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민간아카이브 (6)
      • 시민단체
      • 지역공동체
      • 개인
      • 기업
      • 종교단체
      • 교육기관
    • 공공아카이브 (4)
      • 공기업
      • 지방자치단체 산하
      • 정부부처 산하
      • 국·공립대학 산하
    • 인권·복지 (5)
      • 노인복지
      • 동물복지
      • 페미니즘
      • 인종차별 반대
      • 아동·청소년
    • 사회 (8)
      • 공동체
      • 교육
      • 주거
      • 지역
      • 재난
      • 언론
      • 전쟁
      • 퍼블릭 데이터
    • 예술 (10)
      • 건축
      • 미술
      • 문학
      • 연극·뮤지컬
      • 무용
      • 음악
      • 사진
      • 국악
      • 디자인
      • 영화·애니메이션
    • 문화 (3)
      • 언어
      • 종교
      • 스포츠
    • 생활 (2)
      • 가족
      • 여행
    • 환경
    • 학술
    • 역사
    • 인물
    • 기업
    • 과학
    • 메타버스
    • 미분류
  • 시기분류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남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프리카
    • 아프리카 level = 1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level = 1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6 , provenance = 유럽
    • 유럽 (6)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영국
      • 영국
      • level = 2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러시아
      • 러시아
      • level = 2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일랜드
      • 아일랜드
      • level = 2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독일
      • 독일
      • level = 2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프랑스
      • 프랑스
      • level = 1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아시아
    • 아시아 (4)
        level = 2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중국
      • 중국
      • level = 2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level = 2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일본
      • 일본
      • level = 2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필리핀
      • 필리핀
      • level = 1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2)
        level = 2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국
      • 미국
      • level = 2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캐나다
      • 캐나다
      • level = 1 , index = 18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7개의 기록물
  • 제천간디학교 역사기록전시관 이음
    아카이브 방문하기 제천간디학교는 충북 제천시 덕산면 약초로 561(선고1리 92-3)에 위치한 비인가 대안학교입니다. 개교 25주년을 맞이하여 개교 이후의 문서, 사진, 영상, 음원 등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웹수장고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안교육과 간디학교에 관심을 갖고 있는 방문자들과 대한민국 대안교육을 연구자들을 위하여 전시관의 모든 자료는 무료로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기록 전체 목록과 목록 내 검색 서비스, 주제별 컬렉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생산일자 2022
  • 점, 선, 면 종로
    아카이브 바로가기 2023년 서울특별시 종로구에서 주민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공개한 '점, 선, 면 종로' 아카이브이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한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의 최종 결과물로 산출된 이번 아카이브는 주민이 직접 지역 자원을 연계하여 관내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발굴에 초점을 맞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본 디지털 아카이브는 포털 사이트나 종로교육포털 배너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이 아카이브를 통해 종로구의 새로운 모습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생산일자 2023.12.00
  • 상주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 상주시는 2020년 역사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2021년부터 매년 민간 기록물 수집을 위한 '상주 역사기록 찾기' 공모전을 수행했다. 2022년 역사기록관리시스템에 관리 중인 기록물을 분류하고 홈페이지와 연계하는 아카이브 서비스 체계 구축을 완료했다. 상주아카이브는 상주시청 누리집을 통해 제공되며, 기록물을 볼 수 있는 '기록마당'과 수집하기 위한 '내 파일 기증', '기록물(유물) 기증'으로 구성된다. 기록마당에서는 상주시와 상주문화원에서 생산한 발간자료와 읍면동 단위 마을 기록이 제공되며, 마을 이야기 콘텐츠를 함께 제공한다. 내 파일 기증은 휴대전화 등 디지털기기로 촬영한 자료를 기증하고, 기록물(우물) 기증은 고문서와 고서적 등을 기증 신청하는 기능이다. 기록물 기증 건에 대해서는 상주박물관과 함께 기증 및 기탁 절차를 밟게 된다. 출처 : 상주의 소리(http://www.sangjusori.co.kr/index.php?mid=board_pueP82&document_srl=21640)
    생산일자 2023.09.00
  • 서울기록원
    아카이브 방문   아카이브는 열정적인 수집가이며, 완고한 문지기인 동시에 친절한 안내자입니다. 세계의 모든 아카이브는 이 세 가지 일을 위해 노력을 기울입니다. 한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지방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서울기록원도 같은 일을 합니다. 2019년 문을 열고 몇 년 간 힘을 쏟았던 모든 일도 세 개의 일로 모입니다. 열정적인 수집가로 서울기록원은 시정 100년의 역사에서 영구적으로 보존해야 하는 35만권의 기록을 이관하여 보존서고에 넣었습니다. 그 기록들은 경북 청도의 서울특별시 문서보존소에서 수십 년 동안 격납되어 있던 것이었습니다. 과거의 기록을 오늘의 서울로 옮겨와 미래의 활용을 위한 새로운 질서와 체계로 정리했습니다. 한편 서울을 사랑하는 시민들이 스스로 쓰고, 만든 기억과 기록을 모으기도 했습니다. 시민의 기억과 기록은 서울 기록의 중요한 한 축입니다.   완고한 문지기로서 역사적인 기록의 영구적인 보존을 위한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온습도 관리 등 기본적인 환경 조성부터 바스러지고 상처 입은 기록을 온전히 복원하기 위한 일도 중단없이 했습니다. 물리적으로 훼손된 기록을 새것처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다만 “변형하거나 왜곡하지 않으면서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은 창조만큼이나 고귀한 일”이라는 프란시스 베이컨의 말을 우리의 보존 복원 업무에서 중요한 지침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친절한 안내자로서 서울기록원은 아카이브 전시의 고유한 문법을 고민했고, 소장 기록의 ‘울창한 숲’을 탐험할 수 있는 기록 카탈로그와 가이드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시민이 원하는 행정 정보를 공개하고, 학술 연구와 조사의 재료가 되는 기록을 제공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더불어 문화로서의 기록을 알리고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을 만나 기록문화의 새로운 지향을 엿보기도 했습니다. 시민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기록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었습니다. 서울기록원이 첫발을 내디디고 여러 지역에서 새로운 아카이브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반가운 일입니다. 어딘가에서도 아카이브를 마음에 품고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아카이브의 친구가 생기는 일을 환대와 연대의 마음으로 반깁니다. 전 지구적인 감염병의 위기로 계획했던 일을 다 하지는 못했지만 우리는 몇 가지 이정표를 만들었습니다. 한국에서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들고 시작한 여정 자체가 우리에게는 큰 보상일 것입니다. 우리는 서울기록원에서 경험한 성공과 시행착오를 돌아보며 새로운 市政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아카이브는 모으고, 보존하여 누리는 일에 계속 집중하겠습니다. 그 일은 아카이브의 변하지 않는 사명입니다. 처음 서울기록원의 문을 열 때의 다짐 그대로 우리는 아카이브의 일을 하겠습니다.
    생산일자 2019
  • DiSAF
    아카이브 방문 "대학 생활의 마침표가 될 졸업은 상명의 젊은 예술가들에게 더 멋진 도약과 풍부한 작품세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갈 새로운 출발로 이어집니다. 상명대학교는 지난해 처음으로 상명의 젊은 예술가들이 완성한 졸업 작품을 온라인으로 한 자리에 모아 전시함으로써 많은 이들에게 문화적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작품 세계에 대한 풍부한 상상을 키워나가게 해줄 DiSAF(Digital Sangmyung Art Fair)의 문을 열었습니다. DiSAF에서는 상명의 젊은 예술가들이 대학 생활에서 익힌 지식, 경험 그리고 열정이 농축된 졸업작품을 모아 전시합니다. 배우고 고뇌하고 창작하며 선도하는 상명의 예술가들 그리고 그들을 만날 수 있는 DiSAF가 새로운 영감의 원천과 소통의 장이 되길 희망합니다." 출처: https://disaf.smu.ac.kr/disaf2022/contact/disaf.do
    생산일자 2022.02.07
  • 햇살배움터 아카이브
    햇살배움터 아카이브 https://sne.osasf.net/ 햇살배움터 아카이브는 마을과 학교가 서로 돕는 지속가능한 농촌마을교육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아카이브입니다. 농촌마을에서 자신의 진로를 찾고, 뿌리 내리고, 살고 싶어하는 청소녀/소년들이 많아져야 농촌마을에 미래가 있습니다. 마을에서 친구, 선배, 추억, 꿈을 찾을 수 있는 교육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햇살배움터마을교육연구소는 마을의 다양한 배움터에서 일어나는 교육 이야기, 청소년 친구들이 마을 안에서 마을을 통해 자라나는 이야기를 기록하고 기억하고자 합니다.  
    생산일자 미상
  • 충청북도 교육청 폐교 역사 자료 아카이브
    충청북도 교육청 폐교 역사 자료 아카이브 http://oldschool.cbe.go.kr/contentManView.do 충청북도 교육청 폐교 역사 자료 아카이브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자칫하면 잊혀지기 쉬운 그때의 아련하고 소중한 추억을 영원히 간직하고 기억하기 위해 충북지역 폐교의 다양하고 소중한 자료들을 기존의 책자형태에서 e-Book으로 디지털화하여 새롭게 자료를 모은 아카이브입니다. 1982년 이후 충북지역의 폐교는 253개교로 매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어린시절 친구들과 손잡고 뛰어놀며 공부하던 학교가 학생수 감소와 도시로의 인구전출로 폐교라는 과정을 거쳐 역사속으로 하나 둘 사라지고 있습니다. 동문들과 지역사회의 도움으로 수집된 소중한 폐교자료 기록들은 향후 지역에서 사회·문화적으로 소중한 문화유산과 지역사회의 구심체로서의 학교를 다시 한번 돌이켜 보는 소중한 자료가 될거라 확신합니다. 앞으로도 자료수집과 폐교역사자료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활성화 될수 있도록 동문들과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도움을 기대하며, 새롭게 디지털화하여 탄생한 폐교역사자료 아카이브를 통해 폐교의 발자취들이 모두가 행복한 충북교육을 만들어가는 내일의 희망 디딤돌이 되길 기원합니다.
    생산일자 2020.11.23
    1

DADA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