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2020년 국제문화교류 실태조사
  • 0


Ⅰ. 조사 개요
  가. 조사 배경 및 목적 --3
  나. 법적 근거 --3
  다. 조사 설계 --3
  라. 조사 내용 --4
  마. 표본 설계 --5
    1. 모집단 정의 --5
    2. 조사 모집단 분석 --5
    3. 표본추출 및 표본 배분 --6
    4. 실사 설계 --7
    5. 모수 추정 및 표준오차 --8
    6. 무응답 처리 기준 --10
  바. 응답자 특성 --11
Ⅱ. 주요 조사 결과
  1.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현황 --15
  2. 인력 현황 --18
  3. 국제문화교류 세부 사업 현황 --20
  4. 2020 년 국제문화교류 사업계획 현황 --25
  5. 국제문화교류 환경 평가 --27
  6. 국제문화교류 사업 전망 --28
Ⅲ. 조사 결과 분석
  가. 국제문화교류 사업 현황 --33
    1.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수행 경험 여부 --33
    2-1-1. 전체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현황 - 교류 내용 --34
    2-1-2. 전체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현황 - 사업 건수, 사업비, 재원 비중 --35
    3. 2-19 년 전체 사업비(예산) 및 국제문화교류 사업비(예산) --41
    4.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을 하는 주된 목적 --42
    5.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수행 시 주된 어려움 --43
    6.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을 하지 않았던 주된 이유 --44
    7. 향후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수행 계획 여부 --45
  나. 인력 현황 --46
    1. 국제문화교류 업무 담당하는 부서 수 및 인력 규모(평균) --46
    2. 전문인력 채용 시 갖추어야 할 역량 --47
    3.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을 위한 전문인력 채용시 어려운 점 --48
    4. 사업(활동) 수행 인력 대상 자체교육 및 외부교육 실시 여부 --49
    5-1. 자체교육 및 외부교육 등의 필요성 --50
    5-2. 자체교육 및 외부교육 등의 필요 교육 내용 --51
  다. 국제문화교류 세부 사업 현황 --52
    1. 주요 사업의 평균 사업비 --52
    2. 주요 사업의 재원 조달 방식 --53
    3. 주요 사업의 재원 비중 --56
    4. 주요 사업의 교류 내용 --57
    5. 주요 사업의 교류 영역 --60
    6. 주요 사업의 교류 대상 --63
    7. 주요 사업의 교류 주기 --66
    8. 주요 사업의 교류 장소 --69
    9. 주요 사업의 추진 방식 --72
    10. 주요 사업의 교류 방법 --75
    11. 주요 사업의 교류 국가 --78
  라. 2020 년 국제문화교류 사업계획 --81
    1. 계획한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유무 --81
    2. 계획한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 현황 - 사업 건수 및 사업비(평균) --82
    3-1. 가장 증가한 교류 내용 --87
    3-2. 가장 감소한 교류 내용 --88
  마. 국제문화교류 환경 평가 --89
    1. 국제문화교류 관련 정책지원 방식 및 제도 평가 --89
    2. 정책지원 방식 및 제도 전반적 평가 --95
    3. 지속 발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96
  바. 국제문화교류 사업 전망 --97
    1-1. 향후 국제문화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사 --97
    1-2. 향후 국제문화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 --98
    2-1. 향후 가장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는 국제문화교류 내용 --99
    2-2. 확대될 것이라 생각하는 주된 이유 --101
    3. 향후 가장 확대될 것으로 예쌍하는 국제문화교류 영역 --102
    4-1. 국제문화교류 사업(활동)에 대한 전망 --104
    4-2.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하는 주된 이유 --105
    4-3. 축소될 것이라고 판단하는 주된 이유 --106
부록(설문지)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