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42개의 기록물
  • 고병선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고병선의 구술인터뷰 중 승기천 물 위에 다리가 있었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다.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4386x2972
    #승기천 #고병선 #삽화 #추억 #드로잉
    생산일자 2019.12.00
  • 김갑성 김연수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김갑성, 김연수의 구술인터뷰 중 졸업식 때 밀가루 봉다리를 사서 밀가루 세례를 받고 승기천에서 닦아냈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 “애들이 졸업식을 하잖아요? 그러면 여자중학교 저기 남자중학교 잖아요? 그럼 졸업식 때 가. 가가지고 뭘 가져가냐면 그때는 밀가루가 귀했잖아요. 엄청 귀했어요 밀가루가. 그러면 밀가루를 사요. 봉다리 요만큼씩 사서 가가지고 졸업식날, 불러요. 부르면은 밀가루 세례를 받는 거예요. 밀가루 세례를 받으면 안털고 사진찍고 놀아요 같이. 거기서 밀가루 세례를 받고 같이 밥을 먹고, 승기천에서 그걸 다 닦아내는 거예요.”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4386x2974
    #김갑성 #김연수 #승기천 #드로잉 #삽화
    생산일자 2019.12.00
  • 김원균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김원균의 구술인터뷰 중 까치사거리에 개천 쪽에서 실내화를 신고 뛰어가다가 빠뜨려 잃어버렸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  "까치사거리에 개천이 있었지. 폭이 5m되고, 내가 쓰레빠 신고 뛰어가다가 쓰레빠 빠트려서 잃어버렸지."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4386x2974
    #김원균 #승기천 #추억 #드로잉 #삽화
    생산일자 2019.12.00
  • 김윤식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김윤식의 구술인터뷰 중 비를 맞고 학교에서 걸어오는데 그 모습을 본 노인네의 소리의 창피함을 느꼈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 "고등학교 되니까 파란색 비닐우산이 있었는데. 비를 맞고 학교에서 여기까지 걸어오는데 우산이 없으니까 속옷까지 다 젖었지 뭐야. 그런데 그 불편함보다숭의 깡시장 어떤 노인네가 “인중학생 비를 철철 맞고 가는 구나.”하는 소리가 어찌나 창피하던지"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4256x2823
    #김윤식 #승기천 #추억 #드로잉 #삽화
    생산일자 2019.12.00
  • 미추홀,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
    '승기천'은 수봉산에서 발원하여, 미추홀구를 가로질러 남동구, 연수구를 지나 황해로 흘러가는 하천으로 인천 도심을 관통하는 유일한 하천입니다. 그러나 60~80년도에 이르러, 도시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미추홀구 일대의 상류 구간이 토지정리구획사업으로 복개되어, 길과 도로의 아래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미추홀학산문화원은 주민들의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모아 기록으로 남기고자, 마을지 [ 미추홀,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숭의동에서부터, 토박이부터 이주민까지, 삶의 터전 혹은 놀이터였던 승기천에서의 다양한 기억과 추억을 실은 13명의 인생 이야기들을 담았습니다.   - [미추홀,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 발간사 중  
    #승기천 #생태 #구술 #기록 #환경 #기억 #미추홀살아지다
    생산일자 2019.12.30
  • 민후남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민후남의 구술인터뷰 중 수봉산 꼭대기에 올라가 돌봉숭아 물들였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  "저는 거기 꼭대기에 올라가거나 하면 고인돌 같은 돌들이 있었거든요. 거기에 누우면 습하니까, 수봉산이 좀 습해요. 그래서 돌봉숭아라고 있어요. 올라가서 조그만 돌을 집어서 물 좀 묻혀가지고 손톱에 문지르면손톱에 봉숭아물이 들어요."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960x645
    #민후남 #승기천 #추억 #드로잉 #삽화
    생산일자 2019.12.00
  • 박병상 승기천 구술사진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구술인터뷰시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일자: 2019년 10월 18일(금) • 사진크기: 1594x2055 • 사진장수: 1장 • 주요인물: 박병상
    생산일자 2019.10.18
  • 박병상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박병상의 구술인터뷰 중 겨울에 논이 얼어 그 위에서 스케이트를 탔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다. "겨울에 스케이트 타고 놀았어요. 겨울에 솜씨좋은 사람들이 논에얼음을 깨면 물이 늘 있었고, 그걸 퍼다가 죽 뿌려서 큰 링크를 만들었고 건장한 사람들이 스피드 스케이트를 타면 우리 같은 아이들은 뒤뚱거리며 가운데서 놀았지요."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4388x2976
    #박병상 #승기천 #추억 #드로잉 #삽화
    생산일자 2019.12.00
  • 박성희 승기천 구술사진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구술인터뷰시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일자: 2019년 10월 25일(금) • 사진크기: 1920x1080 • 사진장수: 1장 • 주요인물: 박성희
    #승기천 #구술 #사진 #박성희
    생산일자 2019.10.25
  • 박성희의 승기천 추억에 대한 드로잉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박성희의 구술인터뷰 중 개울다리에서 고기잡았다는 내용을 토대로 그린 삽화다. "여름에는 개울 다리 가서 수영이라는 개념보다는 물속에서 물놀이하고, 고기 잡으면 잡는 거구 그런 거지." • 생산일자: 2019년 12월 • 그림개수: 1점 • 그림크기: 4387x2975
    #박성희 #승기천 #추억 #드로잉 #삽화
    생산일자 2019.12.00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