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조사개요 --1
Ⅰ. 조사배경 --1
1. 중화권과 일본의 한류 실태 --1
2. 한류 시장의 역동성 --1
Ⅱ. 조사목적 --3
Ⅲ. 조사설계 --4
1. 전체적인 조사의 scheme --4
2. 조사프로세스 --4
3. 문헌연구 설계 --5
4. 정성조사 --5
5. 정량조사 --6
Ⅵ. 응답자 특성 --8
1.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8
2.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9
제 2장 조사연구 요약 및 결론 --11
Ⅰ. 문헌조사 및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13
Ⅱ.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29
Ⅲ. 결론 및 제언 --53
제 3장 문헌연구 --91
Ⅰ. 중국 --91
1. 방송 --91
2. 영화 --95
3. 음악 --102
4. 게임 --108
5. 기타 --111
Ⅱ. 홍콩 --115
1. 방송 --115
2. 영화 --119
3. 대중음악 --123
4. 게임 --126
4. 기타 --128
Ⅲ. 대만 --131
1. 방송 --131
2. 영화 --136
3. 대중음악 --141
4. 게임 --145
5. 기타 --148
Ⅳ. 일본 --151
1. 방송 --151
2. 영화 --157
3. 대중음악 --164
4. 게임 --169
5. 기타 --171
제 4장 전문가 대상 심충면접조사 결과 --175
Ⅰ. 중국 --175
Ⅱ. 홍콩 --179
Ⅲ. 대만 --182
Ⅳ. 일본 --186
제 5장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197
Ⅰ. 대중문화 콘텐츠 이용현황 --191
1. 드라마 --191
2. 영화 --206
3. 대중음악 --217
4. 게임 --228
5. 한국 연예인 --239
Ⅱ. 한국 이미지 평가 --243
1. 이미지 평가 --243
2. 한국 대중문화 접촉의 영향 --248
3. 한류/반한류 인지 --254
부록 1.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가이드라인 --259
부록 2. 일반인 대상 개별면접조사 설문지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