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문화교실

    박물관 돌아보기

    1995년에 문을 연 직지성보박물관은 직지사를 중심으로 경북 북부지역인 김천, 상주, 문경, 예천 등지의 여러 절에 전해오는 불교문화재를 보존, 전시, 연구하는 불교전문 박물관입니다. 박물관에는 도리사 금동육각사리함(국보 제208호), 김룡사 사인비구 주조 동종(보물 제11-2호),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제319호), 한천사 출토 금동자물쇠와 청동반자(보물 제1141호), 예념미타도량참법(보물 제1241호), 백지금니금강보문발원합부 사경(보물 제1303호), 묘법연화경(보물 제1306호), 석조나한좌상(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16호)등의 지정문화재를 포함한 1600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 박물관 찾아가기   직지사는 서로 비슷한 건물이 많아 박물관 찾기가 쉽지 않네요. 직지사의 모습을 담은 그림을 살펴볼까요. 여러분이 일주문과 천왕문을 지나 만세루라는 이층으로 된 누각을 만나면 왼쪽 언덕길을 따라 걸어 올라오세요. 박물관이 보입니다. 이왕이면 만세루 다음에 있는 17세기에 세워진 대웅전과 그 앞에 서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삼층석탑을 보고 왼쪽 길을 따라 박물관을 찾아오면 더욱 좋겠죠?    ● 박물관에 도착했나요?     박물관 안에 들어가기 전에 잠깐만 기다려 보세요. 입구 위에 걸려있는 청풍료(淸風寮)라는 글자가 궁금하지 않나요? 청풍료는 이 건물의 옛 이름입니다. 1969년에 지어진 청풍료는 원래는 스님들이 공부하던 곳입니다. 그래서인지 박물관 안과 밖에 칠해진 단청이 예쁘면서도 점잖아 보이죠? 그리고 또 하나. 이 박물관의 정식 이름인 직지성보박물관에 대해 생각해보세요. 직지(直指)는 직지사라는 이름에서 따왔다는 것은 금방 알 수 있는데, 그럼 성보(聖寶)는 무슨 뜻일까요? 문화재란 우리 조상들이 남겨준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절에서는 이 문화재를 종교적인 의미가 담긴 성스러운 보물이라는 뜻에서 성보라고 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박물관 안에 어떤 유물이 전시되었는지 대충 그려 볼 수 있을 거예요.   ● 박물관의 전체 모습을 그려 볼까요?     먼저 박물관의 모양은 마치 전각 두 개를 붙여 놓은 것처럼 ㄱ자 모양을 하고 있군요. 지붕에는 흙을 구워 만든 기와가 올려져 있습니다. 지붕 아래는 예쁜 색으로 칠한 여러 모양의 나무가 블록 쌓기처럼 맞물려 있어요, 이는 기와가 올려진 무거운 지붕이 누르는 힘을 기둥이 나누어 받게 하는 공포입니다. 공포는 무섭다는 뜻이 아닙니다. 공포 아래는 건물을 든든하게 지탱해주는 기둥이 죽 서 있네요. 99칸 고래등같은 집이란 말이 있죠? 99칸은 99개의 건물이란 뜻일까요? 힌트, 칸이란 기둥과 기둥 사이를 일컫는 단위. 그러면 이제 알겠죠. 그러면 박물관은 몇 칸으로 되어 있는지 세어보세요.     ● 박물관의 마당에는?     마당에도 보아야 할 문화재가 많아요. 서있는 어린아이 같은 부처님, 앉아있는 부처님, 커다란 종, 석탑을 이루는 여러 조각들과 부처님이 앉는 좌대였거나 석등 받침으로 쓰였을 연꽃무늬 받침돌, 괘불이라는 커다란 부처님 그림을 걸 때 쓴 돌로 된 괘불대, 물고기·자라 등이 조각된 돌로 된 우물벽, 절에서 떡을 찔 때 썼던 큰 놋시루, 커다란 배처럼 보이는 물을 담았던 나무통 등등. 그리고 박물관 마당에는 조선시대 2대 임금인 정종의 태(胎)를 보관했던 태실(胎室)의 주변을 둘렀던 난간석이 있어요. 조선시대 왕가에서는 왕자나 공주가 태어나면 좋은 장소를 선택해 이들의 탯줄을 보관하는 태실을 만들었어요. 여러분이 한번 임금의 태가 묻힌 직지사의 주변 산세는 어떠한지 살펴보세요. 아참! 잊지 말고 박물관 뒷마당으로 돌아 가보세요. 마당 중앙에 서 있는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보물 제1186호)이 한눈에 들어 올 겁니다. 아래의 사진들은 모두 박물관 마당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입니다. 왼쪽부터 동해사 석조여래입상, 직지사 석조여래좌상, 직지사 괘불대, 정종 태실의 난간석, 청풍료 삼층석탑입니다.    

  • 어린이 문화교실

    장이방

    장이방은 우리 문화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알아보는 곳입니다. 현재 박물관에는 옛 책, 탱화, 탁본 등이 많이 전시되어있습니다. 어떻게 옛 책이 만들어지고 탱화가 그려지며 탁본은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옛 책을 만들어볼까요? 옛 책은 종이에 손으로 글씨를 직접 쓰는 방법과 글자를 새기거나 만들어서 종이에 찍어내는 방법으로 만듭니다. 글자를 찍는 방법은 나무판에 글자나 그림을 새기는 목판본과 한 두자씩 글자를 만들어 이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활자본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목판본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경판을 만들어 볼까요.       나무판 만들기 : 적당한 크기로 나무를 잘라 소금물에 담거나 쪄서 나무의 기름기[樹脂]를 뺀 뒤 말려야 나무가 뒤틀리거나 터지지 않습니다. 다듬기 : 글씨가 새겨지는 면을 고르게 하고, 판 양끝에 잡기 편하도록 마구리라는 손잡이를 끼워 줍니다.   줄긋기와 글씨쓰기 : 글씨를 바르게 새기기 위해 행마다 줄을 새기고 이것을 종이에 찍어 냅니다.이 종이를 가지고 줄에 맞추어 글씨 잘 쓰는 사람이 붓으로 내용을 씁니다.   글자 새김과 마무리 : 붓으로 쓴 글씨를 나무 판 위에 뒤집어 놓고 글씨는 새기는 기술자[刻 手]가 한자씩 새깁니다. 글자 새김이 끝나면 다시 한번 자세히 살펴 잘못된 곳을 고쳐 마무리를 합니다.     그럼, 이제 종이로 찍어 책을 엮어볼까요. 나무판 종이를 올려놓고 찍어내는 것을 인경(印經)이라 하고, 찍은 종이를 묶어 책으로 만드는 것을 장황(裝潢)라 합니다. 먼저 글자가 새겨진 나무판에 먹물을 묻힌 솔로 고르게 먹을 바르고 종이를 올리고 인제로 문지르면 한 장 완성. 다 찍은 후 종이를 반으로 접어 차례대로 합니다. 앞뒤에 능화판으로 찍은 예쁜 표지를 대고 책의 한쪽에 다섯 개의 구멍을 뚫고 붉은 끈으로 꿰매면 아름다운 우리 책이 만들어져요.       ● 탱화를 그리려면? 절에 가보면 각 건물마다 아름다운 그림이 걸려 있어요. 이것은 거는 그림이란 뜻에서 탱화(幀畵)라고 부릅니다. 탱화는 부처, 보살, 나한 등 앞에 모셔진 예배대상과 관련된 내용을 그립니다. 예를 들어 석가여래 뒤에 거는 그림은 석가여래후불탱이라 하며 석가모니불이 설법하는 모습을 그립니다.      그러면 탱화 그리는 순서를 살펴볼까요? 1.먼저 그리고자 하는 탱화의 밑그림인 초본(草本)을 그립니다. 2. 초본 위에 그림의 바탕이 되는 비단, 모시, 삼베 등을 놓고 다시 옮겨 그립니다. 3. 각 부분에 색을 칠합니다. 4. 그림이 완성되면 뒷면에 종이를 여러 장 덧대고 나무로 봉을 만들거나 틀에 짜서 그림을 붙여 걸 수 있게 합니다.   탱화 그리는 방법이 어려워 보이지 않죠? 옛 탱화는 모두 스님들이 그렸답니다. 10m 넘는 큰 그림인 괘불인 경우 20∼30명의 스님이 모여 그리기도 했어요.       ● 탁본을 해 볼까요?  종이 밑에 동전을 놓고 연필로 문질러 본적이 있나요? 탁본도 이와 비슷해요. 작은 차이는 한지와 물과 먹물과 솜방망이, 그리고 몇 가지의 도구를 사용한다는 것.      그럼, 탁본을 해볼까요. 1.글씨나 그림 위에 종이를 대고 살짝 물을 뿌려 종이가 표면에 붙도록 합니다. 2.종이에 들어간 부분과 나온 부분이 배기도록 솔로 종이를 두드려 줍니다. 3.종이가 적당히 마르면 솜방망이에 먹물을 골고루 묻히고 이를 가지고 표면을 두드려 줍니다. 먹물 색깔이 일정해야만 좋은 탁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종이가 너무 마르거나 축축해서도 안 되고, 두드리는 힘도 일정해야만 고르게 먹물이 스며듭니다.

  • 어린이 문화교실

    중요 문화재 들여다 보기

    박물관에는 불교조각, 불교회화, 불교 서적, 직지사 관련 자료 등 다양한 불교 문화재 100여점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 많은 유물 가운데 도리사 금동육각사리함(국보 제208호), 김룡사 사인비구 주조 동종(보물 제11-2호),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제319호), 한천사 출토 금동자물쇠와 청동반자(보물 제1141호), 예념미타도량참법(보물 제1241호), 백지금니금강보문발원합부사경(보물 제1303호), 묘법연화경(보물 제1306호) 등은 저희 박물관의 자랑거리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유물을 확인해보세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