뿐 아니라 가족 등 전 세대가 생각해봐야 하는 ‘치매’에 대한 이야기에 주목하고 있다. 출연진 |민후남, 김소향, 김순옥, 김현자, 배종대, 이명주, 이서율, 이선옥 연계단체| 극단 핸즈온 (강사 오연주) 작품소개|치매에 걸린 엄마와 그 엄마를 돌보는 가족들. 그리고 그들의 울타리가 되어주는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그들이 보여주고 들려주는 입체낭독극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슬기로운 관악부 생활 - 인기공 관악부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슬기로운 관악부 생활 장 르|음악극 참여팀 |'인기공 관악부'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와 연계하여, 오랜 역사와 전통이 있는 관악부의 학생들이 전체 참여했다. 악기 연주와 더불어 청소년들의 이야기가 있는 공연 작품을 만들어 선보였다. 출연진 |김현성, 고지명, 곽근우, 김건영, 김민철, 김은빈, 김준호, 김태인, 문우준, 박성환, 박우찬, 박지민, 박진서, 박현준, 서영준, 오창영, 용석민, 유세현, 윤승준, 윤영범, 이동민, 이서중, 이승민, 이승혁, 이신우, 이용훈, 이태규, 장동훈, 정우진, 조성우, 조원호, 조현준, 최유민, 최윤, 친군, 한용준, 함세규, 황현민 연계단체| 극단 아토 (강사 김유미) 작품소개|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관악부원들이 동아리 생활을 하며 겪었던 일들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갈등과 화해를 통한 화합의 과정을 담아낸 음악극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비, 그리고 동양장 사거리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비, 그리고 동양장 사거리 장 르|연극 참여팀 |'아름다운비행'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2017년에 결성된 주안6동 ‘늴리리야’ 동아리 회원들과 2021년부터 학산생활문화센터로 활동기반을 옮겨 활동을 확대하였으며, 시민 펀딩과 정기 공연을 준비하며 활동을 심화하고 있다. 출연진 |김찬주, 박상용, 박신열, 오세익, 윤경진, 이하늘, 정지훈, 최미자, 한주연 연계단체| 예술처房(방) (강사 김은미) 작품소개|지금은 흔적도 남지 않고 헐린 옛 동양장. 그럼에도 우리들은 아직 ‘동양장 사거리’라 부른다. 동양장 사거리의 추억을 공유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마당예술동아리 #학산마당극놀래 #시민창작예술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Tấm Cám(콩쥐팥쥐) - 클로벌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Tấm Cám(콩쥐팥쥐) 장 르|음악극 참여팀 |'클로벌'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미추홀구가족센터와 연계하여 다문화 가정 여성들로 구성된 동아리. 세계를 뜻하는 글로벌(Global)과 행운을 상징하는 클로버를 합쳐 동아리명을 지었으며, 다양한 장르의 창작극에 도전하고 있다. 출연진 |VŨ NGỌC DIỆP 원혜진, NGUYỄN DIỄM PHI 응웬젬피, HOÀNG THƯƠNG 한리아, VÕ THỊ TRÚC MY 버티쭉미, TRẦN THỊ THÙY DUNG 전민경, NGUYỄN THỊ PHƯƠNG LINH 응웬티프엉린, NGUYỄN THỊ MAI 응웬티마이, ĐỒNG NGỌC HÂN 동응옥한 연계단체| 극단 아토 (강사 한지은) 작품소개|아버지를 여의고 슬픔에 빠진 Tấm에게는 새어머니와 여동생 Cám이 남았다.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꿋꿋하게 견디며 하루하루를 보내는 Tấm. 그리고 그런 소녀를 도와주는 이들이 나타난다. 어디선가 들어 본 듯한 이야기! 베트남 전래동화 Tấm Cám!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호모코로나쿠스의 탄생 - 어수선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호모코로나쿠스의 탄생 장 르|연극 참여팀 |'어수선'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어질고, 수려하고 선한 사람들의 줄임말인 ‘어.수.선’. 도화동 아파트 단지와 연계로 시작하여, 아파트 축제와 인천 시민연극제에도 참여하는 등 마을과 지역에서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출연진 |조현경, 조영호, 김명순, 김태은, 김행화, 김현주, 안정순, 정계선, 조형란, 황순녀 연계단체| 예술공작소 웃다짓다 (강사 오지나) 작품소개|인간들의 땅따먹기로 동물들은 터전을 잃고 그로 인해 세상은 코로나로 고민이다. 반복되는 팬데믹, 엔데믹에 인간들은 새로운 인간형에서 해답을 찾는다. 일명 호모 노코로나! 코로나를 소재로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판타지 연극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3 학산마당극놀래] 크게숨쉬기 ||| - 학나래두드림 공연영상
    제 10회 시민창작예술축제 학산마당극놀래 - '동행 그리고 공감' 작품명 |크게숨쉬기 ||| 장 르|난타극 참여팀 |'학나래두드림 마당예술동아리 동아리소개|학익1동 행정복지센터와 주민자치회, 문화원 간 협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난타 뿐 아니라 마칭반으로 확대하여 ‘학나래 종점축제(학익1동 마을축제)’등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출연진 |이재혁, 김태순, 권은숙, 김복자, 김영란, 민경자, 이경희, 이정금, 임정숙, 정지선 연계단체| 풍물패 더늠 (강사 반승환) 작품소개|2017년 ‘크게숨쉬기||’를 재해석한 작품으로, 저어새와 나비 그리고 인간이 함께 살아가던 중 기계화와 공장 등 각종 오염물질을 배출하여 자연이 파괴된다. 그러한 모습을 볼 수 없었던 영웅이 자연을 회복시켜 예전처럼 다 같이 함께 살아간다는 내용을 담은 난타극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3
  • 2024 제11회 학산마당극놀래 현장스케치 영상
    2024년 제11회 학산마당극놀래 현장스케치 영상입니다. 
    #마당예술동아리 #시민창작예술 #학산마당극놀래
    생산일자 2024.12.24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