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시청각류
  • 주제분류
    • 한류NOW
    • 해외통신원
    • 한류 조사연구 보고서
    • 포럼 · 세미나
  • 시기분류
    • 2000년대 (2)
      • 2000년~2004년
      • 2005년~2009년
    • 2010년대 (2)
      • 2015년~2019년
      • 2010년~2014년
    • 2020년대 (2)
      • 2020년~2024년
      • 2025년~2029년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level = 2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1 , index = 5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195개의 기록물
  • 2012 한류 및 한국 이미지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1차): 국내거주유학생
    ▣ 조사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 조사목적 : 한류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행태 파악, 향후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조사구분  □ 국내거주 유학생 대상 국내한류 조사    - 지역 : 중국, 일본 및 주요 5개 지역(동남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 표본 수 : 950명 (만15세 이상 49세 미만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 남녀)    - 조사기간 : 2012년 4월    - 조사방법 : 온·오프라인 조사  □ 해외한류 조사    - 지역 : 9개국(중국, 일본, 대만, 태국,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 표본수 : 3,600명(전세계 9개국 만15세 이상 60세 미만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조사기간 : 2012년 2월    - 조사방법 : 온라인 조사  □ 국내 기업체 대상 국내한류 조사    - 지역 : 한국    - 표본수 : 100명(제조업, 서비스업, 유통업, 엔터테인먼트 등 팀장급 이상)    - 조사기간 : 2012년 2∼3월    - 조사방법 : 온·오프라인 조사
    생산일자 2012.05.18
  • 2012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2차)
    □ 조사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 조사목적 : 한류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행태 파악, 향후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조사분야 : 한류, 한국 문화, 한국 이미지 등 □ 조사지역 : 9개국 (중국, 일본, 대만, 태국,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 표본수 : 3,600명 (전세계 9개국 만15세~50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조사기간 : 2012년 11월 □ 조사방법 : 온라인 조사 (조사수행기관 : 엠브레인)
    생산일자 2012.12.21
  • 2013-2014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3차)
    □ 조사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 조사목적 : 한류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행태 파악, 향후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이슈 등  □ 조사지역 : 11개국(중국, 일본, 대만, 태국,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UAE, 남아공)  □ 조사대상 : 전세계 11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수 : 4,400명(국가별 400명)  □ 조사기간 : 2014년 1월 21일∼2월 12일
    생산일자 2014.06.11
  • 2014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4차)
    □ 조사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 조사목적 : 한류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행태 파악, 향후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국 문화, 한국 이미지 등 □ 조사지역 : 14개국(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대만,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UAE, 남아공) □ 표본수 : 5,600명(전세계 14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조사기간 : 2014년 11월  □ 조사방법 : 온라인 조사(조사수행기관 : 밀워드브라운 미디어 리서치)
    생산일자 2015.03.11
  • 2015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5차)
    □ 조사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 조사목적 : 한류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행태 파악, 향후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국 문화, 한국 이미지 등    □ 조사지역 : 14개국(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대만,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UAE, 남아공)    □ 표본수 : 6,500명(전세계 14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조사기간 : 2015년 10월~12월    □ 조사방법 : 온라인 조사(조사수행기관 : 밀워드브라운 미디어 리서치)  
    생산일자 2016.02.11
  • 2016-2017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6차)
    □ 조사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소비 행태 동향 분석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류 소비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소비·한류 파급효과 조사를   통해 한류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현지 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 조사분야 :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 조사지역 : 15개국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대만,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UAE, 남아공) □ 조사대상 : 전세계 15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 표본수 : 7,200명  □ 조사기간 : 2016년 10∼12월
    생산일자 2017.04.10
  • 2017 글로벌 한류 트렌드
    Part 1 꼭 알아야 할 7대 한류 이슈 이슈 1 한류, 위기와 기회의 공존 이슈 2 한류 지각변동 : 장르와 공간을 넘어서 이슈 3 2017 한류전망 : 패션뷰티는 확산 vs. K-pop은 현상유지 이슈 4 기대와 충족의 미스매치 : 경험 후 한류콘텐츠에 대한 만족 이슈 5 워너비 한류스타 : '싸이' 신드롬 이후 이슈 6 미디어 발전과 한류콘텐츠 유통 : TV와 모바일 플랫폼의 약진 이슈 7 한류의 불편한 진실 Part 2 통계로 보는 한류 스케이프 챕터 1 21세기 한류 좌표 챕터 2 한류의 인기와 그 비결 챕터 3 미완의 숙제들, 그리고...
    생산일자 2018.02.14
  •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7차)
    ■조사기관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소비 행태 동향 분석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류 소비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소비·한류 파급효과 조사를   통해 한류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현지 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조사분야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조사지역 16개국(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터키, UAE, 남아프리카공화국) ■조사대상 전세계 16개국 만15세∼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표본수 7,800명 ■조사기간 2017년 10월∼12월
    생산일자 2018.03.15
  • 2018 글로벌 한류 트렌드
    ■ 2018 한 눈에 살펴보는 글로벌 한류 트렌드 ■ 1부  꼭 알아야 할 5대 한류 이슈 Issue 1 : 포스트 차이나, 주역은 K-Pop                BTS로 시작하는 새로운 K-Pop 한류               미주를 휩쓴 K-Pop 열풍 Issue 2 : 한류콘텐츠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한류콘텐츠 이용 증가               K-Pop 인기는 Youtube를 타고              유형의 한류콘텐츠도 온라인 유통 서비스로 Issue 3 : 한류콘텐츠의 긍정적 파급효과               한국에 대한 인식 개선               한국 소비재 및 서비스 상품 소비의 확대 Issue 4 : 격동하는 한반도 정세 속 한류의 위치               외국인이 바라보는 한국의 이미지 변화               한국을 둘러싼 국제 이슈와 한류 간의 상관관계 Issue 5 : 한류가 앞으로 나아가려면                   한류콘텐츠의 경험 기회를 늘려라               한류도 맞춤형, 니즈에 따라 저격하라               한류 부정 인식과 불편사항을 해소하라 ■2부  국가별 분석 Chapter 1 : 21세기 한류 좌표                    자국에서 가장 선호하는 한국 상품 및 콘텐츠                    한류콘텐츠 이용과 소비 행태     Chapter 2 : 한류의 인기와 그 비결                     한류콘텐츠 인기도 및 선호도                    한류콘텐츠 인기 이유                    국가별 선호 장르                    만나고 싶은 한류스타                    선호하는 한국 캐릭터                    한국에 대한 연상 이미지                    한국에 대한 연상 제품 Chapter 3 : 한류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한류콘텐츠 이용 시 불편한 점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원인                    향후 한국 제품 및 서비스 이용 의향                    향후 한국 관련 활동 참여 의향
    생산일자 2018.07.04
  • 2019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제8차)
    ■조사기관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조사목적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자의 한류 인식, 한류 소비 행태 동향 분석 - 국가별 한류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한류 생태계와 해외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선제적 정책 방향 모색 - 해외 한류 소비자의 한류(한국) 인식·한류 소비·한류 파급효과 조사를    통해 한류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업계 해외 진출 시 필요한 현지 소비자 정보를 수집·분석해    비즈니스 전략 수립 기초자료 제공 ■조사분야 한류(한국) 인식, 한류 소비, 한류 파급효과 등 ■조사지역 16개국 (중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호주,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터키, UAE, 남아프리카공화국) ■조사대상 전세계 16개국 만15~59세 남녀 중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표본수 7,500명 ■조사기간 2018년 11월∼12월
    생산일자 2019.02.26
  • 2019 글로벌 한류 트렌드
    ■2019 한 눈에 살펴보는 글로벌 한류 트렌드 ■1부 꼭 알아야 할 5대 한류 이슈 Issue 1. 세계 속 한류의 현 주소한류 관심과 호감은 지속 상승 중              한류 소비는 앞으로도 활발할 전망 Issue 2. 한류 인식은 Up, 한국 인식은 Down              한류 인식은 현재 회복세              한국에 대한 긍정 인식은 다소 하락 Issue 3. OTT, 한류를 견인하다              한류동영상 유통의 핵심, OTT              Youtube와 Netflix, 동영상에도 한류의 바람을 불어넣다              한국 패션, 뷰티, 음식도 동영상을 통해 체험 Issue 4. 한류콘텐츠, 어떤 것이 가장 인기 있을까?              드라마와 영화는 최신작들이 인기              BTS는 상승세, 이민호는 지속세, 뿌까는 하락세 Issue 5. 앞으로 한류가 넘어야 할 것들              한류콘텐츠의 경쟁 상대              낮은 접촉률도 극복해야              여전한 한류의 걸림돌, 문화적 할인  ■2부 권역별·국가별 분석 Chapter 1. 한류 인식과 소비                자국에서 인기있는 한국 제품·서비스·콘텐츠                한류콘텐츠 이용과 소비 행태 Chapter 2. 한류 선호               한류콘텐츠 인기도 및 선호도               한류콘텐츠 인기 요인 및 호감 저해 요인               선호하는 한류콘텐츠               선호하는 한류스타               한류콘텐츠에 대한 부정 인식과 원인 Chapter 3. 한류 효과                한류콘텐츠 향후 유료 이용 의향                한국 제품 및 서비스 향후 이용 의향
    생산일자 2019.05.24
  • [2014-산업] 2013 한류백서
     ■ 프롤로그  ■ 한류총괄편  ■ 한류업계편  ■ 한류지역편  ■ 한류통계편  ■ 한류정책·법제편  ■ 부록    - 정부 한류 관련 예산 및 관련 기관 현황    - 해외 주재의 한류 관련 지원기관    - 한류 관련 법안 현황    - 한류연구 현황
    생산일자 2014.07.16
  • [2015-산업] 2014 대한민국 한류백서
    ▣ 프롤로그 ▣ 한류총괄편 ▣ 한류업계편  * 영화한류  * 방송한류  * 음악한류  * 게임한류  * 만화애니메이션한류  * 패션한류  * 음식한류  * 출판한류  * 광고한류  * 관광한류 ▣ 한류지역편  * 일본한류  * 중화권한류  * 동남아시아한류  * 중앙아시아한류  * 북미한류  * 중남미한류  * 서유럽한류  * 동유럽한류 ▣ 한류통계편 ▣ 한류정책, 법제편 ▣ 부록
    생산일자 2015.05.06
  • [2016-산업] 2015 대한민국 한류백서
    발간사 ─ 7 한류 총괄편 ─ 9 한류 업계편 ─ 39 ● 영화 한류 우수 기술과 인력의 해외 진출 ─ 41 ● 방송 한류 포맷수출과 공동제작 활성화 ─ 67 ● 음악 한류 EXO와 빅뱅이 이끈 라이브 공연 시장 ─ 87 ● 공연 한류 아이돌 캐스팅, 약인가 독인가 ─ 111 ● 게임 한류 모바일 게임과 e스포츠의 약진 ─ 131 ● 만화 한류 해외시장은 공략하고 국내시장은 지켜내고 ─ 154 ● 패션 한류 중국 내수시장 공략 본격화 ─ 180 ● 뷰티 한류 융복합 산업으로 성장가도 ─ 206 ● 음식 한류 패스트한식과 외식브랜드로 현대화 ─ 230 ● 광고 한류 한류 스타가 곧 한국의 이미지 ─ 253 ● 관광 한류 메르스 위기 극복의 주역 ─ 277 한류 지역편 ─ 301 ● 중화권 한류 한류 주요 소비국가로 자리매김 ─ 303 ● 일본 한류 돌파구가 필요한 위기의 한류 ─ 323 ● 동남아시아 한류 높은 한류 수요와 낮은 수익성 ─ 347 ● 중앙아시아 한류 문화-경제 한류의 선순환 ─ 381 ● 북미 한류 온라인 유통 플랫폼 기반의 한류 확산 ─ 401 ● 중남미 한류 한국 드라마, 텔레노벨라 시장 입성 ─ 425 ● 서유럽 한류 언론의 스포트라이트 받는 한류 ─ 462 ● 동유럽 한류 비세그라드 4국 중심의 한류시장 통합 ─ 475 ● 중동 한류 한류 콘텐츠의 다변화 ─ 493 ● 아프리카 한류 민·관 협력을 통한 교류활성화 ─ 511 한류 통계편 ─ 527 ● 한류 산업통계편 ─ 531 ● 한류 소비통계편 ─ 637 한류 정책·법제편 ─ 695
    생산일자 2016.04.18
  • [2016-산업] 2016 한류백서_한류 메이커스: 대한민국 한류산업론_요약
    『한류 메이커스』, 사드 리스크와 4차 산업 혁명에 맞서는 대한민국 문화 혁신가들의 고군분투기 - 한한령 역풍, 혐한의 도전 속에서 길을 잃지 않고 꿋꿋하게 응전하는 스마트 한류 스토리 방송, 영화부터 스포츠까지 11개 국내 대표 산업들이 만들어가는 한류이야기,『한류 메이커스』가 출간되었다. 국경을 넘어 언제 어디서든 콘텐츠를 호출하는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속에서 한류의 확산과 진화를 고민하는 혁신가들의 고군분투기를 다룬 책이다. ※ 본 도서는 전국 대형서점(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및 온라인서점(YES24, 인터파크, 11번가 도서) 등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일자 2017.04.11
  • [2017-기획] 사드, 그 이후의 한류
    제1부 : 한류와 문화산업 정책 한류 20년, 문화산업 정책_수출 지원과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사드, 그 이후 한류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생각 제2부 : 사드를 둘러싼 문화 전쟁 외교 갈등의 볼모가 된 한류 사드 이슈에 대한 엇갈린 입장과 언론보도 정치외교 이슈와 한류 간의 역학관계 위기의 'K담론'과 지속가능한 한류를 위한 제언
    생산일자 2018.02.14
  • [2016-산업] 2016 한류백서_한류 메이커스: 대한민국 한류산업론_통합
    ■ 한류연대표 ■ 프롤로그 ■ 2016년 한류를 이끈 주요 11개 산업 종횡무진 한류 메이커스 ■ 글로벌 한류 트렌드 ■ 한류 메이킹 스토리 Part 1. 대중문화콘텐츠 산업 1. 방송 한류 방송 한류의 터닝 포인트 <태양의 후예>  2. 영화 한류 <부산행>, 영화 한류의 새 역사를 쓰다 3. 음악 한류 디지털로 소통하는 3세대 K-POP 아이돌 4. 공연 한류 한류 스타 공연이 관광과 만났을 때 5. 게임 한류 도전받는 온라인 게임 종주국의 위상 6. 만화 한류 만화산업, 불균형 성장을 극복하라 ■ KOFICE 통신원이 뽑은 전 세계 인기 한류 콘텐츠 ■ 한류 메이킹 스토리 Part 2. 소비재와 서비스 산업 1. 패션 한류 온라인으로 파고드는 K-스타일 2. 뷰티 한류 세계를 홀린 K-뷰티의 위엄 3. 음식 한류 '일상'에서 '특별'하게 즐기는 한식 4. 관광 한류 위기가 기회, 관광산업은 체질 개선 중 5. 스포츠 한류 리우 올림픽에서 찾은 스포츠 한류의 미래 ■ 한류 콘텐츠 기업 분석 ■ KOFICE 프로젝트 ■ 참고자료 ■ 엮고 쓰다
    생산일자 2018.02.14
  • [2018-산업] 2017 한류백서
    ■한류 연대기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야별 한류 동향 : 6대 대중문화 콘텐츠 분석 방송 한류 | 글로벌 한류 확장, 방송 콘텐츠로 제2의 도약을 꿈꾸다 영화 한류 | 한국 영화 기술, 중국을 향하다  음악 한류 | K-팝, 더 넓은 세계로 공연 한류 | 은근하게, 위대하게 게임 한류 | 게임 한류의 새 지평을 연 〈배틀그라운드〉 만화 한류 | 웹툰, 만화 한류의 중심에 서다 ■분야별 한류 동향 : 4대 소비재·서비스 산업과 콘텐츠 기업 분석 패션 한류 | 차이나 플러스와 커뮤니티형 플랫폼 속에서 재도약을 꿈꾸다 뷰티 한류 | 혁신 기술과 만난 뷰티 한류, 글로벌 시장 도약의 해 음식 한류 | 편견을 뛰어넘어 다양화·다각화로 승부한다 관광 한류 | 관광 한류韓流 vs. 관광 한류寒流 콘텐츠 기업 분석 | 카지노 기업·드라마 제작사·영화 제작사·엔터테인먼트사·아이돌 그룹
    생산일자 2018.05.08
  • [2018-기획] 한류와 문화정책
    ■1부 어떻게 살아왔는가 1. 한류 직문직답  한류 20년, 회고와 전망     #1이창동_‘소통’의 문제, 문화적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     #2 유진룡_국민 행복을 살피는 눈, 문화가치를 발견하라 2. 한류 정책의 재조명  문화정책의 변천, 딜레마, 그리고 나아갈 방향 3. 정부별 한류 정책과 법제  문민정부에서 촛불정부까지 4. 새 문화정책 기다리기   ‘사회적인 것’과 문화정책, 한류 ■2부 어떻게 살 것인가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회와 문화콘텐츠 산업 융합혁신 전략    탈추격형 문화콘텐츠 산업 전략에 대한 제언 2. 사람을 위한 문화정치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려면 3. 글로벌 콘텐츠 경쟁 시대    한류, 플랫폼에서 답을 찾다 4. 착한 한류    더 나은 글로벌 문화교류를 위한 생각
    생산일자 2018.05.11
  • [2019-산업] 2018 한류백서
    ■ 책머리에ㅣ5 ■ 1부  2018 한류 총론 1. 11대 콘텐츠 요약ㅣ13 2. 해외 한류 실태조사ㅣ37 ■ 2부 2018 한류 부문별 성과와 전망  1. 방송 한류ㅣ53 지속 가능한 방송 한류를 위해 전략을 변화시켜야 한다 권호영 (한국콘텐츠진흥원 전문위원) 2. 영화 한류ㅣ87 신규 인재 발굴과 함께 아시아 진출 전략을 수정할 때 김경만 (영화진흥위원회 국제교류전략팀장) 3. 음악 한류ㅣ111 방탄소년단, 세계를 정복하다 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4. 공연 한류ㅣ147 공연시장의 다양화, 다변화, 다각화 이수정 (잔다리페스타 사무국장) 5. 게임 한류ㅣ173 밝지만은 않은 게임 한류의 현재와 미래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6. 만화 한류ㅣ201 지능형 웹툰의 기술혁신, 웹툰 플랫폼의 해외진출 다각화를 촉진하다 한창완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7. 출판 한류ㅣ 235 한국문학, 독자 저변을 확대하다 이구용 (KL매니지먼트 대표) 8. 뷰티 한류ㅣ265 잘나가던 한국 뷰티산업, 위기는 이미 시작되었다 손성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기획조사팀 주임연구원) 9. 패션 한류ㅣ293 핵심 융복합 콘텐츠로 발돋움하는 한국 패션 한미경 (한국패션산업연구원 패션사업본부 기업육성팀장) 10. 음식 한류ㅣ317 음식 한류, 글로벌 소비자를 유혹하다 장준우 (셰프 겸 푸드칼럼니스트) 11. 관광 한류ㅣ339 관광 한류는 현재 체질 개선 중 류설리 (한국관광공사 관광빅데이터센터 통계관리사) ■ 3부 2018 한류백서 부록 1. 한류 관련 정책ㅣ369 2. 한류 관련 논문ㅣ387 ■ 참고문헌ㅣ413
    생산일자 2019.04.23
  • [2019-기획] 한류, 다시 출발점에 서다
    ■ 책머리에 ■ 제1부 한류 직문직답, 그 두 번째 이야기 [인터뷰]  1. 한류, 한국 문화 전반의 토대를 세우는 일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2. 난타에서 평창동계올림픽까지     송승환 PMC프러덕션 예술총감독 3. 유튜브 이전의 케이팝, 이후의 케이팝     서황욱 구글코리아 GCN-한국유튜브파트너십 전무 4. 국제문화교류를 진흥한다는 것     김용락 시인·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원장 ■ 제2부 한류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디지털 기술 시대의 사회적 상상과 한류    원용진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문화연구가 2. 한류의 효용: 산업 너머, 강대국 너머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3. 글로컬 문화로서 케이팝의 보편성과 독특성     김수정 충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제3부 한류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케이팝 그 이후 1. 케이팝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차우진 음악평론가 2. 뉴미디어와 케이팝     김미연 카카오M 원더케이스튜티오 국장 / 권석정 카카오M PD 3. 인공지능과 음악산업의 미래     조영신, 심효섭, 김유래 SK브로드밴드 BANC팀 4. 케이팝의 성과와 쟁점     임진모 대중음악평론가·팝 칼럼니스트
    생산일자 2019.06.20
  • (영문) 2018 한류백서_Hallyu White paper 2018(English)
    1. Introduction to the Hallyu(The Korean Wave) White Paper, 2018 2. Hallyu, Again at the starting point 1) Hallyu and the social imaginary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Yongjin Won Professor, Sogang University,     Department of Communication) 2) Efficacy of Hallyu: beyond industry, beyond superpower    (Doobo Shim Professor, Sungshin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Media Communication) 3)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pop as a glocal culture    (Sujeong Kim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 New media and K-pop    (Mi-yeon Kim, Director of the Kakao 1theK Studio     · Seok-jeong Kwon, Kakao M PD) 5) Q&A about Hallyu, the Second Story    Interviewee: Jong-hwan Do Poet and politician     ;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 former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terviewer: Ah-young Kim KOFICE research team
    생산일자 2019.11.14
  • [2011 기본] 2010 한류 경제효과 및 한류지수 조사 결과
     2010년도 한류의 생산유발효과 및 아시아 5개국 한류지수 조사 결과   ▣ 한류지수 조사 개요      - 조사국가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태국 5개국      - 조사분야 : 방송, 영화, 음악, 게임      - 조사대상 : 한류콘텐츠를 1번 이상 경험해본 10대부터 40대까지 국가별 400명, 총 2,000명      - 조사방법 : 설문조사
    생산일자 2014.01.06
  • [2015 기본] 2014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제2절 연구조사의 설계 제2장 한류지수  제1절 한류지수의 정의  제2절 한류지수에 관한 기존 연구  제3절 한류지수의 개선방안  제4절 한류지수 연구 모형 제3장 한류의 경제적 효과  제1절 경제적 효과의 범위  제2절 경제적 효과 추정 방법  제3절 한류의 수출 효과  제4절 한류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제4장 한류지수와 경제적 효과의 관계  제1절 한류 소비와 타상품 소비의 관계  제2절 한류지수와 소비재수출과의 관련성 분석 제5장 연구 종합 및 전략적 제안  제1절 연구결과의 정리  제2절 국가별 전략 제안  제3절 산업별 전략 제안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생산일자 2015.05.04
    12345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