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74개의 기록물
  • 2018 미추홀 살아지다1 '안녕? 신기촌 사람들'
    2018년 미추홀 살아지다 시리즈 '안녕? 신기촌 사람들' 도서이다. 신기촌은 1960년대 후반 동인천 지역의 재개발로 인해 갈 곳을 잃은 철거민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남구 주안동(현재 주안2,3,4,7,8동)으로 이주해 오면서 신기촌 마을이 형성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신기촌 인근의 신기시장은 1970년대 중반 도자기를 만드는 진흥요업 정문 앞에서 동네 아낙네들이 푸성귀를 팔면서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고, 1987년에 현대시장의 꼴을 갖추면서 지금은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미추홀구는 물론 인천광역시에서도 손꼽히는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 과정속에는 이 시기를 오롯이 살아내었던 주민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중심을 신기촌의 이야기를 담았다. - 자료조사 및 기록: 학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기획·엮음: 미추홀학산문화원 • 재질: 종이 • 크기: 154x210
    #신기촌 #신기시장 #마을지 #미추홀살아지다 #안녕신기촌사람들 #향토 #기록 #구술 #책 #도서
    생산일자 2018
  • 2021 미추홀 살아지다4 '미味추홀 : 바다를 담다'
    2021년 미추홀 살아지다 시리즈 '미味추홀 : 바다를 담다' 도서이다. 미추홀구의 음식을 기록하기 위해 5인의 학산 味미담식회 회원들이 모였다. 미추홀에서 쉬이 맛볼 수 있는 13개의 어종들의 맛을 담은 지역의 식당들에 방문하여 음식 한 술에 이야기 한 술을 더하는 과정으로 미추홀의 바다 음식을 담았다.   “토박이보다 이주하여 터전을 잡아 온 사람이 유난히 많은 인천은 그 음식의 빛깔 역시 다채롭기 그지없다. 강한 지역색을 표방하고 고수하기보다는 다양한 출신지의 사람들이 서로 어우러져 함께 가꿔온 것이 인천의 음식문화이다. 특히 인천에서도 역사가 깊은 미추홀구이기에, 미추홀구의 바다 음식에는 이러한 특색이 잘 녹아 있다.”   - 기획·엮음: 미추홀학산문화원 - 기록활동 : 학산 味미담식회 • 재질: 종이 • 크기: 152x210
    #기록 #마을지 #바다음식 #미추홀 #학산미담식회
    생산일자 2021.12.31
  • 2021 미추홀, 살아지다5 ‘미추홀 사람들은 이 맛을 안다’
    2022년 미추홀 살아지다 시리즈 ‘미추홀 사람들은 이 맛을 안다’ 도서이다.  미추홀 시민들이 만난 미추홀 한 끼 음식 이야기. 미추홀의 음식점 사장님, 음식으로 소문난 주민 등 다양한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기록단이 직접 인터뷰를 통해 생생히 담았다.   “미추홀시민기록단이 기록한 음식들은 전국 어디에서든 즐겨먹는 서민음식들이고 도시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것들이라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관심을 기울여 들여다보면 대도시라고 하는 보편성 위에 바다의 어획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는 미추홀의 지역적 특성이 녹취문 내용에 녹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기획·엮음: 미추홀학산문화원 - 기록활동 : 미추홀시민기록단 • 재질: 종이 • 크기: 152x210
    #기록 #도서 #마을지 #책 #시민기록 #미추홀살아지다 #시민기록단
    생산일자 2021.12.31
  • [마을영화] '재개발 제발!!'
    원인천의 중심 미추홀구, 마을의 옛 모습을 간직한 채로 살아가는 동네와 재개발이 시작되어 높은 건물이 들어서고 있는 동네 사이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주민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재개발과 주택과 관련된 주민들의 다양한 생각과 에피소드를 모아 미추홀구 주민들이 직접 주인공이 되어 재미있고 진솔한 마을영화를 만들었습니다.   -영상 제작 : 얄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마을영화 #지역 #기록 #재개발 #구도심
    생산일자 2015.12.31
  • [미추홀시민로드] 산업화 이후 미추홀의 경관 완벽정리
    [미추홀시민로드-역사를 거닐다]는 역사의 시대별, 분야별 개관을 통해 주민들이 보다 쉽게 미추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각 시대별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시민교양 강좌입니다.  탈산업화시대에서 미추홀구가 어떤 모습으로 개발되고, 이로 인해 경관이 어떻게 바뀌게 되었는지 알아봤습니다. 오늘날 미추홀의 경관은 1970년대 토지구획사업 등으로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곳곳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면서 끝없는 도시개발의 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도시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인천 #미추홀구 #도시개발 #강의요약 #미추홀시민로드 #시민로드 #미추홀 #산업화 #역사를 거닐다 #역사 #강좌
    생산일자 2020.09.24
  • [미추홀시민로드] 통계로 본 미추홀 완벽정리
    [미추홀시민로드-역사를 거닐다]는 역사의 시대별, 분야별 개관을 통해 주민들이 보다 쉽게 미추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각 시대별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시민교양 강좌입니다. 통계지표를 통해 인천의 개발정책 속 도시가 어떻게 변해오고 발전해 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도시개발로 인해 원주민이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거나, 지역 내 인구가 늘면,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늘고, 반대로 인구가 줄면 서비스업 종사인구도 같이 줄어드는 등의 다양한 현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지표를 통해 지역의 변화를 가늠해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도시는 어떤 방향을 향해 가야 할까요?
    #인천 #미추홀구 #통계지표 #개발정책 #미추홀시민로드 #시민로드 #강좌 #도시개발 #역사를 거닐다 #종사인구 #젠트리피케이션 #도시
    생산일자 2020.09.28
  • [판화] 동네, 살아지다
    <동네, 살아지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 3동 일부분이 재개발 지역이 됨에 따라 삶의 터전을 떠나야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살아왔던 동네, 그러나 곧 사라질 동네에 대한 아쉬움을 담아 여러 차례의 답사를 통해 사진으로 기록하고, 커뮤니티 판화 작업으로 동네와 동네사람들의 이미지를 아카이빙 하였습니다.  - 작품명 : 동네, 살아지다  - 작품크기 : 240cm X 120cm - 에디션 : 9(종이6/광목3) - 제작년도 : 2019 - 제작기법 : Wood cut(목판화) - 만든사람 : 김영신, 김현자, 남용란, 백목련, 유인숙, 윤진한, 전상미, 전수연, 한선화, 황미애 - 판화지도 : 윤종필, 윤언수 
    #동네 살아지다 #판화 #재개발 #주안동 #주안3동 #김영신
    생산일자 2019
  • 가연 바지락 고추장찌개
    가연식당의 바지락 고추장찌개를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 가연 (인천 동구) • 촬영일시 : 2022년 2월 20일 • 사진크기 : 5084x3278 • 사진장수 : 2장
    생산일자 2022.02.20
  • 가연 바지락쌈장
    가연식당의 바지락쌈장을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 가연 (인천 동구) • 촬영일시 : 2022년 2월 20일 • 사진크기 : 5084x3278 • 사진장수 : 1장
    생산일자 2022.02.20
  • 가연 주변 동양방직 일대
    가연식당 주변 동양방직 일대를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 가연 (인천 동구) • 촬영일시 : 2022년 2월 20일 • 사진크기 : 5084x3278 • 사진장수 : 15장
    생산일자 2022.02.20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