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I
1장 한류의 중요성 --1
1. 한류 패러다임의 변화 --1
2. 한류 자산관리의 필요성 --1
3. 연구의 구성 --2
2장 한류 및 중국 문화산업 현황 --4
1. 한류의 현황 --4
1) 중국의 한류 현황 --5
2) 타이완의 한류 현황 --6
3) 베트남의 한류 현황 --7
4) 홍콩의 한류 현황 --7
5) 일본의 한류 현황 --8
2. 중국 문화산업 현황 --9
1) 방송산업 --8
2) 공연산업 --14
3) 음반산업 --15
4) 영화산업 --17
3장 한류에 관한 연구 --20
1. 한류의 개념 및 정의 --20
2. 한류의 구성요소 및 현황 --22
1) 드라마 --22
2) 영화 --22
3) 음악 --23
4) 공연 --24
5) 게임 --25
3. 한류의 후광효과 --26
4장 브랜드에 관한 연구 --28
1. 브랜드의 개념 --28
2. '브랜드 자산'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제 견해 --28
3.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 및 모델 --31
1) Aaker의 모델 --31
2) Keller의 모델 --32
3) Na, Marshall, & Keller의 모델 --33
4) 브랜드 자산 측정방법 --34
5장 한류 자산 측정을 위한 기본틀 --41
1. 한류의 조작적 정의 --41
1) 한류인지차원 --42
2) 한류의 속성, 혜택, 가치 차원 --42
3) 한류 이미지 차원 --43
4) 한류 충성도 차원: 구매빈도 및 재구매의도 --43
2. 연구모델 --44
3. 한류지수도출과정 --44
Ⅴ. 실증분석(1) - 기초통계결과 --47
1. 인구통계적 특성 --47
2. 국가이미지 --52
3. 드라마/탤런트 분야 --54
4. 영화/영화배우 분야 --72
5. 음악/가수 분야 --89
6. 공연 분야 --106
Ⅵ. 실증분석(2) - 한류지수도출 --115
1. 한류지수(KWI) 도출결과 --116
1) 드라마/탤런트 분야 --117
2) 영화/영화배우 분야 --118
3) 음악/가수 분야 --119
4) 공연 분야 --121
5) 한류지수 비교국가 통합 --122
Ⅶ. 실증분석(3) - 한류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효과 --135
1. 한류 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에 대한 가격지불의사 --135
1) 한류 관련문화선업 및 연관산업에 대한 구매의사 증가정도 --135
2) 한류 관련문화산업에 대한 가격지불의사 --138
3) 한류 연관산업에 대한 가격지불의사 --144
2. 한류 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 지수 도출 --153
1) 한류 관련문화산업 지수 도출 --157
2) 한류 연관산업 지수 도출 --162
3) 한류 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지수 비교국가 통합 --171
Ⅷ.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174
[참고문헌]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