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시청각류
  • 주제분류
    • 한류NOW
    • 해외통신원
    • 한류 조사연구 보고서
    • 포럼 · 세미나
  • 시기분류
    • 2000년대 (2)
      • 2000년~2004년
      • 2005년~2009년
    • 2010년대 (2)
      • 2015년~2019년
      • 2010년~2014년
    • 2020년대 (2)
      • 2020년~2024년
      • 2025년~2029년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level = 2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1 , index = 5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172개의 기록물
  • 2020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9차)
    ※ 추가 설문 대상국 선정을 위한 사전조사 결과보고서는 하단 링크 참조 2020 해외한류실태조사_사전조사 결과보고서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소비 행태 동향 분석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류 소비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소비·한류 파급효과 조사를 통해    한류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현지 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 조사지역 - 17개국 :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터키, UAE, 남아공 ■ 조사대상 - 전세계 17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수 - 8,000명 ■ 조사기간 - 2019년 10월
    생산일자 2020.02.25
  • 2020 글로벌 한류 트렌드
    Prologue 2020 한 눈에 살펴보는 글로벌 한류 트렌드 1. 꼭 알아야 할 한류 이슈 Issue 1. 2019년 한류는 '잠시 멈춤' 상태  · 한류에 대한 호감도는 큰 변화 없음  · 한류에 대한 관심과 향후 전망은 정체  · 한류와 한국에 대한 인식도 그대로 Issue 2. 레거시 미디어를 통한 한류콘텐츠 이용 재확대  · 한류 동영상 이용, 다시 TV를 통해  · 이용률이 가장 높은 플랫폼은 2019년에도 Youtube Issue 3. 2019년은 한국 영화의 해  · 기생충으로 인한 한국 영화 열풍 Issue 4. 변화하는 한류  · 한류 성장 국가와 쇠퇴 국가   · 한류로 인한 수출   · 5년 전에 비해 현재 한류는?  Issue 5. 주요국들에서의 한류 상황  · 지금 일본에서의 한류는?   · 아직 한한령의 여파가 남은 중국   · 한류 급성장하던 미국, 현재 상태는? 2. 권역별·국가별 분석 Chapter 1. 한류 인식  · 한류 연상 이미지  · 한류콘텐츠에 대한 부정 인식과 원인 Chapter 2. 한류 소비  · 한류콘텐츠 이용과 소비 행태  · 한류 이용 확산 정도 Chapter 3. 한류 인기와 선호  · 한류콘텐츠 인기도와 호감도  · 한류콘텐츠 인기 요인과 호감 저해 요인  · 선호하는 한류콘텐츠  · 선호하는 한류스타 Chapter 4. 한류 효과  · 한류콘텐츠 이용 후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 한국 제품·서비스 향후 이용 의향  · 한류콘텐츠 향후 유료 이용 의향
    생산일자 2020.06.29
  • 2020 Global Hallyu Trends_English version
    Prologue: 2020 Global Hallyu Trends at a Glance Part 1: Must-Know Hallyu Issues Issue 1. A Momentary Pause for Hallyu in 2019  · No Changes in Hallyu’s Favorability  · Interest in and Prospects of Hallyu Remain Stagnant  · Perceptions of Hallyu and Korea Remain the Same Issue 2. Reclaiming the Use of Hallyu Content through Legacy Media  · TV Is Still Used for Hallyu Video Content  · YouTube Remains the Most-Used Platform in 2019 Issue 3. 2019: The Year for Korean Movies  · The Korean Movie Craze Stemming from Parasite Issue 4. The Changing Hallyu  · The Growth and Decline of Hallyu Overseas  · Exports Due to Hallyu  ·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Hallyu Compared to Five Years Ago? Issue 5. The Status of Hallyu in Major Countries of Interest  ·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Hallyu in Japan?  · The Aftermath of the Hallyu Ban Continues to Affect China  · The Rapidly Growing U.S. Market for Hallyu: How Is It Now? Part 2: Analysis by Region and Country Chapter 1. Perceptions of Hallyu  · Images Associated with Korea  · Negative Perceptions of Hallyu Content and Its Causes Chapter 2. Usage and Consumption of Hallyu  · Usag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Hallyu Content  · Degree of Expansion of Hallyu Usage Chapter 3. Popularity and Favorability of Hallyu  · Popularity and Favorability of Hallyu Content  · Factors for Popularity and Factors that Hinder Favorability of Hallyu Content  · Preferred Hallyu Content  · Preferred Hallyu Stars Chapter 4. The Impact of Hallyu  · Changes in Perception of Korea after Using Hallyu Content  · Willingness to Use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Future  · Willingness to Pay for Hallyu Content in the Future
    생산일자 2020.10.22
  •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10차)
    ※ 분석편(국가별)과 통계편은 하단 링크 참조 [첨부2]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_분석편(국가별).pdf [첨부3]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_통계편.pdf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소비 행태 동향 분석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류 소비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소비·한류 파급효과 조사를    통해 한류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현지 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 조사지역 - 18개국 :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호주,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프랑스, 영국,               러시아, 터키, UAE, 남아공 ■ 조사대상 - 전세계 18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수 - 8,500명 ■ 조사기간  - 2020년 9월~11월
    생산일자 2021.01.28
  • 2021 글로벌 한류 트렌드
    Prologue 2021 한류와 코로나19 팬데믹의 역설  1장 연간 주요 한류 이슈 Issue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콘텐츠 소비 증가 - 코로나19 팬데믹이 강제한 비대면 소비 - 한국 게임·영상콘텐츠의 코로나19 팬데믹 반사 이익 Issue 2. 글로벌 OTT 서비스 제작·유통 콘텐츠 강세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강화된 OTT 영향력 - 글로벌 OTT 서비스의 한류콘텐츠 영향력 확대   Issue 3. 한류콘텐츠 호감도·인기도 소폭 상승 - 한류콘텐츠 10개 장르 모두 호감도 70% 이상 - K-Pop 인기도 약 5%↑ - 한국 문화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는 음식, 뷰티, 음악 순 Issue 4. 최선호 한류콘텐츠(스타) 인기 편중·고착화 현상 - 가수: 방탄소년단(BTS)?블랙핑크와 그 외 그룹간 인기 격차 심화 - 배우: 3년 연속 1위 이민호 독주와 순위권 배우 고착화 - 드라마·영화: 상위 콘텐츠 쏠림 현상 심화 Issue 5. 비대면 소비 최적화 장르 신규 인기콘텐츠 부재 - 배틀그라운드 이후의 한국 게임 - 22살 뿌까가 짊어진 한국 애니메이션의 무게 Issue 6. 국가별 한류 대중화·성장세·소비수준 간극 확대 - 한류 대중화·성장세 양극화 현상 심화 - 한류 소비수준 그룹핑 현상(ASEAN-중화권 vs 미주-유럽)    2장 권역별·국가별 한류 트렌드 분석 Chapter 1. 한류(한국) 인식 - 한국 연상 이미지 - 한류콘텐츠에 대한 부정 인식과 원인 - 한류콘텐츠 이용 후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Chapter 2. 한류 소비 - 한류콘텐츠 소비 행태 - 한류 이용 확산 정도 -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량 변화 Chapter 3. 한류 인기 - 한류콘텐츠 인기도·호감도 - 한류콘텐츠 인기 요인과 호감 저해 요인 - 선호하는 한류콘텐츠 - 선호하는 한류 스타 - 한류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 Chapter 4. 한류 파급효과 - 한국 제품·서비스 향후 이용 의향 - 한국 문화콘텐츠 향후 유료 이용 의향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의 한국 제품/서비스 구매/이용 영향
    생산일자 2021.08.03
  • 2021 Global Hallyu Trends_English version
    Prologue : Paradox of the COVID-19 pandemic and Hallyu in 2021 Section 1 : 2021 Major Issues in Hallyu Issue 1. Rise of contactless consumption due to COVID-19 -Contactless consumption due to COVID-19 -Korean game and video content benefits from the COVID-19 pandemic Issue 2. Soaring growth of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y global OTT services -Influence of OTTs boosted by the COVID-19 pandemic -Growing influence of Hallyu content in global OTT services Issue 3. Slight increase in favorability and popularity of Hallyu content -All 10 content categories record favorability above 70% -Popularity of K-Pop rose by about 5%p -Brand Power Index of Hallyu content: Food (1st), Beauty (2nd), and Music (3rd) Issue 4. Popularity of Hallyu content and stars becomes concentrated and fixed -Singers: Widening popularity gap between BTS/BLACKPINK and other groups -Actors: Lee Min-ho claims first place for three years in a row as rankings remain fixed -Dramas and movies: Concentration of popularity in top content intensifies Issue 5. Lack of new popular content in genres optimized for contactless consumption -Korean games after Battlegrounds -22-year-old Pucca carries Korean animation on her shoulders Issue 6. Widening gap in popularization, growth, consumption of Hallyu among countries -Deepening polarization of Hallyu’s popularization and growth -Grouping phenomenon in Hallyu consumption(ASEAN, Greater China vs. Americas, Europe) Section 2 : Analysis of Hallyu Trends by Region and Country Chapter 1. Perception of Hallyu (Korea) -Images associated with Korea -Negative perceptions of Hallyu content and their causes -Changes in perception of Korea after experiencing Hallyu content Chapter 2. Consumption of Hallyu -Consumption behavior of Hallyu users -Spread of Hallyu usage -Changes in consumption of Hallyu content compared with before the COVID-19 outbreak Chapter 3. Popularity of Hallyu -Popularity and favorability of Hallyu content -Factors for popularity and factors hindering favorability of Hallyu content -Preferred Hallyu content -Preferred Hallyu stars -Brand Power Index of Hallyu content Chapter 4. Ripple Effects of Hallyu -Intention to use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future -Intention to pay for Hallyu content in the future -Influence of Hallyu content consumption on purchase(use) of Korean products(services)
    생산일자 2021.12.27
  • 2022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11차)
    ※ 분석편(국가별)과 통계편은 하단 링크 참조 2022 해외한류실태조사_분석편 2022 해외한류실태조사_통계편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소비 행태 동향 분석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류 소비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소비·한류 파급효과 조사를    통해 한류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현지 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 조사지역 - 18개국 :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호주,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프랑스, 영국,               러시아, 터키, UAE, 남아공 ■ 조사대상 - 전세계 18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수 - 8,500명 ■ 조사기간 - 2021년 11월~12월
    생산일자 2022.02.14
  •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
    Prologue 한류의 정점? 혹은 변곡점!  1장 연간 주요 한류 이슈 Issue 1. <오징어 게임> 글로벌 신드롬  - <오징어 게임> 각종 흥행 지표와 인기 요인 분석  - <오징어 게임> 이후의 한국 영상콘텐츠 흥행 현황과 전망 Issue 2. K-Pop 혼종성 강화, 팬덤 공고화  - 강화된 K-Pop 혼종성  - K-Pop 팬덤 공고화   Issue 3.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한류콘텐츠 소비 확대  - 전년 대비 한류콘텐츠 소비량 증가  - 드라마 호감도 전년 대비 4.2%p ↑  - 한류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BPI) 전년 대비 3.1점 ↑ Issue 4. 한류 대중화 확대  - 한류지수 증가  - 한류 이용확산지표 증가  - 성별, 연령별 한류콘텐츠 이용량 격차 감소 Issue 5. 방탄소년단 이후의 K-Pop, 그리고 한류  - 방탄소년단 그룹 활동 잠정 중단  - K-Pop과 한류의 미래    2장 권역별·국가별 한류 트렌드 분석 Chapter 1. 한류(한국) 인식  - 한국 연상 이미지  - 한류콘텐츠에 대한 부정 인식과 원인  - 한류콘텐츠 이용 후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Chapter 2. 한류 소비  - 한류콘텐츠 소비 행태  - 한류 이용 확산 정도  -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량 변화 Chapter 3. 한류 인기  - 한류콘텐츠 인기도·호감도  - 한류콘텐츠 인기 요인과 호감 저해 요인  - 선호하는 한류콘텐츠  - 선호하는 한류스타  - 한류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 Chapter 4. 한류 파급효과  - 한국 제품·서비스 향후 이용 의향  - 한국 문화콘텐츠 향후 유료 이용 의향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의 한국 제품·서비스 구매·이용 영향
    생산일자 2022.09.08
  • 2022 Global Hallyu Trends_English version
    Prologue. Hallyu: Peak or Inflection Point? Section 1. 2022 Major Issues in Hallyu ISSUE 1. The global sensation of Squid Game -Analysis of various performance indicators and popularity factors of Squid Game -Performance and prospects of Korean video contents after Squid Game ISSUE 2. Increased hybridity and solidification of fandoms in K-Pop -Increased hybridity of K-Pop -Solidification of K-Pop fandoms ISSUE 3. Expansion of Hallyu contents consumption owing to prolonged COVID-19 pandemic -Increased Hallyu contents consumption compared with previous year -Drama favorability increase by 4.2% in 2021 from 2020 -Hallyu contents Brand Power Index up 3.1 points from previous year ISSUE 4. Expanding popularization of Hallyu -Increase in Hallyu Index -Increase in Hallyu usage indicators -Reduction in gap of Hallyu contents usage by sex and age ISSUE 5. K-Pop and Hallyu after BTS -BTS temporarily suspends group activities -Future of K-Pop and Hallyu Section 2. Analysis of Hallyu Trends by Region and Country CHAPTER 1. Perception of Hallyu (Korea) -Images associated with Korea -Negative perceptions of Hallyu contents and their causes -Changes in perception of Korea after using Hallyu contents CHAPTER 2. Hallyu consumption -Consumption behavior of Hallyu contents -Spread of Hallyu usage -Changes in consumption of Hallyu contents compared with before the COVID-19 outbreak CHAPTER 3. Popularity of Hallyu -Popularity and favorability of Hallyu contents -Favorability and inhibiting favorabilty Factors of Hallyu contents -Favorite Hallyu contents -Favorite Hallyu stars -Brand Power Index of Hallyu contents CHAPTER 4. Hallyu ripple effects -Intention to use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future -Intention to pay for Hallyu contents in the future -Influence of consuming Hallyu contents on purchasing or using Korean products and services
    생산일자 2022.12.14
  •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12차) 통계편: 상권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통합.pdf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아시아태평양.pdf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미주.pdf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유럽.pdf 2023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중동아프리카.pdf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이용·소비자의 한류 인식과 한류 이용·소비 행태 동향 파악 - 국가별 한류콘텐츠 이용·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해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이용(소비)·한류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한류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의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해외 이용·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이용·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 조사국가  - 26개국: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카자흐스탄,               호주,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튀르키예, UAE,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 조사대상   - 전세계 26개국 15세~59세 성인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 수   - 25,000명 * 조사기간  - 2022년 11월~12월       
    생산일자 2023.01.10
  • 2023 Overseas Hallyu Survey_English version
    Chapter 1. Survey Overview  Section 1 : Survey Overview Section 2 : Survey Design Section 3 : Survey Details Section 4 : Respondent Characteristics Section 5 : Key Analytical Concepts and Measurement Methods Section 6 : Major Hallyu Issues in 2022 Chapter 2. Research Findings-Country Summary  Section 1 : Perception of South Korea Section 2 :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 Section 3 : Consumpt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 Section 4 : Hallyu Ripple Effects Section 5 : Summary and Implications
    생산일자 2023.11.10
  •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13차) 가이드북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전체.pdf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아시아태평양.pdf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미주.pdf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유럽.pdf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중동.pdf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분석편_아프리카.pdf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이용·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이용·소비 행태 동향 파악 - 해외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이용(소비)·한류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한류 현황과 선제적 정책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의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해외 이용·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이용·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 조사국가(26개국)  - 아시아·태평양(10개국)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베트남, 카자흐스탄, 호주 - 미주(5개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 유럽(7개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튀르키예 - 중동(2개국)   UAE, 사우디아라비아 - 아프리카(2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 조사대상  - 전 세계 26개국 15~59세 남녀 현지인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수  - 25,000명(국가별 700~1600명) * 조사기간 - 2023년 11월 10~30일 
    생산일자 2024.04.02
  • 2024 Overseas Hallyu Survey_English Version
    Part 1. Survey Overview  1. Survey Overview 2. Survey Design 3. Survey Details 4. Respondent Characteristics 5. Major Hallyu Issues of the Year Part 2. Survey Results Section 1. Status of Hallyu 1. Perception of Hallyu 2. Consumption of Hallyu 3. Influence of Hallyu Section 2. Hallyu by Category 1. Dramas 2. Variety Shows 3. Movies 4. Music 5. Animation 6. Publications 7. Webtoons 8. Games 9. Fashion 10. Beauty 11. Food Part 3. Summary and Implications 1. Overall Summary and Implications 2. Summary and Implications by Continent
    생산일자 2025.01.31
  • [2020-산업] 2019 한류백서
    ■ 1부 2019년 한류 이슈 총론 ㅣ 15 1. 음악예능, <복면가왕>에서 <프로듀스 X 101>까지…화려함 만큼 깊은 그늘 2. 텐트폴 드라마는 넷플릭스를 타고…남이 가지 않은 길에 답이 있다 3. 영화 「기생충」 로컬에서 글로벌로, 수출 악화 냉정히 직시할 때 4. 이주-유학-관광의 상호 교차 속 한류 5. 한류동호회 X 한글 배우기, 타자의 눈으로 한류를 보는 방법 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연구원) ■ 2부 2019년 한류 부문별 성과와 전망 - 7대 대중문화 콘텐츠 분석 1. 방송 한류 ㅣ 39 도약을 위한 새로운 변화의 물결 이성민(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 연구원) 2. 영화 한류 ㅣ 65 한국영화 100년, 빛과 그림자 김경만(영화진흥위원회 국제교류전략팀 팀장) 3. 음악 한류 ㅣ 97 글로벌 성공의 화려함 뒤에 숨겨진 그늘 이규탁(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4-1. 공연 한류(순수예술) ㅣ133 콘텐츠 주도 세부 장르 강세, 수요에 따른 전략 설계가 숙제 최경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팀장) 4-2. 공연 한류(뮤지컬) ㅣ97 진화하는 한국 뮤지컬, 그리고 해외 진출의 다변화 원종원(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교수*뮤지컬 평론가) 5. 게임*e스포츠 한류 ㅣ185 성장세는 꺾였지만 다양한 시도를 통해 가능성을 여는 게임 한류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6. 만화*웹툰 한류 ㅣ215 콘텐츠 프랜차이즈 전략, K-웹툰과 세계관 장민지(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정책팀 선임연구원) 7. 출판 한류 ㅣ241 한국문학, 한류에 합류하다 윤부한(한국문학번역원 번역교육본부 부장) - 4대 소비재*서비스산업 분석 8. 뷰티 한류 ㅣ281 K-뷰티 재도약, 신흥시장 진출과 브랜드 개성이 핵심 손성민(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기획조사팀 주임연구원 9. 패션 한류 ㅣ311 패션 한류, 위기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다 명수진(패션 칼럼니스트) 10. 음식 한류 ㅣ349 음식 한류 2.0, 다변화와 세분화를 향한 새로운 도약 강보라(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11. 관광 한류 ㅣ373 BTS 보러 한국에 왔어요 정주영(前 한국방문위원회 마케팅팀장) ■ 참고문헌 ㅣ411
    생산일자 2020.03.17
  • [2020-기획] 한류에서 교류로(2020년 한류정책서)
    [제1부] 한류가 주는 교훈  1. 예술과 대중, 대중문화의 만남  | 15     원용진(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2. 방탄소년단이 연 새로운 연대정치의 공간  | 47     홍석경(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3. 탈바꿈의 문화행정  | 73     김정수(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4. 신한류 담론과 문화산업의 정치경제학   : 신한류라는 기표 너머의 그 무언가를 상상하기  | 103     류웅재(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제2부] 더 나은 문화교류를 위한 다섯 가지 쟁점 1. 외교 갈등과 문화교류의 본성을 묻다  |  129     김휘정(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문화예술경영전공 객원교수) 2. 국제문화교류, 누가 함께하고 있는가  | 161     정정숙(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 3. 동시대 예술의 태동을 위해: 예술 생태계의 좌표와 방향 탐색  | 183     김성희(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 4. 문화콘텐츠산업과 창의노동, 기회와 위협 사이  | 211     현은정(홍익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5. 디지털 시대, 대중문화 아카이브의 설립 필요성과 가능성  | 255     최효진(새공공영상문화유산 정책포럼 연구위원) [제3부] 문화 이전에 사람이 있다 : 한류 직문직답, 그 세 번째 이야기(Interview) 1. 같이 만드는 문화, 가치 있는 문화  | 281     안호상(홍익대학교 교수·전 국립극장장) 2 ‘크리에이티브’를 생각하다  | 309     김지일(CJ ENM 오펜센터장)
    생산일자 2020.04.13
  • (영문) 2019 한류백서_Hallyu White paper 2019(English)
    Achievements and Forecast for Hallyu in 2019 by Segment ■ Analysis of Seven Popular Cultural Contents 1. Hallyu in Broadcast Programs A New Wave of Change, for a Leap Forward ― Sungmin Lee Researcher, Cultural Industries Research Center,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 Hallyu in Film 100 Years of Korean Cinema: Light and the Shadow ― Mann Kim Direct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Team, Korean Film Council 3. Hallyu in Music The Shadow Behind the Glamour of Global Success ― Gyutag Lee Professor of Cultural Anthropology (Arts & Science), George Mason University-Korea 4. Hallyu in Performing Arts Content-driven, Specific Genre Leads the Charge ― Kyunghee Choi Director of Research Team,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5. Hallyu in Games/e-sports Opening Up Possibilities Through Various Attempts, Despite Slowing Growth ― Shinkyu Kang Research Fellow, Media Advertising Research Institut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6. Hallyu in Comics/Webtoons Content Franchise Strategy, K-Webtoons and its universe ― Mingi Jang Senior Researcher, Industrial Policy Team,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7. Hallyu in Publication Korean Literature Joins Hallyu ― Buhan Yoon Director, Division of Literature Promotion,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 Analysis of Four Major Consumer Goods and Service Industries 8. Hallyu in Fashion Hallyu in Fashion Discovers New Opportunities Amidst Crisis ― Sujin Myeong Fashion Columnist 9. Hallyu in Food Hallyu in Food 2.0, A New Leap Towards Diversification and Segmentation ― Bora Kang Researcher, Institute for Communication Research, Yonsei University 10. Hallyu in Tourism We Came to Korea to See BTS ― Juyoung Chung Head Researcher, Advanced Institute of Convergence Technology 11. Hallyu in Beauty Emerging Markets and Brand Personality : Key Factors for the Rebound of K-Beauty ― Sungmin Son REACH24H KOREA General Manager
    생산일자 2020.10.06
  • [2021-산업] 2020 한류백서
     특집 코로나19 타임라인 2020 | 10 ■ 1부 2019년 한류 이슈 총론 | 16  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연구원) ■ 2부 2020년 한류 부문별 성과와 전망  - 7대 대중문화 콘텐츠 분석  1. 방송 한류 | 34  거대한 지각 변동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2. 영화 한류 | 56  세계 최정상에서 맞이한 변화와 충격  김경만(영화진흥위원회 국제교류전략팀 팀장)  3. 음악 한류 | 82  코로나19 시대의 음악 한류, 위기와 극복, 남겨진 과제  이규탁(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4. 공연 한류 | 110  코로나19로 촉발된 공연 시장의 한계 극복 도전기  최경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팀장)  5. 게임*e스포츠 한류 | 142  저성장 속에서 또 한 번의 약진을 노리는 게임 한류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6. 만화*웹툰 한류 | 166  팬데믹과 디지털만화 시장, K웹툰의 성장  장민지(경남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7. 출판 한류 | 188  한국 출판, 다양한 변신으로 글로벌 무대 중심에 서다  이구용(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  - 4대 소비재*서비스산업 분석  8. 뷰티 한류 | 212  K뷰티, 변화와 고난 속에서 희망을 보다  나원식(비즈니스워치 기자)  9. 패션 한류 | 238  패션 한류, 위기 속에 답이 있다  명수진(패션 칼럼니스트)  10. 음식 한류 | 274  건강과 면역 증진 앞세워 팬데믹 극복한 한식  강보라(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11. 관광 한류 | 300  뉴노멀 시대, 새로운 관광 한류를 그리다  김영희(한국관광공사 한류관광팀 팀장)
    생산일자 2021.04.26
  • [2021-기획] 코로나19 이후의 한류
    [1부] 재난-문화-인간 1. 왜 재난은 때로 '축복'일 수 있는가?    : 코로나 19가 부각시킨 한류의 저력  | 14     강준만(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 2. 문화는 삶과 죽음을 안고  | 40     김예란(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3. 코로나19 이후, 연결의 지혜 : 페스트, 대중문화 그리고 한류  | 64     박한선(정신의학과 전문의·신경인류학자) [2부] 코로나19 이후 문화콘텐츠산업의 재구성 1. 한국 예능, 독보적이거나 고립적이거나  |  96     권성민(카카오엔터테인먼트 PD) 2. 넷플릭스의 한국 상륙, 그 이후  | 124     이호수(SK텔레콤 고문) 3. 스트리밍 시대의 텔레비전 그리고 시청자  | 154     노창희(미디어미래연구소 센터장) 4. 글로벌 혼종화 시대의 지적재산권 | 186     백욱인(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 [3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균형의 미학 1. 디지털 시대 라이브니스의 재구성  | 220     지혜원(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 2. '공연은 계속돼야 한다(The Show Must Go On)'  | 250     장지영(국민일보 문화스포츠레저부장) 3. 포맷 저작권과 창작자의 권리  | 290     김기륜(한국방송작가협회 저작권 이사)
    생산일자 2021.05.13
  • (영문) 2020 한류백서_Hallyu White Paper 2020(English)
    2020 Hallyu Performance and Forecasts by Sector ■ Analysis of Seven Popular Cultural Contents 1. Hallyu in Broadcast Programs  Massive Disruptions ― Sungmin Lee/Professor Department of Media Arts and Scienc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 Hallyu in Film Changes and Shocks from the Top of the World ― Mann Kim/Team Leader International Exchange Strategy Team Korean Film Council 3. Hallyu in Music Hallyu Music in the COVID-19 Era: Crisis, Triumph, and Remaining Tasks ― Gyutag Lee/Professor, College of Arts & Science George Mason University-Korea 4. Hallyu in Performing Arts COVID-19 Spurs the Performing Arts Market to Confront its Limitations ― Kyunghee Choi/Director of Research Team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5. Hallyu in Games/e-sports  Hallyu games seek another breakthrough amidst low growth ― Shinkyu Kang/Research fellow Media Advertising Research Institut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6. Hallyu in Comics/Webtoons The pandemic, digital comics market, and growth of K-webtoons ― Mingi Jang/Professor Media Communications Department Kyung Nam University 7. Hallyu in Publication Korean publications take center-stage in the world through various forms ― Lee Gu-young/CEO KL Management ■ Analysis of Four Major Consumer Goods and Service Industries 8. Hallyu in Beauty Hope in K-beauty Amid Changes and Struggles ― Nah Won-sik/Reporter Business Watch 9. Hallyu in Fashion A Solution to the Crisis in Hallyu Fashion ― Myeong Soo-jin/Fashion Consultant 10. Hallyu in Food Korean Food Overcomes Pandemic Thanks to Health and Immunity Benefits ― Kang Bo-ra/Researcher Institute for Communication Research,Yonsei University 11. Hallyu in Tourism A New Landscape for Hallyu Tourism in the New Normal ― Kim Yeong-hee/Team Leader Hallyu Tourism Team Korea Tourism Organization
    생산일자 2022.04.01
  • [2022-산업] 2021 한류백서
    ■ 1부 2021년 한류 이슈 총론 | 10   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연구원)  ■ 2부 2021년 한류 부문별 성과와 전망   - 7대 대중문화 콘텐츠 분석 1. 방송 한류 | 26   주류가 된 'K-드라마', 한류의 새 장을 열다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2. 영화 한류 | 53   스크린에서 온라인으로 이행 중인 영화 한류   김형석(영화 저널리스트) 3. 음악 한류 | 79   위기 속의 전환 그리고 기회   이규탁(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4. 공연 한류 | 126   위드 코로나를 지나는 공연 한류의 정세   오선명(한국문화예술위원회 극장운영부 차장) 5. 게임*e스포츠 한류 | 126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진출하는 게임 한류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6. 만화*웹툰 한류 | 151   디지털 만화산업의 전환점, K-웹툰   장민지(경남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7. 출판 한류 | 174   새로운 역사를 써 가는 한국 출판   이구용(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 - 4대 소비재*서비스산업 분석 8. 음식 한류 | 197   뉴노멀이라는 시험대 앞에 놓인 한식   강보라(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9. 뷰티 한류 | 234   세계 3강에 오른 'K-뷰티', 지속 성장의 과제가 남았다   나원식(비즈니스워치 기자) 10. 패션 한류 | 265   한류와 동반성장한 한국 패션의 온라인 수출   이윤경(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 연구위원) 11. 관광 한류 | 289   코로나19 확산이 일상이 된 시대, 재개하는 한류 관광   정란수(프로젝트 수 대표·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겸임교수)
    생산일자 2022.04.12
  • [2022-기획] 한류-테크놀로지-문화
    [1부] 오래된 미래 1. 메타버스에 대한 메타 비평의 필요성 | 12     박승일(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선임연구원) 2. 메타버스의 시공간적 매핑 | 34     이소은(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3. 비트의 문명, 콘텐츠의 사회 | 54      이병민(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부] 콘텐츠IP의 시대, 쟁점과 전망 1. 콘텐츠 지식재산권(IP), 정의·보호·활용 | 72     김종균(특허청 심사관) 2. 콘텐츠IP 금융의 구조와 활성화 | 92     최철(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영국변호사) 3. 실감형 콘텐츠 서비스와 '파노라마의 자유'의 적용과 대응 | 114    김병일(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3부] 메타버스와 플랫폼 산업 : 새로운 경험과 한계, 그리고 대응 1. 디지털게임과 메타버스    : 버즈워드 너머의 트렌드에 대한 성찰 | 134     이경혁(게임평론가) 2. 영화적 상상이 현실이 되는 순간, 비욘드 리얼리티 | 152    김종민(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기어이 프로듀서) 3. 콘텐츠산업 빅뱅, OTT 한류를 위한 서사극과 콘텐츠 현지화 전략 | 168    임종수(세종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4. 지상파에서 ‘디지털’을 한다는 것, ‘잘’한다는 것 | 198    은지향(SBS 마케팅D 스튜디오 팀장·SBS PD) 5. 메타버스와 케이팝 | 210    김영대(음악평론가) 6. 방송과 메타버스 | 224    김창배(MBC ICT 사업팀장) 7. 창문과 스크린, 영화와 건축 사이의 미술관과 VR | 242    곽영빈(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미술평론가)
    생산일자 2022.05.02
  • (영문) 2021 한류백서_Hallyu White Paper 2021(English)
    2021 Hallyu White Paper ■ Introduction to 2021 Hallyu Issues ― Ah-young Kim/Researcher Research Team,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 2021 Achievements and Forecast of Hallyu by Sector    : Analysis of Four Pop Culture Content 1. Hallyu in Broadcast Programs  'K-dramas' That Have Joined the Mainstream Open a new Chapter of Hallyu ― Seong-min Le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a Arts and Science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 Hallyu in Film Hallyu in Film Shifting From the big Screen to Online Platforms ― Hyung-seok Kim/ Film Journalist  3. Hallyu in Music Change Amidst Crisis and Resulting Opportunities ― Gyu-tag Lee/ Associate Professor of Cultural Studies, George Mason University-Korea 4. Hallyu in Games/e-sports  Game Hallyu Advancing Through Various Platforms ― Shinkyu Kang/ Research Fellow, Media & Advertising Research Institut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 References
    생산일자 2023.01.11
  • [2023-산업] 2022 한류백서
    ■ 1부 2022년 한류 이슈 총론 | 11   이현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연구원) ■ 2부 2022년 한류 부문별 성과와 전망   - 6대 대중문화 콘텐츠 분석 1. 방송 한류 | 36   거대한 도약 이후 맞이한 도전들, 방송 한류의 새 길을 찾다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2. 영화 한류 | 69   'K-무비'의 반등과 회복   김형석(영화 저널리스트) 3. 음악 한류 | 98   코로나19를 넘어 새로운 장(章)으로   이규탁(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부교수) 4. 공연 한류 | 127   포스트 팬데믹과 인플레이션, 그 속에서 돋보이는 한국 공연의 시장 경쟁력   이수정(DMZ피스트레인뮤직페스티벌 기획국장) 5. 게임*e스포츠 한류 | 158   엔데믹으로의 전환을 새롭게 준비하는 게임 한류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6. 만화*웹툰 한류 | 187   산업의 성장, 비평에서의 성취, 문화의 확장   이수엽(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   - 2대 소비재*서비스산업 분석 7. 음식 한류 | 213   재세계화 질서 속의 소프트웨어로서 한식   강보라(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8. 뷰티 한류 | 243   한국 뷰티, 우려가 현실이 됐다... 위기를 기회로 바꿔야   나원식(비즈워치 기자) ■ 3부 2022년 한류 정책의 성과와 전망 | 273   김규찬(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 연구위원)
    생산일자 2023.05.03
  • [2023-수시] 2023 한류와 문화다양성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 조사목적 - 한류와 문화다양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경험 파악 - 문화다양성에 대한 용인 수준, 문화다양성-콘텐츠 연계 인식, 문화다양성-한류의 영향 및 인식을 파악해 한류 미래 발전 방향 제시 및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 조사분야 - 문화다양성 인식, 용인 수준,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문화다양성 저해 요인, 문화다양성이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등 ■ 조사대상 - 전국 거주 만 15세 이상 남녀 ■ 표본 수 - 1,000명(일반 국민 878명, 대중문화 관련 직업군 종사자: 122명) ■ 조사기간 - 2023년 2월 9일 ~ 17일
    생산일자 2023.06.29
    12345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