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2019-기획] 한류, 다시 출발점에 서다
  • 0


■ 책머리에

■ 제1부 한류 직문직답, 그 두 번째 이야기 [인터뷰] 
1. 한류, 한국 문화 전반의 토대를 세우는 일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2. 난타에서 평창동계올림픽까지 
   송승환 PMC프러덕션 예술총감독

3. 유튜브 이전의 케이팝, 이후의 케이팝 
   서황욱 구글코리아 GCN-한국유튜브파트너십 전무

4. 국제문화교류를 진흥한다는 것 
   김용락 시인·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원장

■ 제2부 한류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디지털 기술 시대의 사회적 상상과 한류
   원용진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문화연구가

2. 한류의 효용: 산업 너머, 강대국 너머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3. 글로컬 문화로서 케이팝의 보편성과 독특성 
   김수정 충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제3부 한류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케이팝 그 이후
1. 케이팝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차우진 음악평론가

2. 뉴미디어와 케이팝 
   김미연 카카오M 원더케이스튜티오 국장 / 권석정 카카오M PD

3. 인공지능과 음악산업의 미래 
   조영신, 심효섭, 김유래 SK브로드밴드 BANC팀

4. 케이팝의 성과와 쟁점 
   임진모 대중음악평론가·팝 칼럼니스트

목록으로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