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한류의 정점? 혹은 변곡점!
1장 연간 주요 한류 이슈
Issue 1. <오징어 게임> 글로벌 신드롬
- <오징어 게임> 각종 흥행 지표와 인기 요인 분석
- <오징어 게임> 이후의 한국 영상콘텐츠 흥행 현황과 전망
Issue 2. K-Pop 혼종성 강화, 팬덤 공고화
- 강화된 K-Pop 혼종성
- K-Pop 팬덤 공고화
Issue 3.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한류콘텐츠 소비 확대
- 전년 대비 한류콘텐츠 소비량 증가
- 드라마 호감도 전년 대비 4.2%p ↑
- 한류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BPI) 전년 대비 3.1점 ↑
Issue 4. 한류 대중화 확대
- 한류지수 증가
- 한류 이용확산지표 증가
- 성별, 연령별 한류콘텐츠 이용량 격차 감소
Issue 5. 방탄소년단 이후의 K-Pop, 그리고 한류
- 방탄소년단 그룹 활동 잠정 중단
- K-Pop과 한류의 미래
2장 권역별·국가별 한류 트렌드 분석
Chapter 1. 한류(한국) 인식
- 한국 연상 이미지
- 한류콘텐츠에 대한 부정 인식과 원인
- 한류콘텐츠 이용 후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Chapter 2. 한류 소비
- 한류콘텐츠 소비 행태
- 한류 이용 확산 정도
-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량 변화
Chapter 3. 한류 인기
- 한류콘텐츠 인기도·호감도
- 한류콘텐츠 인기 요인과 호감 저해 요인
- 선호하는 한류콘텐츠
- 선호하는 한류스타
- 한류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
Chapter 4. 한류 파급효과
- 한국 제품·서비스 향후 이용 의향
- 한국 문화콘텐츠 향후 유료 이용 의향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의 한국 제품·서비스 구매·이용 영향
| 식별번호 | hallyuresearch-01-00000020 |
|---|---|
| 원본여부 | 원본 |
| 전자여부 | 전자 |
| 검색어 | |
| 등록일자 | 2025.04.01 |
| 생산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
|---|---|
| 생산일자 | 2022.09.08 | 저작권 |
|
| 국내외 구분 | 국내 |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
| 출처분류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 시기분류 | 2020년대 |
| 주제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