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783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도리사 금동육각사리함(桃李寺 金銅六角舍利函)

    이 사리함은 1977년 도리사의 석종형 사리탑에서 발견되었다. 육각을 기본으로 하여 여닫을 수 있어 뚜껑 구실을 하는 육모지붕 모양의 옥개, 여섯 면에 정교한 무늬가 들어 있는 탑신, 면마다 안상이 투각된 좌대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높이는 17cm, 밑면의 지름은 9.8cm이다. 지붕 모서리마다 귀꽃이 앙증맞게 솟았는데, 그 목에는 작은 고리가 하나씩 감겼고 처마에도 면마다 고리가 하나씩 달려 열두 개의 고리에 무언가 장식물이 매달려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에는 선각으로 제석천, 범천, 사천왕들을 새겼는데 그 선들이 거침없고 유려하게 흘러내리는가 하면 정교하고 치밀하여 매우 숙달된 장인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이제까지 발견된 사리함이 거의 사각을 기본으로 하는 데 반해, 이 사리함은 육각의 부도형이어서 신라시대의 부도연구나 목조건물의 양식 고찰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불상무늬 전돌

    돌을 깎아 벽돌처럼 만든 모전석(摸塼石)이다. 전돌의 전면에는 3행2자로 명문이 있고 그 사이에 2구의 불상이 감실처럼 깊게 들어간 공간에 조각되어 있다. 불상이라고 하기보다는 인물상에 가까우나 명문이 모두 부처를 뜻하고 있다. 불상은 두손을 모으고 결가부좌한 자세로 표현되었다. 왼쪽 측면에도 光자 명문이 있으나 아랫자는 결실되었다.

  • 고방사 아미타후불탱(高方寺 阿彌陀後佛幀)

    아미타신앙은 살아서는 수명장수(壽命長壽)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極樂往生)을 바라는 인간의 근원적인 소망이 표현된 신앙이다. 이 후불탱은 중앙에 설법인을 한 아미타여래가 앉아 있고 양옆으로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미륵보살, 제장애보살, 금강장보살 등 아미타 8대보살이 모여 있고 이들 주변으로 사천왕, 제석과 범천, 10대제자와 신중 등 군도형식을 이룬 아미타극락회상탱(阿彌陀極樂會上幀)이다. 존상은 무표정하고 엄숙한 얼굴을 하고 있으며 주존의 키형광배와 상단 하늘에 흰꽃무늬의 산화문은 17세기에 많이 보이는 방식이다.

  • 백지금니금강보문발원합부 사경
    (白紙金泥金剛普門發願合部 寫經)

    고려 공민왕 20년(1371)에 묘지(妙智)와 묘수(妙殊) 두 비구니의 시주로 제작된 사경이다. 절첩본으로 표지는 감지에 금은니로 그린 보상화문으로 장식하였다. 책머리에는 백지에 금니로 그린 여래삼존도와 수월관음도 등 2폭의 변상도가 있다. 경의 내용은 《금강경》,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 [발원문] 순으로 백지에 금니로 필사하였다. 《금강경》은 기원정사(祇園精舍)에서 석가가 수보리(須菩提)의 질문에 따라 반야사상을 설하는 경전이다.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은 관세음보살을 통해 갖가지 재앙으로부터 구제받는 내용과 관세음보살의 32가지 응신(應身)이 서술된 관음신앙의 대표적인 내용이다. 발원문은 당의 영가현각(永嘉玄覺: 665∼713)의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에 수록된 내용을 적었다.

  •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直指寺 石造藥師如來坐像)

    약사여래는 약사유리광여래 또는 대의왕불이라고도 한다. 동방 정유리 세계의 교주이며 과거에 12대원을 발하여 이 세상 사람들의 온갖 아픔을 고쳐 주시고 사람들이 오래 살도록 해 주시며 진리를 잘 실천하여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해 주시는 부처님이다. 이 약사여래상은 하나의 화강암에 광배를 같이 조각하였고 대좌는 현존하지 않는다. 얼굴에 비해 크게 솟아 나온 육계가 있고 얼굴은 마멸되었으나 전체윤곽으로 미루어 볼 때 풍만한 인상임을 느낄 수 있다. 목에는 삼도가 있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의 법의를 하고 있고 가슴은 넓고 완만하며 양감이 있다. 허리는 잘록하게 표현되고 팔은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인다. 결가부좌를 한 하체는 상체에 비해 빈약해 보이고 약함을 들고 있는 손은 조각에서 퇴화된 수법이 엿보인다. 광배는 배 모양으로 온 몸을 둘러싼 주형거신광이며 폭은 넓고 두광과 신광을 돋을새김한 선으로 구분하고 선의 안쪽에는 당초문을 선의 바깥쪽에는 화염문을 배치하였다. 두광의 정수리와 얼굴 양옆으로 화불 세 구가 조각되어 있다. 조각 양식과 약사신앙이 유행한 때를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후반인 9세기 경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직지사 완문(直指寺 完文)

    완문은 조선시대 관부(官府)나 궁방(宮房)에서 향교·서원·결사·촌·개인 등에 발급하는 문서로서 어떠한 사실의 확인 또는 권리나 특권의 인정을 위한 확인서, 인정서의 성격을 가진다. 특히, 직지사는 조선시대 정종 어태(御胎)와 어필(御筆)이 모셔지고, 세자궁(世子宮)을 위한 기도사찰로 왕실의 비호를 받았음으로 이 완문에는 왕실로부터 고선종대가람(古禪宗大伽藍)으로 인정받은 직지사에 부여되었던 여러 권리와 특권이 기록되어 있다.

  • 상원사 종-전체(上院寺 鐘)

    현재 전하는 한국종 중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맑고 아름다운 종소리와 정교한 무늬에서도 성덕대왕 신종과 더불어 국내 최상으로 손꼽히는 종이다. 천판 위로는 단룡單龍의 용뉴와 음통을 갖추고 있으며 몸체에는 상대와 하대, 상대와 연접한 연곽, 비천상 등을 갖추어 한국종의 독특한 특징과 형식을 잘 갖추고 있다.『영가지永嘉誌』에서는 이 종의 성음聲音이 웅장하여 백리 밖 멀리까지 들리는 명종이며 몸체가 단정장중하고 조각이 우미하면서 아담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종은 몸체의 2/3되는 배부분까지 서서히 불러오르다가 다시 종입구쪽으로 약간 오므라들면서 끝선을 수평으로 잘라 외곽선의 긴장미를 살리고 있다. 용뉴는 몸체에 비하여 매우 큰 편으로 타종에 놀란 듯한 큰 눈과 오똑 선 귀, 날카로운 뿔과 크게 벌린 입, 힘차게 천판을 딛고 선 발의 표현 등에서 생동감이 넘쳐 흐른다. 음통은 5개의 구역으로 나누었으며 연꽃무늬와 보상화무늬로 수놓았다. 상대는 동일한 지문판地紋板을 연속적으로 찍었다. 지문판은 중앙에 아래로 둥근 반원이 있는데, 이 반원권 무늬는 신라종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며 고려시대까지 이어진다. 반원은 테두리를 겹으로 둘렀는데 바깥 테두리에는 하트모양의 고사리무늬를 돌리고 안쪽 테두리에는 작은 능화꽃을 돌렸다. 이 반원 내부에 조그마한 주악비천 2구가 앉아서 왼쪽은 피리, 오른쪽은 쟁箏을 연주하고 있다. 하대도 상대와 유사한 형식인데 반원 내부에는 작은 주악비천이 4구가 있으며 각각 취악기, 피리, 장고, 비파를 연주하는 모습이다. 상대에 연접하여 사다리꼴 모양의 연곽이 4군데 있다. 연곽 내부에는 가로 세로 각 3개씩 총 9개의 연꽃봉오리를 도드라지게 주성하였다. 연곽은 좌·우·아래쪽에 각각 반원권을 하나씩 두고 그 안에 다시 비천을 새겨 매우 특징적이다. 연곽 아래쪽의 배 부분에는 비천과 당좌를 번갈아가며 새겼다. 당좌는 종의 앞과 뒤에 하나씩 있는데 무늬들이 가느다란 선으로 섬세하게 메워져 절도 있는 화려함을 보여주고 있다. 8잎의 연꽃잎에 구슬무늬띠를 돌려 마무리하고 바깥 구슬무늬 띠와의 사이에 가느다란 당초무늬를 채워넣었다. 비천은 종의 좌우에 있으며 2구가 한쌍이 되어 나란히 구름 위를 날며 악기를 연주하고 있다. 왼쪽의 비천은 커다란 공후를 끌어안고 연주하고 있으며 오른쪽의 비천은 생황을 불고 있는데 무게가 없는 듯 가벼워보이는 비천의 자세로부터 하늘로부터 하강하는 부드러운 동세가 느껴진다. 둘 다 나신인 상반신에는 영락을 드리웠고 팔과 허리 아래로는 얇은 천의를 걸쳤는데 영락과 천의들이 비천들의 몸을 휘감고 자연스럽게 하늘로 날리는 모습은 매우 유려하고 섬세하여 이 우아한 비천들의 자태를 잊을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천판에 명문이 음각되어 있어 개원開元 13년(725)에 주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종에 관해서는, 신라 성덕왕에 의하여 조성되어 산내 진여원眞如院(신라귀족 자제들의 교육원)에 봉안되었다는 기사가 『월정사약사月精寺略史』중에 등장하며, 그 후 조선 1468년 안동 누문에 있던 종을 상원사로 옮겼다는 기록이 『영가지』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그 전까지는 안동의 누각에 걸려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한천사 금동자물쇠(寒天寺 金銅開金)

    우리는 신라나 고려의 석탑 몸돌에 도드라지게 새겨진 다양한 자물쇠를 적잖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시대가 올라가는 자물쇠의 실물을 보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10세기 이전의 것으로는 국내에서 단 2점이 현존할 뿐이다. 이 금동자물쇠가 그 가운데 하나이고, 다른 하나는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특히 이 유물은 문양이 아름답고 의장이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자료로서 출토지가 분명한 유물이다.

  • 수다사 용두(水多寺 龍頭)

    용의 머리를 표현한 기와이지만 용이라기 보다는 소의 모습에 더 가깝다. 머리에는 3개의 뿔이 얼굴면과 직각으로 돋아있고 툭 튀어나온 눈에는 백자를 박아 잡귀의 접근을 막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귀 아래까지 나있는 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여의주가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특이하다. 용머리 아랫부분에는 반원형의 홈이 있고 정수리에는 원형의 홈이 있어 지붕 위에 얹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수다사 석가모니후불탱(水多寺 釋迦牟尼後佛幀)

    대웅전 주불(主佛) 뒤에 봉안하였던 후불탱으로, 석가여래의 설법장면을 그리고 있다. 화면 중앙에 자리한 석가여래는 왼손을 결가부좌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은 무릎 아래를 가리키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정수리로부터 상부로 퍼져나가는 광명은 부처의 설법이 시방세계를 비춤을 상징한다. 대좌 아래에는 연꽃봉오리를 든 문수보살과 만개한 연꽃을 든 보현보살이 서 있고, 위로 이름을 알 수 없는 6명의 보살이 좌우에 합장한 자세를 하고 있다. 좌우에는 비파, 검, 용과 여의주, 탑과 창 등의 지물을 든 사천왕이 외호하고 있다. 상단에는 제석천과 세 개의 눈을 지닌 범천이 양옆에 자리하고, 그 위로 다른 세계에서 온 부처, 가섭과 아난을 포함한 10대 제자, 신장(神將)들이 있다. 이 탱화는 적색과 녹색의 색 대비가 강해지고 채색이 짙어지는 18세기 불화 양식을 보이면서도 주존의 키형 광배, 천상을 표현한 밝은 색의 오색구름과 흰 꽃무늬의 산화문(散花紋) 등 17세기 불화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