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민간아카이브 (6)
      • 시민단체
      • 지역공동체
      • 개인
      • 기업
      • 종교단체
      • 교육기관
    • 공공아카이브 (4)
      • 공기업
      • 지방자치단체 산하
      • 정부부처 산하
      • 국·공립대학 산하
    • 인권·복지 (5)
      • 노인복지
      • 동물복지
      • 페미니즘
      • 인종차별 반대
      • 아동·청소년
    • 사회 (8)
      • 공동체
      • 교육
      • 주거
      • 지역
      • 재난
      • 언론
      • 전쟁
      • 퍼블릭 데이터
    • 예술 (10)
      • 건축
      • 미술
      • 문학
      • 연극·뮤지컬
      • 무용
      • 음악
      • 사진
      • 국악
      • 디자인
      • 영화·애니메이션
    • 문화 (3)
      • 언어
      • 종교
      • 스포츠
    • 생활 (2)
      • 가족
      • 여행
    • 환경
    • 학술
    • 역사
    • 인물
    • 기업
    • 과학
    • 메타버스
    • 미분류
  • 시기분류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남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프리카
    • 아프리카 level = 1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level = 1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6 , provenance = 유럽
    • 유럽 (6)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영국
      • 영국
      • level = 2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러시아
      • 러시아
      • level = 2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일랜드
      • 아일랜드
      • level = 2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독일
      • 독일
      • level = 2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프랑스
      • 프랑스
      • level = 1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아시아
    • 아시아 (4)
        level = 2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중국
      • 중국
      • level = 2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level = 2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일본
      • 일본
      • level = 2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필리핀
      • 필리핀
      • level = 1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2)
        level = 2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국
      • 미국
      • level = 2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캐나다
      • 캐나다
      • level = 1 , index = 18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23개의 기록물
  • ASEAN Culture Heritage Archive ACHDA
    ASEAN Cultural Heritage Archive https://heritage.asean.org/ The ASEAN 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e (ACHDA)는 ASEAN의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 유산을 기념하고 모범적인 공예품과 진정한 보물을 전시합니다. ACHDA는 ASEAN이 사랑하는 문화 유산을 온라인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공유된 ASEAN의 문화 유산에 대한 인식과 감상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18년 2월 시작된 ACHDA는 ASEAN Senior Officials for Culture and Arts (ASEAN 문화 예술 고위 공무원·SOMCA)의 후원으로 가능하게 되었으며  Japan-ASEAN Integration Fund (일본-ASEAN 통합 기금·JAIF)를 통해 일본 정부의 지원을 받습니다.   ACHDA는 인도네이사, 말레이시아 및 태국에서 160개 이상의 항목을 디지털화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ACHDA는 ASEAN 국가들의 문화 공예품을 포함하기 위해 디지털화 노력을 계속할 것입니다.      
    생산일자 2018.02.00
  • ASIAN ART ARCHIVE
    ASIA ART ARCHIVE https://aaa.org.hk/      ASIA ART ARCHIVE (AAA)는 아시아의 최근 미술에 관한 지식의 수집, 생성 및 공유를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풍부하게 하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촉매제입니다.    웹사이트와 현장 도서관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아시아 미술의 최근 역사에 관한 가장 가치 있는 성장 자료 컬렉션 중 하나를 통해 AAA는 연구, 레지던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을 집합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도구와 커뮤니티를 구축합니다.    
    생산일자 2000
  • Syrian Archive
    아카이브 방문하기 Syrian Archive는 시리아 내 모든 분쟁 관련 당사자가 저지른 인권 침해 및 기타 범죄를 기록하고 보존하며 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인권 옹호, 정의, 책임 추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분석하여 사건을 재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생산일자 2014
  • 우토로마을 아카이브
    우토로마을 아카이브 https://utoro.kin.or.kr/ 우토로마을 아카이브는 우토로마을에 '우토로평화기념관'을 준비하면서 우토로마을의 유물과 기록물들을 수집한 디지털 아카이브로 2018년부터 진행했습니다. 뜻밖의 코비드19상황으로 정상적인 진도를 나갈 수는 없었지만, 그동안 한국과 일본에서 수집하고 만든 기록물들을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우토로마을을 지키는 운동은 주민들의 인권을 지키는 문제이자 마을과 운동의 역사를 잘 보존하고 알리는 운동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토지를 매입하고 마을만들기를 계획할 때부터 자그마한 자료관이라도 있어야 한다는 바램은 주민들뿐만 아니라 우토로를 지원하는 한,일,동포들의 모두의 것이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구축한 DB는 총 6,742건으로 공개한 기록물은 530여건입니다. 아직 목록화하지 못한 일본 현지의 수집물을 포함하면 7천여건이 넘는 기록물과 유물이 수집된 상태입니다. 콘텐츠와 관련한 기록물만을 현재 공개한 상태이므로 아카이브 전체를 이해하시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우토로마을을 알리는 ‘온라인 전시관’을 지향하며 차근차근 내용을 채워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우토로마을의 변해가는 모습과 주민들의 일상을 늘 가까이에서 기록으로 남기고 계시는 나카야마 가즈히로씨(우토로를 지키는 모임)의 작업은 콘텐츠들을 더욱 돗보이게 하였습니다. 한결같은 기록작업에 경의를 표하며 감사드립니다. 공개된 기록물들과 사진, 영상들 대부분은 기증을 통해 수집된 것입니다. 따라서 저작권 등의 보호를 위해 일부 사진과 영상물은 사용에 대해 제한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생산일자 2021.02.17
  • 종로노인종합복지관 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은 복지관 활동과 관련된 2774건 자료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아카이브’를 새로 런칭했다. 정관스님은 “디지털 수용성 향상을 위해 디지털 센터를 운영하고 스마트 봉사단을 확대 하는 등 시스템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올 한 해 회원 주도의 기관 운영에 중심을 두고 주요 사업과 행사를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336
    생산일자 2022.12.00
  • 12·3 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하기 12·3 계엄사태와 민주주의 위기-수호와 성숙을 위한 아카이브는 대한민국의 현대사에서 중요한 민주주의 위기 사건을 기록하고 보존하기 위해 만들어진 디지털 아카이브입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대학원생들과 이 대학원 출신 기록학 연구자 등 30여 명이 협력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2·3 의 사건과 민주주의의 위기 및 대응 과정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제공합니다. 이 아카이브는 사건의 배경, 전개 과정, 주요 인물, 미디어 보도, 시민사회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아카이빙하여, 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생산일자 2025.01.03
  • 1997 외환위기아카이브
    1997 외환위기아카이브 https://97imf.kr/ 1997 외환위기아카이브는 '우리가 사는 세상은 왜 '이 모양'이 되었나'라는 단순한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양극화, 불안정한 노동, 노인빈곤과 청년세대의 전반적인 불안. 지금 한국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들의 근원이 무엇일까. 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IMF관리체제는 이러한 변화의 중요한 기점이었지만, 우리는 이 '흑역사'를 제대로 마주한 적이 없습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2017년부터 IMF에 20년이 지난 기록들에 대한 비밀해제를 요청하고, 국가기록원에 찾아가 당시 관료들이 남겨놓은 기록을 수집해 디지털화 했습니다. 기업, 노동계, 연구기관, 언론보도 등 웹 상에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외환위기의 기록을 먼저 살펴보았던 연구자 선생님을 찾아가 기초자료들을 기증받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총 5,300여건의 자료가 아카이브에 1차로 등록되었고,(2019/8/30) IMF측에서 비밀해제 작업 후 송부한 기록 609건이 2차로 등록되었습니다.(2020/12/3) 그러나 아직까지도 한국정부가 처음 구제금융을 논의한 한국은행의 보고서, 협상 당시 재정경제원에서 생산한 60철 분량의 공문 등. 많은 주요한 기록들이 보존되지 않거나 비공개되어 일반에 공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카이브를 통해 더 많은 기록들이 공유될 수 있도록 비밀해제 요청과 수집 작업은 주기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외환위기는 찰나의 시기로 남아있습니다. 한국이 큰 불황을 겪었다가 빠르게 극복한 사건, 국민들이 마음을 합쳐 금모으기 운동을 펼쳤던 순간으로 기억되곤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외환위기가 왜 발생했는지, 위기를 해결하는 방식은 무엇이었는지, 그 모든 과정이 우리의 삶과 일상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좀 더 깊이 토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카이브 내의 다양한 콘텐츠들은 이러한 고민에서 기획되었습니다. 재벌, 금융, 실업, 문화현상 등 외환위기와 관련한 다방면의 논의를 계속해서 소개할 예정입니다. IMF를 직접적으로 겪지 않은 사람들도 아카이브를 통해서 다양한 이야기와 시각들을 접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생산일자 2019.08.30
  • 4.16 기억저장소
    4.16기억저장소 http://www.416memory.org 4.16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놓치지 않고 기억하고 기록하며 행동하는 비영리 민간기록관리기관입니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304명의 꿈과 삶,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과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유가족들과 시민들의 노력을 기억하기 위해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이들과 부모, 형제자매, 지인들의 삶의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합니다.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우리들의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출처 : 4.16기억저장소)    
    생산일자 2019.04.12
  • 5.18 세계기록유산 컬렉션
    5·18 세계기록유산 컬렉션 https://www.518archives.go.kr/518collection/main.do 5·18 세계기록유산 컬렉션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 동안 광주에서 일어난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기록 저장소입니다.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가 보여주었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담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기록들은 광주시민들의 노력으로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적 기록들을 보존하기 위해 2015년 설립되어 지속적으로 기록물들을 수집, 전시, 연구하고 있습니다.
    생산일자 2021.05.13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5·18민주화운동기록관 https://www.518archives.go.kr/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적 기록들을 보존하기 위해 2015년 설립되어 지속적으로 기록물들 을 수집, 전시, 연구하고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 동안 광주에서 일어난 시민들의 의로운 항쟁이며 대한민국을 지 금의 민주주의 국가로 만든 역사적인 운동입니다.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가 보여주었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담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기록들은 광주시민들의 노력으로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5·18민주화운동은 현재까지도 진실규명에 대한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의 역사가 간직한 아픔을 치유하고, 진실규명과 더불어 5·18민주화운동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해 기록물DB화 및 국제 교류 활동 등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폄훼로부터 진실을 알리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역사가 바로 설 수 있도록 노력하고,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를 이어가는 소통과 화합의 공간이 되도록 힘쓸 것입니다. 이곳을 방문해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역사를 간직한 곳임을 잊지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생산일자 2015.05.13
    12345

DADA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