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민간아카이브 (6)
      • 시민단체
      • 지역공동체
      • 개인
      • 기업
      • 종교단체
      • 교육기관
    • 공공아카이브 (4)
      • 공기업
      • 지방자치단체 산하
      • 정부부처 산하
      • 국·공립대학 산하
    • 인권·복지 (5)
      • 노인복지
      • 동물복지
      • 페미니즘
      • 인종차별 반대
      • 아동·청소년
    • 사회 (8)
      • 공동체
      • 교육
      • 주거
      • 지역
      • 재난
      • 언론
      • 전쟁
      • 퍼블릭 데이터
    • 예술 (10)
      • 건축
      • 미술
      • 문학
      • 연극·뮤지컬
      • 무용
      • 음악
      • 사진
      • 국악
      • 디자인
      • 영화·애니메이션
    • 문화 (3)
      • 언어
      • 종교
      • 스포츠
    • 생활 (2)
      • 가족
      • 여행
    • 환경
    • 학술
    • 역사
    • 인물
    • 기업
    • 과학
    • 메타버스
    • 미분류
  • 시기분류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남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프리카
    • 아프리카 level = 1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level = 1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6 , provenance = 유럽
    • 유럽 (6)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영국
      • 영국
      • level = 2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러시아
      • 러시아
      • level = 2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일랜드
      • 아일랜드
      • level = 2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독일
      • 독일
      • level = 2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프랑스
      • 프랑스
      • level = 1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아시아
    • 아시아 (4)
        level = 2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중국
      • 중국
      • level = 2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level = 2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일본
      • 일본
      • level = 2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필리핀
      • 필리핀
      • level = 1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2)
        level = 2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국
      • 미국
      • level = 2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캐나다
      • 캐나다
      • level = 1 , index = 18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8개의 기록물
  • Preservation History Archive
    아카이브 방문하기 미국 뉴욕에 소재한 Village Preservation 에서 운영하는 아카이브입니다. Village Preservation은 1980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아카이브는 지역, 공동체에 대한 역사를 보존하고 및 기타 지역 사회 노력에 관련된 조직과 개인들로부터 온 인쇄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리니치 빌리지, 이스트 빌리지, 노호와 같은 지역과 연결된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This archive contains printed materials from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volved in historic preservation and other local community efforts, particularly those connected to Greenwich Village, the East Village, and NoHo. 지역에서 1,250개 이상의 건물에 대한 랜드마크 지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거의 100블록에 대한 용도지역 보호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우리는 매일 지역의 6,500개 이상의 건물 부지를 모니터링하여 철거, 변경, 또는 새로운 건축 허가를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대중에게 알리고 대응합니다. 또, 3,000개 이상의 랜드마크 건물에 대해 공공 검토와 승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변경 신청을 모니터링하며, 대중에게 알리고 필요에 따라 대응합니다. 우리는 또한 지역의 특별한 건축 환경과 특성을 보호하기 위해 랜드마크와 용도지역 위반에 대한 적절한 해결을 보고하고 옹호합니다. Village Preservation has successfully advocated for the landmark designation of more than 1,250 buildings in our neighborhoods, and has helped secure zoning protections for nearly 100 blocks. Each day we monitor more than 6,500 building lots in our neighborhood for demolition, alteration, or new construction permits, to notify the public and respond if necessary. And each day we monitor the more than 3,000 landmarked properties in our neighborhood for applications for changes which must go through a public review and approval process, to also notify the public and respond as needed. We also report and advocate for appropriate resolution of landmarks and zoning violations in our neighborhoods, to help protect the special built environment and character.
    생산일자 1980
  • 매드맵
    아카이브 방문 매드맵은 작은단체, 지역, 개인이 이야기하는 소소한 동네 이야기를 모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입니다. 매드뱀은 다양한 지역과 스타일, 이야기가 있는 마을지도를 아카이빙 합니다. 매년 많은 마을지도들이 만들어지지만 주변 사람들과 나누고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인 것을 목격했습니다. 너무 좋았던 그 지도의 장소를 다시 찾으려는데 인터넷에 아무리 검색해도 나오지 않았던 경험에서 마을지도의 온라인 유통 및 공유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매드맵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이 만든 동네의 지도가 널리널리 퍼질 수 있도록 매드맵에 공유해주세요. 여러분이 만든 지도가 어떤 사람에게는 애무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매드맵은 지역의 이야기 나누기, 지도의 목적, 대상을 위한 리서치 툴, 내용정리 그리고 지도를 그려서 표현하기 등 체계적인 단계를 가지고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지역을 바라보며 동네의 사회적약자를 위한 정보를 만들기도 하고, 지역 사회와 공유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지역의 이야기 아카이빙, 동네의 기록, 사람들과의 의미있는 정보의 교류 등 여러가지 이유로 마을지도 만들기 워크숍을 진행하고 싶은 분을 만나고 싶습니다.
    생산일자 2016
  • 상주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 상주시는 2020년 역사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2021년부터 매년 민간 기록물 수집을 위한 '상주 역사기록 찾기' 공모전을 수행했다. 2022년 역사기록관리시스템에 관리 중인 기록물을 분류하고 홈페이지와 연계하는 아카이브 서비스 체계 구축을 완료했다. 상주아카이브는 상주시청 누리집을 통해 제공되며, 기록물을 볼 수 있는 '기록마당'과 수집하기 위한 '내 파일 기증', '기록물(유물) 기증'으로 구성된다. 기록마당에서는 상주시와 상주문화원에서 생산한 발간자료와 읍면동 단위 마을 기록이 제공되며, 마을 이야기 콘텐츠를 함께 제공한다. 내 파일 기증은 휴대전화 등 디지털기기로 촬영한 자료를 기증하고, 기록물(우물) 기증은 고문서와 고서적 등을 기증 신청하는 기능이다. 기록물 기증 건에 대해서는 상주박물관과 함께 기증 및 기탁 절차를 밟게 된다. 출처 : 상주의 소리(http://www.sangjusori.co.kr/index.php?mid=board_pueP82&document_srl=21640)
    생산일자 2023.09.00
  • 새마을운동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   새마을운동아카이브는 새마을운동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새마을역사관' 소장자료와 각종 새마을운동 관련 이야기를 바탕으로 조직한 아카이브입니다.
    생산일자 미상
  • 서울기록원
    아카이브 방문   아카이브는 열정적인 수집가이며, 완고한 문지기인 동시에 친절한 안내자입니다. 세계의 모든 아카이브는 이 세 가지 일을 위해 노력을 기울입니다. 한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지방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서울기록원도 같은 일을 합니다. 2019년 문을 열고 몇 년 간 힘을 쏟았던 모든 일도 세 개의 일로 모입니다. 열정적인 수집가로 서울기록원은 시정 100년의 역사에서 영구적으로 보존해야 하는 35만권의 기록을 이관하여 보존서고에 넣었습니다. 그 기록들은 경북 청도의 서울특별시 문서보존소에서 수십 년 동안 격납되어 있던 것이었습니다. 과거의 기록을 오늘의 서울로 옮겨와 미래의 활용을 위한 새로운 질서와 체계로 정리했습니다. 한편 서울을 사랑하는 시민들이 스스로 쓰고, 만든 기억과 기록을 모으기도 했습니다. 시민의 기억과 기록은 서울 기록의 중요한 한 축입니다.   완고한 문지기로서 역사적인 기록의 영구적인 보존을 위한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온습도 관리 등 기본적인 환경 조성부터 바스러지고 상처 입은 기록을 온전히 복원하기 위한 일도 중단없이 했습니다. 물리적으로 훼손된 기록을 새것처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다만 “변형하거나 왜곡하지 않으면서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은 창조만큼이나 고귀한 일”이라는 프란시스 베이컨의 말을 우리의 보존 복원 업무에서 중요한 지침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친절한 안내자로서 서울기록원은 아카이브 전시의 고유한 문법을 고민했고, 소장 기록의 ‘울창한 숲’을 탐험할 수 있는 기록 카탈로그와 가이드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시민이 원하는 행정 정보를 공개하고, 학술 연구와 조사의 재료가 되는 기록을 제공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더불어 문화로서의 기록을 알리고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을 만나 기록문화의 새로운 지향을 엿보기도 했습니다. 시민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기록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었습니다. 서울기록원이 첫발을 내디디고 여러 지역에서 새로운 아카이브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반가운 일입니다. 어딘가에서도 아카이브를 마음에 품고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아카이브의 친구가 생기는 일을 환대와 연대의 마음으로 반깁니다. 전 지구적인 감염병의 위기로 계획했던 일을 다 하지는 못했지만 우리는 몇 가지 이정표를 만들었습니다. 한국에서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들고 시작한 여정 자체가 우리에게는 큰 보상일 것입니다. 우리는 서울기록원에서 경험한 성공과 시행착오를 돌아보며 새로운 市政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아카이브는 모으고, 보존하여 누리는 일에 계속 집중하겠습니다. 그 일은 아카이브의 변하지 않는 사명입니다. 처음 서울기록원의 문을 열 때의 다짐 그대로 우리는 아카이브의 일을 하겠습니다.
    생산일자 2019
  • 도시건축융합연구실
    아카이브 방문 숭실대학교 도시건축융합연구실은 도시건축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융합적으로 연구하는 곳이다. 도시재생과 연계된 도시의 인문, 사회적 변화, 도시재생 지역 내 건축/도시 측면의 공간을 분석하고 앞으로 이들의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나아가 지역의 고유한 가치와 특성을 기록하여, 향후 계획방향에 적용하고자 생활문화기록화와 역사문화기록화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생산일자 미상
  • 서울관광재단 아카이브
    아카이브 바로가기   서울관광아카이브는 서울관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위해 서울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생산일자 2022
  • 좋은 삶 질문집 지원주택 당사자 생애서사 아카이브
    좋은 삶 질문집 지원주택 당사자 생애서사 아카이브 본 아카이브는 C.(씨닷)과 SH서울주택도시공사가 함께한 <지원주택 당사자 참여서사 연구 및 디지털 아카이빙 연구> 보고서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020년 1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9개월 간 진행된 지원주택 당사자 참여서사 연구 및 디지털 아카이빙 연구(이하 지원주택 당사자 연구)는 지원주택이 필요한 주거약자 15명의 생애 이야기를 분석하고, 이중 10명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기록한 질적 연구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주거를 ‘좋은 삶’을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권리로 바라보고 이를 위한 사회적 안전망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고민했습니다. 나아가 개인의 취약성에 대한 낙인, 차별, 혐오, 배제와 같은 사회문제를 유발하는 구조를 시스템 사고로 분석하며 모두가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함께 살아가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연구진의 견해로서 SH서울주택도시공사의 정책과는 다를 수도 있습니다.
    생산일자 2022.05.23
    1

DADA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