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4020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월간 문익환』 2025년 4월호(ISSN 2951-2115 eISSN 2951-2123)

    아카이브 기반 콘텐츠 제작단 '콘텐츠플러스'가 기획·제작하고 늦봄 문익환 아카이브(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에서 사료제공 및 제작을 지원하여 발간한 『월간 문익환』 2025년 4월호(통권 26호, ISSN 2951-2115 eISSN 2951-2123). '청년'을 주제로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의 청년 이사 세 명의 이야기를 담았다.  <편집장의 커버스토리> ‘과거가 현재를 돌보고 죽은 사람이 산 사람을 살리는’ 기막힌 역사가 두 시대를 관통하고 있습니다. 38년 전인 1987년 6월. 청년들이 항쟁의 중심에 섰습니다. 그들은 전두환 군사정권을 규탄하며 온몸으로 독재와 맞서 싸웠습니다. 네 번째 수감된 진주교도소에서 나온 늦봄은 지체없이 그들에게 달려갔습니다. 그리고 2025년 4월. 또다시 청년들이 광장에 섰습니다. 그들은 대통령 탄핵을 외치며 응원봉을 높이 들고 ‘다시 만난 세계’을 외쳤습니다. 늦봄을 닮은 청년들이 망설임 없이 현장으로 달려갔습니다. 시대는 달랐지만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청년들의 마음만은 하나였습니다. “역사는 꿈을 통해 부활한다”던 늘 푸른 청년 문익환 목사. 그는 떠났지만 그의 곁엔 그를 닮은 청년들이 있습니다. 지금 이 시대 청년들에게 늦봄은 어떤 의미일까요?  <목차> ▲[특별좌담] 청년에게 늦봄을 묻다 <2-3면> ▲[늦봄의 말과 글] 청년에게 주는 편지 <4면> ▲[이 한 장의 사진] ‘숨은 늦봄 찾기’ <5면> ▲[늦봄의 서재] 한승원의 『해변의 길손』 <6면> ▲[현장출동] 『어쩌다 월간 문익환』 팟캐스트<6면> ▲[보존연구실 601호] 슬라이드 필름 속 늦봄<7면> ▲[나와 늦봄] 박우섭 전도사 <8면>   [🔗pdf 다운받기]

  • 『월간 문익환』 2025년 3월호(ISSN 2951-2115 eISSN 2951-2123)

    아카이브 기반 콘텐츠 제작단 '콘텐츠플러스'가 기획·제작하고 늦봄 문익환 아카이브(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에서 사료제공 및 제작을 지원하여 발간한 『월간 문익환』 2025년 3월호이자 시즌3의 첫 호(통권 25호, ISSN 2951-2115 eISSN 2951-2123). 윤동주 80주기를 맞아 일본을 다녀왔다.     <편집장의 커버스토리> 1942년 9월. 도쿄의 이층집 다다미방 동주의 하숙방에 늦봄이 불쑥 찾아옵니다. 폐병에서 회복해 도쿄신학교에 복학하려던 늦봄이 고향 동무를 찾아간 것이었죠. 태평양 전쟁 중인 도쿄. 징병의 걱정 속에서도 한 줌 희망을 얘기했던 조선의 두 유학생에게 이날의 상봉은 안타깝게도 생의 마지막 만남이 되고야 말았습니다. 80여 년이 흐른 2025년 2월, 동주를 사랑하고 늦봄을 추모하는 18명의 원정대가 이들의 흔적을 쫓아 일본에 다녀왔습니다. 동주의 하숙집엔 건물이 들어서고, 늦봄의 자취도 많이 사라졌지만, 그를 기억하는 마음은 여기저기 뿌려져 있습니다. 기억과 기억이 손을 잡고 더욱 단단해져 커다란 울림으로 남은 그곳, 동주와 익환의 일본 현지에 『월간 문익환』이 다녀왔습니다.   <알립니다>  오늘날 늦봄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늦봄의 현재를 살펴보고, 현장을 찾아가며, 현안들을 고민하고 싶었습니다. 『월간 문익환』이 시즌3를 시작한 이유입니다. 시즌3에서는 ‘오늘을 사는 문익환’을 큰 주제로 삼으려고 합니다. 과거를 추억하는 단순한 회고에서 벗어나, 지금의 우리에게 늦봄이 주는 의미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이를 위해 현장성을 강화합니다. 3월호에 일본 도쿄를 찾았듯, 시즌3에서는 [현장탐방]이란 코너를 신설하는 등 발로 뛰는 코너들로 독자 여러분과 만날 예정입니다. 또한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와 보조를 맞춰서 사업회에서 추진하는 주요 사업들을 소개하며 동참하려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목사님의 말들을 오늘날의 언어로 재조명해보는 [늦봄의 말과 글], 수장고 사료 보존을 위해 고민하는 [보존연구실 601호] 등 새로운 코너가 신설됩니다. [나와 늦봄] [늦봄의 서재] 등은 계속 연재될 예정입니다. 한편 지난 휴식기 동안 『월간 문익환』 편집위원들은 그동안의 활동 기록과 경험을 엮은 책 『어쩌다 월간 문익환』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목차> ▲[현장탐방] 일본에 새겨진 동주와 익환의 흔적찾기 <2-3면> ▲[현장탐방] 도쿄 동주 하숙집 찾기 <4-5면> ▲[늦봄의 말과 글] “동주 없는 익환은 없다” <6면> ▲[보존연구실 601호] 붓글씨 보존처리 <7면> ▲[나와 늦봄] 박영옥 『월간 문익환』 편집위원 <8면> ▲[독자기고] 예비 아키비스트가 본 『어쩌다 월간 문익환』 <8면>   [🔗pdf 다운받기]  

  • 선무×통일의집 컬래버 전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전시실 마루방

    - 박용길이 쓴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붓글씨 - <티켓> Ticket, 선무, 27x39cm, Color paper, 2023 - <붉은 노을 2> Flaming Sunset 2, 선무, 72x91cm, Oil on canvas, 2022 - <폭탄주> Mixed Alcohol, 선무, 40x55cm, Color paper, 2019 - <빨간우산 3> Red Umbrella 3, 선무, 53x72cm, Oil on canvas, 2024 - <담배파는 늙은이> Old Man Selling Cigarettes, 선무, 73x61cm, Oil on canvas,  2020 - <엄마와 아기> Mother and Baby, 선무, 72x91cm, Oil on canvas, 2022 🔗선무아트닷컴 https://sunmuart.com/artworks *피아노  - 북에서 선물한 두루미 도자기, 작가 현숙 - 한대신문 34돌을 맞아 문익환 목사가 쓴 붓글씨 ‘남누리 북누리 한누리 되도록’, 1993년 5월 7일 - 북에서 선물한 진달래 문양 투각기법 도자기, 작가 귀옥, 1990년 - <선무 아리랑> Sunmu Arirang, 가변 크기, 혼합재료, 2024 *소장 사료인 북에서 선물받은 도자기에 「선무 아리랑」을 설치한 모습이다. 남방한계선 철조망에 남한 여성이 뜬 무궁화와 북한 여성이 뜬 목란을 장식했다.   

  • 선무×통일의집 컬래버 전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전시실 기도방

    - <남녘의 학생운동>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선무, 91x116cm, Oil on canvas, 2020 🔗선무아트닷컴 https://sunmuart.com/artworks/2020-2/  

  • 선무×통일의집 컬래버 전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전시실 아들방

    *쇼케이스 1: 문익환 평양 방문 - 북에서의 일정을 기록한 비디오테이프 「남조선의 문익환목사 평양방문」, 1990년대 -  문익환 방북 시 착용한 넥타이로 동생 문영환이 보관했다. 1989년 - 문익환, 허담이 서명한 4.2공동성명서 원본으로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의 기초가 되었다. 1989년 4월 2일 *쇼케이스 2: 박용길의 북한 방문 - 문익환과 박용길의 방북 사진이 실린 조선기독교도련맹 중앙위원회 안내 책자, 1997년 - 박용길의 ‘6.15 공동선언 5주년 민족통일대축전’ 기념 수첩, 이름표와 배지, 2005년 6월   - ‘6.15 공동선언발표 5돐기념’ 공연 안내장, 2005년 6월 *쇼케이스 3: 민간 통일 운동과 공동사전 편찬 사업 - 통일정성 모으기 저금통, 통일맞이, 1990년대 - 문익환, 김일성의 합의로 편찬하기로 한 통일 국어 대사전 『겨레말큰사전』의 축약본 『미리 만나는 겨레말작은사전』,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2023년 7월 - 박용길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보낸 문익환 10주기 조문 감사 및 남북공동사전 편찬 요청 편지, 2004년 1월 18일 - 박용길이 남북의 언어가 이질화 되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기록한 남북의 언어 대조표 1990~2000년대 *쇼케이스 4: 편지로 바라는 통일 - 재일 교포 학생이 <잠꼬대 아닌 잠꼬대> 감상을 적어 박용길에게 보낸 편지, 2004년 말 - 방북 사건으로 수감 중인 문익환 목사가 손주, 아내와 주고 받은 옥중편지, 1989년 9월  -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카드에 쓴 박용길의 편지, 그림 김용님, 1990년 3월 5일 *의류 - 박용길이 1995년 6월 28일 김일성 1주기 조문을 위해 북에 방문했을 때 선물 받은 모란 레이스 한복으로 1995년 7월 31일 판문점으로 귀환할 때 입었다. 1995년 7월 *벽 - <어둠> Darkness, 선무, 72x91cm, Oil on canvas, 2022 🔗선무아트닷컴 https://sunmuart.com/artworks/2022-2/ - <문익환 어록> Words of Moon Ikwhan, 선무, 32x62cm, 화선지에 먹, 2024

  • 선무×통일의집 컬래버 전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전시실 안방

    *쇼케이스 1: 북한 음식과 대중문화  - 북한이 남한에서 온 방문단에게 대접한 음식 차림표, 2000년대 - 조선출판물교류협회가 출간한 『자랑높은 조선민족음식1: 떡』, 1998년 - 조선 요리 잉어회 조리법을 소개한 북한 잡지, 1995년 - 북한 예술 공연 자료, 2000년대 - 북에서 제작한 관광 홍보 비디오 「평양을 찾아서」, 2003년 - 평양 단고기(개고기)집에서 식사하는 박용길과 백낙청, 2005년 6월 *쇼케이스 2: 북한 관광 - 조선국제려행사에서 발간한 평양과 백두산 관광 안내물 - 6.15선언 5주년 방북 일정을 마치고 귀국하는 박용길의 고려항공 항공권, 2005년 8월 17일   - 평양직할시 강동군 문흥리 대박산에 위치한 단군릉 기념우표 - 북한의 자연과 생활상이 담긴 사진 자료를 엮은 책자 『보고싶은 산하』,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1988년 - <나의 길>, 선무, 27x39cm, Color paper, 2023 🔗선무아트닷컴 https://sunmuart.com/artworks/2023-2/ *쇼케이스 3: 선물과 기념품  - 문익환 목사 방북 때 북에서 선물 받은 고려인삼과 평양녹용, 1989년 - 박용길이 정리한 북에서 받은 선물 목록, 1995년 7월 31일 - 조선우표사에서 발행한 남북 평화 기념우표 모음, 2000년대 - 박용길이 김일성 주석 1주기 조문갔을 때 김정일로부터 받은 목란 반지, 1995년 - 문익환의 동생 문영환, 오한나 부부가 기증한 조선돈, 2000년 *벽면  - 문익환 10주기 추모 북측 대표단이 선물한 문익환, 박용길 부부 아호 족자 - 김일성 주석이 문익환에게 선물한 자개병풍, 작가 김학송, 1989년 - <늦봄길> Late Spring Road, 선무, 60x72cm, Oil on canvas, 2024 - <진달래(제주 1)> Azalea (Jeju 1), 선무, 53x72cm, Oil on canvas, 2024

  • 선무×통일의집 컬래버 전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홍보물

    탈북 작가 선무(線無: 선이 없다)의 그림, 포스터, 글씨 20여 점과 문익환 통일의집(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소장 남북 민간 교류 기록을 함께 볼 수 있는 전시로 전시제목은 문익환 목사의 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에서 따왔다.  전시 개요 • 기간: 2024. 8. 8(목) ~ 2024. 10. 31(목) *11월 13일까지 연장  • 장소: 문익환 통일의집(인수봉로 251-38) • 주최: 한빛누리재단  • 주관: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나는 네게로 가고 너는 내게로 와야지 나는 철조망 넘어 터진 발 끌며 네게로 가고  너는 지뢰밭 지나 절뚝거리며 내게로 와야지  이것 밖에 우리에겐 딴 길이 없으니 문익환 시 <나는 가고 너는 와야지> 중

  • 근현대사기념관 30주기 특별전 - '다시 오는 늦봄' 전시 도록

    *오류 정정(계속 업데이트)  https://drive.google.com/file/d/1YEXcCipp5YVmDctIsnuzloQf_BppAQr5/view?usp=sharing • 주최: 강북구, (사)민족문제연구소 • 주관: 근현대사기념관, (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 후원: 규암독립사상연구소 • 전시기간: 2023년 12월 27일 ~ 2024년 7월 31일 • 장소: 근현대사기념관(강북구 4.19로 114) 2층 기획전시실 • 연계전시: 늦봄 문익환 30주기 특별전 '생명과 평화: 밥알들의 양심'(문익환 통일의 집) * 소장처가 명시되지 않은 전시물은 모두 (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소장품이다.

  • 강북문화재단 문익환 목사 서거 30주년 기념전 '늦봄, 평화를 심다' 개막식 및 홍보자료

    • 일시: 2024년 6월 10일 16:00 • 장소: 강북문화예술회관 강북진달래홀 갤러리 • 내용: 늦봄 문익환 목사 서거 30주기를 기리는 국내외 작가 44인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전시 • 주최·주관: 강북문화재단, 강북구, (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사진: 권산)

  • 강북문화재단 문익환 목사 서거 30주년 기념전 '늦봄, 평화를 심다' 전시도록

    • 전시기간: 2024년 6월 10일 ~ 7월 4일 • 장소: 강북문화예술회관 강북진달래홀 갤러리 • 내용: 늦봄 문익환 목사 서거 30주기를 기리는 국내외 작가 44인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전시 • 주최·주관: 강북문화재단, 강북구, (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기획의도 강북문화재단이 마련한 이번 전시는 민주, 평화, 통일을 위해 활동한 늦봄 문익환의 서거 30주기를 기념하여, 국내외 다수의 현역 작가들이 뜻을 모은 특별한 기획전으로 그의 뜻깊은 일생을 다양한 시각으로 만나볼 수 있다. 📍참여작가 [국내] 고경일, 권산, 권용택, 김서경, 김택(시하), 김영미, 김운성, 김종도, 레오다브, 민정진, 박미숙, 박성완, 백영욱, 유연복, 유 준, 이구영, 이정헌, 이 하, 이향재, 이 호, 이화, 대니임(동은), 임의진, 전용주, 전종원, 정경숙, 정삼선, 정세학, 조아진, 황은관 [국외] 김명걸, 박미영, 성광호, 왕수, 유박문, 윤지흔, 윤하수, 이순, 이호순, 장신봉, 정호표, 최길송, 태광수, 황철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