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tial Arts in Life

생활무술
2003 다큐멘터리


승부(勝負)

 



경기 태권도 선수들의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승부의 세계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를 통해 들여다보고, 세계 최고수를 꿈꾸며 초등학교 시절부터 무술 수련에 온 몸을 던진 어린 선수들의 애환과 환희, 경기장 밖에서 벌어지는 감독들간의 치열한 기 싸움, 한국 태권도가 일본 가라테와의 경쟁에서 이긴 성공 신화 이면에 자리한 해외 태권도 사범들의 활약 등 경기 무술의 치열한 승부의 세계를 조명한


협(武俠)
 


마음공부를 위한 일상의 수련 체계로 자리 잡은 태극권과 사회 정의를 위한 참여적 활동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고 있는 매화장. 19세기 제국주의 침탈 속에서 전통무술 보급으로 서양에 맞선 손문, 곽원갑 등 상해 정무체육회 지도자들의 활동, 사회주의 혁명 이후 중국 정부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한 건강운동법과 경기무술 보급 실태, 이에 따른 중국 전통무술의 침체 현상 등 현대 중국 무술의 이면을 살펴본다


무사(武士)
 


주군에 대한 무조건적인 충성을 미덕으로 삼고 있는 사무라이 정신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에도 시대 이후 평화가 정착되면서 무사들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18세기 제국주의 침략에 대응한 하급 무사들의 명치유신, 같은 시기 청소년들에게 무사도 정신을 교육시키고자 일본 전통무술을 경기무술로 개편한 가노 치고로의 업적, 군국주의 시기 무사도 정신의 왜곡 현상 등을 통해 현대 일본 사회에 무사도 정신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 지 살펴본다



상생(相生)
 


폭력성으로 상징되는 무술도 쓰는 이의 마음에 따라 살법도 되고 활법도 되듯이, 무술 수련의 근본 목적을 대결과 경쟁에 두지 않고 상생과 조화를 강조해 온 한국 전통무예의 정신을 통해 현대인에게 적합한 무술 개념과 올바른 수련 방식을 모색한다

[유튜브 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