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시청각류
  • 주제분류
    • 한류NOW
    • 해외통신원
    • 한류 조사연구 보고서
    • 포럼 · 세미나
  • 시기분류
    • 2000년대 (2)
      • 2000년~2004년
      • 2005년~2009년
    • 2010년대 (2)
      • 2015년~2019년
      • 2010년~2014년
    • 2020년대 (2)
      • 2020년~2024년
      • 2025년~2029년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level = 2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1 , index = 5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39개의 기록물
  • 제3회 아시아음악산업리더 포럼
    개최일 2009년 9월 19일(토) 장소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룸 주최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내용 아시아음악산업리더포럼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음악산업트렌드 변화와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정보공유의 장이다. 특히 음악산업 전문가를 중심으로 상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아시아 음악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글로벌화에 필요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 주제 : 아시아 디지털 음악시장을 활성화를 통한 아시아 음악산업 발전방안 ◈ 일시 : 2009년 9월 19일(토) ◈ 장소 :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룸 ◈ 주최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주제발표  <세션Ⅰ>  발표 1 : 태국의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 세계적 경제위기를 태국의 기회로              (룽루앙 림추파티파, 태국 소프트웨어산업 진흥원 원장)  발표 2 : 변화의 도전에 직면한 홍콩 음악산업계             (리키 펑, IFPI-Hongkong Music Group 회장)  <세션 Ⅱ>  발표 1 :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시아 음악산업의 문화교류             (김영민, SM엔터테인먼트 그룹 대표이사)  발표 2 : 아시아 음악산업교류의 활성화 증대에 대한 일본음악산업협회의 정책             (케이 이시자카, 일본레코드협회 회장/일본유니버셜 대표이사)
    생산일자 2009.09.19
  • 주한 해외 문화주재관 워크숍
    개최일 2009년 7월 10일(금)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1 세미나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주관) 내용 ◈ 주제 : 쌍방향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토론 ◈ 참석자 : 주한 해외문화주재관(14개국 18명 문화주재관), 정부, 유관기관, 업계, 학계 관계자 ◈ 주제발표 주제발표 1 : 세계 모든 국가 간 이해와 우정을 통한 가교 구축하기(Zhao He, Che 중국문화원장/문화참사관) 주제발표 2 : 한·멕시코 문화교류 강화(Jorge A. Agraz, 문화담당관/3등서기관) 주제발표 3 : 쌍방향 문화교류 현황과 향후 방향(고정민 삼성경제연구소/수석연구원) 문화의 교류와 개방을 통해 세계와 함께하는 국가 이미지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재단의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그 동안 학계 및 유관 기관 등을 통한 의견수렴은 자주 이루어졌으나, 국가 간 문화교류에 있어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각국의 주한 외국 문화주재관과의 의견공유의 장은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국가 간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된 ‘주한 해외 문화주재관 워크숍’은 문화체육관광부 및 국내 문화관련 유관기관 관계자들도 참석해 국가 간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었다.
    생산일자 2009.07.10
  • 2009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
    개최일 2009년 11월 26일(목) 장소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륨 주최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내용 ◈ 발제주제 및 발제자 <세션 Ⅰ> - 방송콘텐츠 비즈니스의 새로운 모델 : 드라마 포맷의 국제적 유통   (호세소토에스뜨라다 Iberoamericana 대학교 교수, 멕시코) - 드라마의 미래전략 : 글로벌 킬러콘텐츠의 기획   (박인택 삼화네트웍스 부사장, 한국) <세션 Ⅱ> - 태국 음악산업의 최근 동향 및 한국-태평양 음악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수라차이 센스리, GMM GRAMMY International 부사장, 태국) <세션 Ⅲ> - 경제한류 현황과 미래전략   (기세명 KOTRA 아대양주팀장팀장, 한국) 글로벌문화산업포럼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매년 개최하는 연례행사로 국내·외 문화산업 실무자와 전문가를 초청해 시장 동향 및 성공 사례, 현지 진출을 위한 전략 등 세계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2009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은 한국을 비롯한 멕시코, 태국 등 국내ㆍ외 문화산업 전문가들로부터 세계 문화콘텐츠 현황과 미래 발전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북ㆍ중남미 지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라틴 드라마 ‘텔레노벨라’의 성공요인과 한ㆍ일 합작 프로젝트인 ‘텔레시네마’ 사례를 통한 드라마산업 미래 전략, 아시아 동남아시아 음악 시장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한류를 활용한 국내 경제 분야 사례 등과 관련된 최신정보와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생산일자 2009.11.26
  • 제1회 아시아음악산업리더 포럼
    개최일 2006년 9월 22일(금) 장소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4층 회의장 주최 (재)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내용 ◈ 주제 : 아시아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교류 방안 ◈ 주제발표  <세션Ⅰ> 아시아 공연 교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발표 1 : 한국과의 공연산업 비즈니스의 문제점과 개선책             (수라차이 센스리, GMM Grammy Public Limited. 해외공연/음반 이사, 태국)   발표 2 : 해외 공연 인증제 도입 방안             (추연수 한국음악산업협회 본부장)   발표 3 : 한국 가수의 해외 진출 과정에서의 문제점             (홍승성 JYP 엔터테인먼트 대표)  <세션 Ⅱ> 디지털 음악콘텐츠 산업과 해외 비즈니스 발전방안 제시   발표 1 : 일본 음악시장 현황과 전망             (케이지 스키모토, Back Stage Project 사장, 일본)   발표 2 : 아시아 시장에서의 음악 유통-필리핀을 중심으로             (토마스 탄찬코 Tomas TANCHANCO, 12 Stone Records 전무 이사, 필리핀)   발표 3 : 국내 음악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문제점 분석 및 대안 제시             (조규철 (㈜ 유니버셜 뮤직 퍼블리싱 대표, 한국) 아시아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한 논의의 장인 제1회 아시아음악산업리더포럼이 아시아송페스티벌 부대행사로 개최하였다. 아시아 4개국 음악산업 관계자들이 모여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올바른 국제교류의 방법을 모색하고 한국 음악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문제점 및 대안을 모색하였다.
    생산일자 2006.09.22
  • 제2회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
    개최일 2005년 10월 11일 - 12일 장소 아트센터 주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내용 ◈ 특별강연    - 중국의 새로운 방송정책 - 디지털 미디어의 이종/동종 융합을 중심으로    - 스타 TV: 1억 시청자 확보의 경험    - 문화교류의 차원들    - 아시아 콘서트 산업의 미래    - 창조 클러스터의 원동력 ◈ 섹 션    - 다매체시대 글로벌 시청자 확보 전략    - 아시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시장 확대    - 공동제작 케이스 스터디    - 아시아 영화의 현재와 미래    - 지적재산권과 음악 산업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극복하고 21세기 초일류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국가적 비전을 제시하고자 개최하는 '세계지식포럼 2005'의 엔터테인먼트 트랙으로 ‘제2회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을 개최하였다. 2일간 총 5개의 특별강연과 5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30여명의 문화산업 전문가들이 아시아의 문화산업 발전에 대해 다각도로 논의되었다.
    생산일자 2005.10.12
  • 제1회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
    개최일 2004. 11. 24(수) 09:30 - 25(목) 장소 하이야트 호텔 리젠시룸 및 각 분과 회의룸 주최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주관)(사)문화산업포럼, 독립제작사협회, 영화진흥위원회, 음반산업협회, 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내용 ◈ 패널구성 :  43명       * 해외초청 연사 및 패널 : 23명(프랑스,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 국내초청 연사 및 패널 : 20명 ◈ 분과 구성       - 방송/TV 분과 (주관: 독립제작사협회)         • 한, 중, 일 3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의 방송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       - 대중음악 분과 (주관: 음반산업협회)         • 아시아 대중음악의 공동 발전방안, 저작권 보호 방안 등에 대해 논의       - 애니메이션 분과 (주관: 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 한-중 애니메이션 협력방안 논의       - 영화 분과 : (주관: 영화진흥위원회)         • 아시아 영화시장 현황과 아시아 영상문화산업 네트워크 구축 방안 논의 국내외 문화산업 현황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아시아 지역 문화산업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아시아 문화산업계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아시아문화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개최하는 포럼. 아시아 7개국 23인, 국내 20인의 문화산업계 리더가 모여 향후 아시아 문화산업의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 유럽 EURIMAGE의 사례발표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도 유럽과 같은 협력방안을 모색해야겠다는 뜻을 모았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하여 일회성이 아니라 중장기적 비전을 가진 내실 있는 포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생산일자 2004.11.24
  • 한류총서Ⅰ- 한류포에버: 한류 현주소와 경제적 효과분석
    제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한류조사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한류의 ‘경제적 효과 분석’ 이외에 ‘한류의 개념’에서부터 ‘각 국가 및 콘텐츠별 최신 현황’을 알기 쉽게 풀어가고 있다. 특히, 6명의 한류 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그 완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책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류는 무엇인가>편에서는 한류의 유래와 양상에서부터 한류의 효과와 발전 단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일본>, <중화권>, <동남아시아>, <미국과 기타지역>편에서는 지역별 한류 특성과 현황, 성공사례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국가별 한류 재점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제언하고 있다. <한류의 경제적 효과>편에서는 한류의 직․간접 수출효과와 생산․부가가치․취업유발효과에 대해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결과를 산출해 놓았다. 이와 함께 향후 지역별 한류 지속․확산을 위한 전략과 과제에 대해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 ▲반한류 정서에 대응 ▲한류의 기초인프라 구축 ▲한류 지역별 차별화 전략 추진 ▲진출 형태의 다양화 ▲해외 프로그램 유통채널의 설립 ▲아시아를 하나의 시장으로 등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 책 구입은 일반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 가능.
    생산일자 2009.03.30
  • 제1회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 아시아 문화산업의 네트워킹
    11월 24일 (첫째날)   대중음악 (리젠시룸)     <발표> 저작권 사업의 현재 상황       다니구치 하지메 TANIGUCHI Hajime (일본음악출판업협회 전무이사)     <발표> 하나의 아시아, 하나의 문화       이수만 (한국음악산업협회 부회장)   애니메이션 (로터스룸)     <발표>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 정책      傅鐵錚 FU Tiezheng (중국 TV 예술협회 만화위원회 부위원장)     <발표>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합작 활성화를 위한 협력방안       이병규 (서울무비 감독)   TV & 방송 1 (리젠시룸)     <발표> 영상문화교류협력 강화와 공동 번영 및 발전의 촉진       马润生 MA Runsheng (중국 라디오, 영화 TV 프로그램 교류센터 국장)     <발표> 일한중 상호 의식과 대중문화교류 - 드라마를 중심으로       고하리 스스무 KOHARI, Susumu (시즈오카 대학교 부교수) 11월 25일 (둘째날)   영화 (리젠시룸)     <발표> 아시아 각국의 영화시장 현황과 아시아영상문화산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방안       김형준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발표> 영화 저작권 보호기간 연장       후쿠다 케이지 FUKUDA Keiji (일본영화제작자연맹 사무국장)   TV & 방송 2 (리젠시룸)     <발표> 도입과 규제: 중국 TV에서의 외국 프로그램       黃升民 HUANG Shengmin (중국 커뮤니케이션대학교 광고대학장)     <발표> 아시아지역TV문화산업협력에 대한 기본 관점      尤小刚 YOU Kiaogang (중베이 TV예술센터 회장)
    생산일자 2004.11.24
  • 한류 브랜드자산 측정 연구
    요약 --I   1장 한류의 중요성 --1     1. 한류 패러다임의 변화 --1     2. 한류 자산관리의 필요성 --1     3. 연구의 구성 --2   2장 한류 및 중국 문화산업 현황 --4     1. 한류의 현황 --4       1) 중국의 한류 현황 --5       2) 타이완의 한류 현황 --6       3) 베트남의 한류 현황 --7       4) 홍콩의 한류 현황 --7       5) 일본의 한류 현황 --8     2. 중국 문화산업 현황 --9       1) 방송산업 --8       2) 공연산업 --14       3) 음반산업 --15       4) 영화산업 --17   3장 한류에 관한 연구 --20     1. 한류의 개념 및 정의 --20     2. 한류의 구성요소 및 현황 --22       1) 드라마 --22       2) 영화 --22       3) 음악 --23       4) 공연 --24       5) 게임 --25     3. 한류의 후광효과 --26   4장 브랜드에 관한 연구 --28     1. 브랜드의 개념 --28     2. '브랜드 자산'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제 견해 --28     3.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 및 모델 --31       1) Aaker의 모델 --31       2) Keller의 모델 --32       3) Na, Marshall, & Keller의 모델 --33       4) 브랜드 자산 측정방법 --34   5장 한류 자산 측정을 위한 기본틀 --41     1. 한류의 조작적 정의 --41       1) 한류인지차원 --42       2) 한류의 속성, 혜택, 가치 차원 --42       3) 한류 이미지 차원 --43       4) 한류 충성도 차원: 구매빈도 및 재구매의도 --43     2. 연구모델 --44     3. 한류지수도출과정 --44   Ⅴ. 실증분석(1) - 기초통계결과 --47     1. 인구통계적 특성 --47     2. 국가이미지 --52     3. 드라마/탤런트 분야 --54     4. 영화/영화배우 분야 --72     5. 음악/가수 분야 --89     6. 공연 분야 --106   Ⅵ. 실증분석(2) - 한류지수도출 --115     1. 한류지수(KWI) 도출결과 --116       1) 드라마/탤런트 분야 --117       2) 영화/영화배우 분야 --118       3) 음악/가수 분야 --119       4) 공연 분야 --121       5) 한류지수 비교국가 통합 --122   Ⅶ. 실증분석(3) - 한류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효과 --135     1. 한류 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에 대한 가격지불의사 --135       1) 한류 관련문화선업 및 연관산업에 대한 구매의사 증가정도 --135       2) 한류 관련문화산업에 대한 가격지불의사 --138       3) 한류 연관산업에 대한 가격지불의사 --144     2. 한류 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 지수 도출 --153       1) 한류 관련문화산업 지수 도출 --157       2) 한류 연관산업 지수 도출 --162       3) 한류 관련문화산업 및 연관산업지수 비교국가 통합 --171   Ⅷ.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174   [참고문헌] --180
    생산일자 2005.02.28
  • 한류관련 조사사업 결과 발표회 -한류의 효과와 영향, 의미-
    제1발제   『한류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     (발제자: 조동성 교수) 제2발제   『한류 브랜드자산 측정 연구』     (발제자: 한은경 교수) 제3발제   『한류실태파악을 통한 활성화방안 연구』     (발제자: 조성룡 책임연구원)
    생산일자 2005.03.16
  • 한류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 연구보고서
    요약 --1   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방법 --5     3. 연구가정 --7   제2장 이론적 고찰 --14     1. 한류의 선행연구 분석 --14     2. 한류의 정의 --16   제3장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23     1. 산업연관분석의 기본 모형 --23       1) 투입계수 및 생산유발계수 도출 --25       2) 부가가치유발계수 도출 --28       3) 고용유발계수 도출 --29   제4장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32     1.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32       1) 직접 효과(문화산업) --32         (1) 음반 --32         (2) 영화 --39         (3) 방송 --47         (4) 게임 --54       2) 간접 효과(제조 및 서비스산업) --59         (1) 휴대폰 --60         (2) 가전제품 --61         (3) 의류 --63         (4) 화장품 -- 65         (5) 관광 --67     2. 한류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 --77       1) 직접효과 --77       2) 간접효과 --82   제5장 결론 --88     1. 연구결과 요약 --88     2. 연구의 한계 --91     3. 한류의 향후 전망 및 활용방안 --92 참고문헌 --95
    생산일자 2005.04.01
  • 한류정책자문위원회 정기 세미나 2005 한류! 기회와 도전
    ▣ 환영의 글 - 신현택(한류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 2005 한국 문화산업을 말한다-심상민   (한류 베이스캠프의 동향과 과제) ▣ 한류 확산과 지속 전략-박재복   (킬러콘텐츠 육성방안을 중심으로) ▣ 반한류의 성격과 그 대응 방식-이은숙 ▣ 새로운 한류 시장 동남아-김홍구   (현황과 지속·확산 방안)
    생산일자 2005.02.30
  • 한류확산을 위한 동남아 한국문화상품 소비자 및 정책조사 요약보고서
    조사개요 --1   1.조사의 배경 및 목적 --2   2.조사의 범위 --4   3.조사내용 --4   4.조사진행개요 --5   5.응답자 특성 --6   6.조사결과 해석의 전제 --9 전문가 인터뷰 요약 --11 문헌연구 싱가폴편 --24   Ⅰ. 국가개관 --25   Ⅱ. 경제 --26   Ⅲ. 문화산업 --27     1.영화 --27     2.방송 --28     3.인쇄매체 --28     4.음악 --33     5.게임 --35     6. 문화산업의 특성 --36 말레이시아편 --40   Ⅰ. 국개개관 --41   Ⅱ. 경제 --42   Ⅲ. 문화산업 --43     1.영화 --43     2.방송 --44     3.인쇄매체 --47     4.음악 --48     5.게임 --49     6. 문화산업의 특성 --51 태국편 --55   Ⅰ. 국가개관 --56   Ⅱ. 경제 --51   Ⅲ. 문화산업 --57     1.영화 --51     2.방송 --59     3.인쇄매체 --61     4.음악 --61     5.게임 --62     6. 문화산업의 특성 --64 주요 조사결과의 요약 --66   Ⅰ. 한류현황 --67   Ⅱ. 한국문화상품의 경쟁력 --78   Ⅲ. 한류의 지속·확산 가능성 --87   Ⅳ. 한국 문화상품의 소비자 --95   Ⅴ. 국가이미지 --102   Ⅵ. 여행이미지 --104   Ⅶ. 제품이미지 --107   Ⅷ. 한국문화상품의 영향력 --109     1.국가의 관심도 --109     2. 한국문화상품의 파급효과 --110       1)한국 문화상품과 국가이미지 --110       2)한국 문화상품과 여행이미지 --115       3)한국 문화상품과 제품이미지 --121       4)한국 문화상품과 제품구매의향 --134
    생산일자 2005.12.15
  • 2005, 아시아 한류를 말한다
    제1발제   베트남의 한류 오늘과 미래     (발제자 : 하노이 통신원 당티에우응언(Dang Thieu Ngan)) 제2발제   2005 대만한류의 문제점과 대안     (발제자 : 대만 통신원 임정귀(Lim Jing Kuei)) 제3발제   일본의 한류 현황과 미래(한국어학습 시민강좌 중심으로)     (발제자 : 일본 통신원 한도치즈코(Hando-Chizko)) 제4발제   '한류'와 중국의 영상문화산업     (발제자 : 북경 통신원 채용남(Cai Long Nan)) 종합토론   2005 대만한류의 문제점과 대안     (발제자 : 대만 통신원 임정귀(Lim Jing Kuei))
    생산일자 2005.12.15
  • 2005 해외언론 한국문화 취재지원사업 해외언론 보도 실적
    1. 이사장 인사말 2. 대만 기자단   (2005.03.07~2005.07.29) 3. 중국 대학 기자단   (2005.07.25~2005.07.29) 4. 상해 동방 TV 취재단   (2005.08.07~2005.08.14) 5. 베트남 기자단   (2005.10.09~2005.10.13) 6. 인도 기자단   (2005.10.30~2005.11.06) 7. 북경인문올림픽 연구기지 및 언론취재단   (2005.11.08~2005.11.12)
    생산일자 2005.02.31
  • 한류확산을 위한 동남아 한국문화상품 소비자 및 정책조사 부록
    조사결과 집계표 --3   첨부 : 한국 무노하상품과 국가이미지 분석결과표 --211 정량조사 설문지   1. 설문지 (한글) --229   2. 싱가포르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254   3. 말레이시아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303   4. 태국 (태국어) --349 정성조사 질문 가이드라인 --375
    생산일자 2005.12.01
  • 동아시아 방송작가 컨퍼런스 TV드라마를 통해 본 아시아 문화의 동질성
    Ⅰ. 행사개요 --3 Ⅱ. 참가자 명단 --7 Ⅲ. 내용기록 --17 Ⅳ. 홍보결과 --53 Ⅴ. 부록 --109
    생산일자 2006.06.14
  • 미국의 다민족 채널 현황과 한국 방송콘텐츠 진출 전략
    발표 1   (전범수 한양대 교수) 발표 2   (정윤경 순천향대 교수) 지정토론 1   (최재영 SBS프로덕션 콘텐츠1팀 차장) 지정토론 2   (은문기 KBS글로벌전략팀 팀장)
    생산일자 2006.09.15
  • 제3회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
    세션 1 국제적인 투자의 조건들   발표 1: '공동제작 파이낸스 및 비즈니스 스킴의 문제와 해결'     발표자: KAWAI Shinya, GAGA Communications Executive Producer   발표 2: '중국영화시장과 해외자본 중국투자 현황'     발표자: SHI Wen(史文霞), 중국영화판권보호협회 홍보부장 세션 2 아시아 영화와 TV 콘텐츠에 대한 페스티벌과 견본시   발표 1: '아시아 영화 페스티벌의 현황'     발표자: Darcy PAQUET, 잡지 Variety의 한국통신원   발표 2: 'BCWW의 성과와 전망'     발표자: 윤재식,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KBI) 팀장
    생산일자 2006.10.26
  • 아시아 국가 소비자 및 정책조사 중간 보고
    I장. 조사개요 --3 2장. 주요 조사 결과 --16   Ⅱ-1. 문헌 및 정성조사 --17   Ⅱ-2. 소비자 조사 --32
    생산일자 2006.11.16
  • 한일대중문화교류세미나 탈근대, 동아시아, 그리고 한일문화교류
    제1주제 한일문화교류의 역사   발표 1: '한일문화교류의 역사와 현황'     발표자: 이지원 한림대 교수   발표 2: '한국의 일본문화수용, 일본의 한국문화수용'     발표자: 하야시 나츠오 도야마대 조교수 제2주제: 한일 문화수용의 현황   발표 1: '한일문화수용과 상호인식 비교'     발표자: 이창현 국민대 교수   발표 2: '아시아의 문화교류와 일본에서의 한류'     발표자: 하야시 카오리 동경대 대학원 정보학환 조교수 제3주제 한일문화산업 교류 전망   발표 1: '한국드라마가 일본에서 경쟁력을 얻기 위한 한국방송산업의 구조적 개선안'     발표자: 송병준 그룹에이트 대표   발표 2: '한국드라마의 일본진출과 일본드라마의 한국진출 현황과 미래'     발표자: 노자키 무네토시 후지TV 국제국 부부장
    생산일자 2006.11.28
  • 방송통신융합시대 문화콘텐츠와 미디어산업의 제2의 도약
    세미나 1부 --1   - 사회 : 최창섭9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대주제 : "정보화 사회와 문화산업의 좌표" --3       - 정홍익(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 제1주제 : "문화콘텐츠 · 미디어 산업 세계화 전략" --7       - 발표 : 김택환(중앙일보 미디어 전문기자)       - 토론 : 이형오(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30                  김일호(오콘 대표)                  윤재식(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유통정략팀장) --32 세미나 2부 --35   -사회 : 한진만(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제2주제 : "방송통신융합시대 콘텐츠산업 육성방안" --37       - 발표 : 안종배(한세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 토론 : 이상식(계명대학교 신문방송학교 교수)                  성열홍(CJ 시스템즈 상무)                  신현구(디지탈 플러스 대표)     ▶ 제3주제 : "문화 · 미디어산업 인프라 구축 및 수요 증지 방안" --77       - 발표 : 임학순(가톨릭대학교 디지털문화학부 교수)       - 토론 : 남형두(연세대학교 법학과 교수) --91                  황준욱(노동연구원 연구위원) --93                  박조원(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문화산업정책팀장) --96
    생산일자 2006.11.29
  •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동아시아 소비자 및 정책조사 연구
    제 1장 조사개요 --1   Ⅰ. 조사배경 --1     1. 중화권과 일본의 한류 실태 --1     2. 한류 시장의 역동성 --1   Ⅱ. 조사목적 --3   Ⅲ. 조사설계 --4     1. 전체적인 조사의 scheme --4     2. 조사프로세스 --4     3. 문헌연구 설계 --5     4. 정성조사 --5     5. 정량조사 --6   Ⅵ. 응답자 특성 --8     1.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8     2.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9 제 2장 조사연구 요약 및 결론 --11   Ⅰ. 문헌조사 및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13   Ⅱ.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29   Ⅲ. 결론 및 제언 --53 제 3장 문헌연구 --91   Ⅰ. 중국 --91     1. 방송 --91     2. 영화 --95     3. 음악 --102     4. 게임 --108     5. 기타 --111   Ⅱ. 홍콩 --115     1. 방송 --115     2. 영화 --119     3. 대중음악 --123     4. 게임 --126     4. 기타 --128   Ⅲ. 대만 --131     1. 방송 --131     2. 영화 --136     3. 대중음악 --141     4. 게임 --145     5. 기타 --148   Ⅳ. 일본 --151     1. 방송 --151     2. 영화 --157     3. 대중음악 --164     4. 게임 --169     5. 기타 --171 제 4장 전문가 대상 심충면접조사 결과 --175   Ⅰ. 중국 --175   Ⅱ. 홍콩 --179   Ⅲ. 대만 --182   Ⅳ. 일본 --186 제 5장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197   Ⅰ. 대중문화 콘텐츠 이용현황 --191     1. 드라마 --191     2. 영화 --206     3. 대중음악 --217     4. 게임 --228     5. 한국 연예인 --239   Ⅱ. 한국 이미지 평가 --243     1. 이미지 평가 --243     2. 한국 대중문화 접촉의 영향 --248     3. 한류/반한류 인지 --254 부록 1.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가이드라인 --259 부록 2.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설문지 --264
    생산일자 2006.12.01
  • 2007 KOFICE 해외통신원 세미나 한국 문화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모색
    미국 --1 인도 --19 일본 --43 태국 --67 중국 --85 베트남 --111 말레이시아 --129 멕시코 --153 몽골 --167 우즈베키스탄 --187 인도네시아 --205 홍콩 --233
    생산일자 2007.12.01
    12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