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시청각류
  • 주제분류
    • 한류NOW
    • 해외통신원
    • 한류 조사연구 보고서
    • 포럼 · 세미나
  • 시기분류
    • 2000년대 (2)
      • 2000년~2004년
      • 2005년~2009년
    • 2010년대 (2)
      • 2015년~2019년
      • 2010년~2014년
    • 2020년대 (2)
      • 2020년~2024년
      • 2025년~2029년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level = 2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1 , index = 5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64개의 기록물
  • 제14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생산일자 2024.12.18
  • 제13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생산일자 2023.12.07
  • 제10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콘텐츠산업 및 국제문화교류 전문가들의 연간 핵심 한류 이슈 분석과 토론을 통해 민관산학연(民官産學硏)에 시의적절한 한류 관련 아젠다를 제시하고자 '제10차 한류NOW 정기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코로나19 시대의 신한류, 위기 혹은 기회'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한류와 문화콘텐츠, 국제문화교류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세미나 정보> ▶제목 : 제10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주제 : 코로나19 시대의 신한류, 위기 혹은 기회 ▶일시 : 2020.12.17.(목) 14:00~16:00PM ▶장소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oficeculture), 이벤터스(사전등록자에 한함) ▶ 세미나는 무료로 참가가 가능하며, 참가 신청은 이벤터스를 통해서 받습니다.    참가 신청 - https://event-us.kr/koficeresearch/event/25887 <프로그램 및 참가자> ▶제1부 : 코로나19가 이끈 신한류 제1발표: BTS, 케이팝을 뛰어넘다  (김영대, 음악평론가/에스노뮤지콜로지 박사) 제2발표: 코로나19 시대, 넷플릭스 드라마 한류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제3발표: 코로나와 백신의 시대, 그리고 한류공연계의 미래변화  (최항섭,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제4발표: 코로나와 한국영화, 위기와 희망  (김영진,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명지대학교 영화전공 교수) ▶제2부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한류, 위기를 기회로 토론: 발표 연사 4인/ 모더레이터
    생산일자 2020.12.17
  • 제11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콘텐츠산업 및 국제문화교류 전문가들의 연간 핵심 한류 이슈 분석과 토론을 통해 민관산학연(民官産學硏)에 시의적절한 한류 관련 아젠다를 제시하고자 '제11차 한류NOW 정기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오징어 게임>, 영상콘텐츠 산업과 IP'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한류와 문화콘텐츠, 국제문화교류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세미나 정보> ▶제목 : 제11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주제 : <오징어 게임>, 영상콘텐츠 산업과 IP ▶일시 : 2021.12.16.(목) 14:00~16:00PM ▶장소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oficeculture), 이벤터스(사전등록자에 한함) ▶ 세미나는 무료로 참가가 가능하며, 참가 신청은 이벤터스를 통해서 받습니다.   참가 신청 - https://event-us.kr/40103 <프로그램 및 참가자> ▶제1부 : <오징어 게임>과 영상콘텐츠 산업 제1발표: <오징어 게임>과 영상콘텐츠 산업의 변화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제2발표: IP 관련 법제와 영상콘텐츠 정책 동향 (김규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제2부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IP 활용과 정책 방안 모더레이터: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토론: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김규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김나리, 미디어인큐베이터오리 대표      배대식,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국장      임상혁,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생산일자 2021.12.16
  • 2014년 한류전략연구학술대회 자료집
    개회식 --5 한류 전략 연구 발표 --9   도쿄 신오쿠보 코리아타운과 신오쿠보 스타일 브랜드화 구축 방안(임영상 한국외국어대학교) --11   K-POP의 인도 진출 가능성 탐색(김미숙 상명대학교) --45   한류 문화컨텐츠 소비에 대한 촉진 및 저해요인의 비교문화적 분석: 중국과 일본 소비자를 중심으로(윤성준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73   지속가능한 한류를 위한 스테디셀링 문화콘텐츠 전략: K-Tour, K-Comics, K-Performance를 중심으로(박종천 고려대학교) --107 한류-일류 포럼 --167   한국 속의 일본문화, 그리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김선희 동국대학교) --169   일본의 캐릭터산업(박미나 애니메이션 콘텐츠 코디네이터) --179   식민지조선과 고시엔야구(甲子園野球)(오노 야스테루 교토대학교) --201   한-일 문화산업 해외진출 정책(채지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9   동아시아 자연학네트워크의 형선과 분열: 상어와 가오리 사례를 중심으로(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239
    생산일자 2014.10.14
  • 한류3.0위원회 3차 포럼
    서론: 빅데이터기반 한류3.0 분석 방법(인호 고려대학교 교수) --7 1 세션: Mining Minds -빅데이터, 욕망을 읽다-(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 --21 2 세션: 영어, 일본어, 중국어문화권에서 바라본 서울의 다양한 모습 -서울 관광객 리뷰 빅데이터 분석(강재우 고려대학교 교수) --31 결론: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한류(인호 고려대학교 교수) --41
    생산일자 2014.07.18
  • 한류3.0위원회 4차 포럼
    기조강연: 한류의 현장; 문화와 산업과의 소통(최광식 한류 3.0위원회 위원장) --7 제 1발표: 중국에서의 한류, 어디로 갈 것인가?(저우위보 인민일보 인민망 한국지국 대표) --21 제 2발표: 일본 한류의 미래(하시모토 히로코 ㈜Office HRK 대표) --27
    생산일자 2014.09.19
  • 한류3.0위원회 5차 포럼
    기조강연: 한류 빅데이터 센터 선립의 필요성(최광식 한류 3.0위원회 위원장) --7 발표: 한류 빅데이터 구축 설계와 프로세스(인호 고려대학교 교수) --23
    생산일자 2014.11.21
  • <한국 문화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방안> 세미나 자료집
    1주제: 국내외 문화산업의 글로벌 마케팅 전략 -미디어 기업을 중심(中心)으로-(이강복 문화산업포럼 대표) --5 2주제: 문화교류오서의 한류 : 현황 및 활성화 모색(김양래 아시아문화재단 사무처장) --33 3주제: 국내 문화산업 전문인력 확보방안 -<문화 예술 MBA> 프로그램-(김영수 숭실대 교수, 박준호 한양대 교수) --47
    생산일자 2005.05.25
  • 한류 융합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세미나
    인사말   박병석 국회의원 --7   정병국 국회의원 --9 발 제   1. 전병석 KOTRA 신사업지원실 실장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7   2. 윤현보 시그널 엔터테인먼트 부사장     『한류 방송콘텐츠와 융합한류』 --19   3. 김난희 아모레퍼시픽 상무     『K-Beauty 한류활용전략』 --23 토 론   박성현 교수(영산대학교 창조문화대학) --36   박종구 연구위원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광고산업연구소 ) --39   임은진 교수 (영동대학교 뷰티케어과) --42   남상현 팀장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조사연구팀) --45
    생산일자 2015.11.09
  • 제5차 한류나우 정기세미나 한류, 내일을 향한 도전과 기회
    01 개요 --03   1. 개최 목적   2. 세미나 개요 02 프로그램 --04 03 세션 1. 해외 통신원 한류 동향 보고 --05   미국 1. 박지윤 미국 통신원 -07   멕시코 2. 이상미 멕시코 통신원 --13   영국 3. 박미숙 영국 통신원 --21   호주 4. 김민하 호주 통신원 --29   중국 5. 손성욱 중국 통신원 --37   일본 6. 한도 치즈코 일본 통신원 --47 04 세션 2. 한류 핫이슈 집중 탐구 --57   1. 2015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 --59   2. [제1발표] K-Pop 다음은 웹콘텐츠 - KWEB FEST 2016 강영만 집행위원장 --83   3. [제2발표] 글로벌시장에서의 한류콘텐츠 보호 방안 - SBS콘텐츠허브 엄재용 실장 --99
    생산일자 2015.12.10
  • 2016 한류전망포럼 자료집
    정보 INFORMATION   1. 프로그램   2. 한류포럼장소 주제발표   1. " 2015년 결산과 2016년 전망" --01     박성현 (한류융복합연구소, 연구교수)   2. "2016년 힙합의 멋, 한국힙합의 미래" " --13     김봉현 (대중음악평론가)   3. "Webtoon as the next generation of K-wave! "" --19     김선희 (롤링스토리, 본부장)   4. "한국 패피와 창조경제" " --29     마이클허트 (작가, 부산외대 교수)   5. "새로운 한류 콘텐츠, 웹 드라마" " --41     박병환 (빅프로그, 총괄제작이사)   6. "2016년 웨딩한류 전망" " --53     남상현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팀장)
    생산일자 2016.01.27
  • '한류' 지속 발전을 위한 방송콘텐츠 활성화 방안 세미나 자료집
    개회사 정중헌 (한국방송비평학회 회장) 축사 곽영진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이사장), 강용식 (21세기 방송통신연구소 이사장) 사회 최양수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기조발언 '한류, 위기인가 기회인가?' 최창섭 (서강대 명예교수)   제1부(14:50~15:50)     제1주제 방송 한류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질문과 과제       발제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토론 하경헌 (스포츠경향 엔터팀 기자)     제2주제 <태양의 후예>를 계기로 본 한류 드라마 전략과 비평의 역할       발제 오명환 (방송평론가)       토론 배기형 (KBS 프로듀서)   휴식 (15:50~16:00)   제2부 (16:00~17:00)       제3주제 K-POP의 정체성, 그 시공적 변주를 탐색한다         발제 박장순 (홍익대 영상대학원 교수)         토론 김종국 (백석대 문화예술학부 교수)       제4주제 한류 방송콘텐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컨트롤타워 및 로드맵 구축 방안         발제 이상용 (한국방송비평학회 기획이사)         토론 유일기 (좋은방송포럼 대표)   제3부 (17:00~17:30) 종합토론     장한성 (한국방송인회 회장) 김기상 (한국전통문화예술진흥원 이사장)     주호성 (장나라 소속 연예기획사 라원문화 대표) 남상현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조사연구팀장)  
    생산일자 2016.09.08
  • 제4회 한류국제학술대회 자료집
    CONGRESS SUMMARY     Opening Speec --4     The 4th WAHS Essay/Article Contest,     The 1st Hallyu Video Contest Award Ceremony --5     The 4th World Congress for Hallyu --6     WAHS Directors --7     The Organizing Committee --9     Facts and Data --10   CONGRESS INFORMATION     Congress Venue --12     Registration --14     Congress Dinner --15   CONGRESS PROGRAM     Overview --18     Panel Details --20   ABSTRACTS     Abstracts --31
    생산일자 2019.09.26
  • 한한령의 원인과 대응 정책 공동세미나 자료집
    제 1 주제   한한령에 관한 오해와 진실     김재범(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예술대학 교수)       1. 한한령의 개념       2. 한한령의 원인       3. 한한령에 따른 손실/비용       4. 한한령 대응 전략 제 2 주제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문화불행, 그 너머 놀이 한류     심상민(성신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1. 한한령은 왜? : 경제괴물로 치닫는 동아시아 사회       2. 한류콘텐츠 리스크 경영 진단         1) 문화외교         2) 콘텐츠경쟁력         3) 클로벌 비지니스 모델         4) 미래 비전       3. 한류콘텐츠 대변환 모멘텀         1) 졸한류         2) 초국적성         3) 행복학       4. 결론 : 놀이 한류         1) 놀이 자본(play capital) 확충         2) 실리콘 드래곤 협업         3) 항 할리우드 협업         4) 아시아 디스커버리 공동사업         5) 신문화경제 새 전략: 게이미피케이션과 놀이한류
    생산일자 2017.04.05
  • 동남아 한류, 국제문화교류의 현재와 미래 컨퍼런스 자료집
    동남아 한류, 국제문화교류의 현재와 미래(Hallyu in Southeast Asia: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CONTENTS   Hallyu in Southeast Asia 2017 Session I   Panel 1. Global Hallyu     Construction of New Korean Wave: --10     how to understand hybridity in local popular culture     Dal Yong Jin (Simon Fraser University, Canada)   Panel 2. Korea-Indonesia     Mixing culture of Indonesia and Korea Kahfiati Kahdar (Institute Teknologi Bandung) --28     The Indonesia Cultural to Support Creative Economy Abdur Rohim Boy Berawi     (Deputy Chairman fo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Indonesian Agency for Creative Economy) Session Il   Panel 1. Korea-Thailand     The impact of Korea content industry(Movie, TV Series, Animation, Music, Food, & Fashion) to CMU students --34     Pitipong Yodmongkol (Chiangmai University)     Hallyu : The impact to Thiland --38     Sirisak Koshpasharin (National Cultural Committee, Ministry of Culture)   Panel 2. Korea-Myanmar     The Present and Future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46     Khin Kyi Pyar (The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Mandalay)     Myanmar-ROK Relations and Hallyu into Myanmar --62     Ni Ni Myint (The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Mandalay) Session Ill   Panel 1. Korea-Malaysia     K-POP Communities: Comparative Insights From Bangi To Pekanbaru --74     Badrul Hassan (National University of Malaysia)     Crossing Borders and Going Beyond --78     Paul Augustin (Director of Penang Island Jazz Festival)   Panel 2. Korea-Vietnam     Hallyu in Vietnam and Opportunity for Contents Market: --84     Case of Korean-and-Vietnam-made Film Projects     Hien Nguyen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Korea Contents on Vietnam Television --102     Pham Thanh Thuy (Vietnam Satellite Digital Television Company)
    생산일자 2017.08.23
  • 제11회 아시아 드라마 컨퍼런스(11th ASIAN TV DRAMA CONFERENCE) 자료집
    1.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이사장 개회사 --7 2. APT(전일본TV프로그램 방송제작사연맹) 이사장 인사말 --11 3. AIE(지역기업연합회 큐슈연계기구) 회장 인사말 --15 4. 후쿠오카현 지사 축사 --19 5. 후쿠오카 시장 축사 --23 6. 행사 개요 및 일정 --27 7.참가단체 소개 --39   1)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41   2) 문화체육관광부 --43   3) 한국방송작가협회 --44   4)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46   5) 후쿠오카현 --47   6) 후쿠오카시 --49   7) AIE(지역기업연합회 큐슈연계기구) --51   8) APT(전일본TV프로그램 방송제작사연맹) --53   9) 일본방송작가협회 --55   10)중국드라마제작산업협회 --57   11)북경TV예술가협회 --59   12)상해미디어그룹(SMG) --61   13)동양삼상미디어 --63   14)절강화책미디어 --65   15)소후 --69   16)허이그룹 (Youku Tudou Group) --71   17)MRTV --73   18)GMA 네트워크 --75   19)미디어콥 --77   20)브로드캐스트 타이 텔레비전 --79   21)베트남 TV TVAd --81 8. 참가자 소개 --83   1) 한국 참가자 --83   2) 일본 참가자 --129   3) 중국 참가자 --159   4) 미얀마 참가자 --179   5) 필리핀 참가자 --183   6) 싱가포르 참가자 --187   7) 태국 참가자 --191   8) 베트남 참가자 --195   9) 모더레이터 --199 9.  한국어 컨퍼런스 자료 --203 10. 일본어 컨퍼런스 자료 --245 11. 중국어 컨퍼런스 자료 --287 12. 영어 컨퍼런스 자료 --325
    생산일자 2016.11.21
  • 동아시아문화도시 2019 인천 심포지엄
    section 1 : 동아시아 생활문화 포럼   I 행사소개 --13     1. 행사개요     2. 행사추진배경 및 목적     3. 행사계획   II 발표자료     1. 한국사례 --25       - 한국의 생활문화 지원 정책         강윤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문화예술경영 전공주임 교수)     2. 중국사례 --53       - 중국 문화정책의 변화와 특징         권기영 (인천대학교 문화대학원 교수)     3. 일본사례 --67       - 일본의 시민문화활동 사례 『우타고에 합창운동을 중심으로』         야마다히로끼 (일본 '우타고에' 전국협의회 국제교류위원)   III 토론자료       - 한·일·중 생활문화 현황 비교와 향후 과제 --93         유상진 ((재)지역문화진흥원 문화사업부장) section 2 : 동아시아 문화도시 포럼   I 행사소개 --103     1. 행사개요     2. 행사추진배경 및 목적     3. 행사계획   II 발표자료     1. 한국사례       - 부산광역시 동아시아 문화도시 성과사례 --115         김태경 (부산광역시 주무관)       - 동아시아 시민의 행복을 위하여 --131         정정숙 (전주문화재단 대표이사)     2. 일본사례 --145       - 시민과 함께 추진하는 문화에 의한 거리만들기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9 도시마         오자와 코이치 (도시마구 국제문화 담당부장)       - 일본에 있어서의 동아시아 문화도시의 특징 --159         오시타 요시유키 (독립행정법인 국립미술관 이사)
    생산일자 2019.04.27
  • 한류문화대학원 심포지엄 한류스타와 공인의식
    세션1 버닝썬 사태의 원인과 구조적 문제 --7   발제 서병기 선임기자 (헤럴드경제)   토론 이명길 사무국장 (한국매니지먼트연합) 세션2 한류스타의 주변 환경과 심리분석 --15   발제 이수정 교수 (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토론 황동섭 이사 (연예제작자협회) 세션3 한류스타의 영향력과 공인의식 --25   발제 심상민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토론 안진용 기사 (문화일보 문화부)
    생산일자 2019.05.14
  • 제14회 아시아 드라마 컨퍼런스(14th ASIAN TV DRAMA CONFERENCE) 자료집
    제작자 세션   프로듀서가 작가에게: <킹덤>사례를 중심으로 --15     오승준 / 에이스토리 총괄 프로듀서   일본 드라마 제작사의 현황, 그리고 나아가야 할 미래 --22     누마타 미치쯔구 / 전일본TV방송제작사연맹 이사   5G시대, 터닝포인트에 서다 --35     유사오강 / 중국드라마제작산업협회 회장 작가 세션   인터넷 세대 - 온라인 특화, 시청자의 저령화, 형식의 다원화 추세 분석 --42     장연양 / 링처미디어 작가   해외로 진출한 나의 작품에 관하여 --51     고사와 료타 / 일본방송작가협회 작가   드라마 'SKY 캐슬' 기획에서 집필까지 --53     유현미 / 한국방송작가협회 이사
    생산일자 2019.09.04
  • 한국언론학회 2023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류를 지원하다, 넥스트 한류를 위한 노력
    발제 1: 한류 정책, 돌아보고 내다보기(김규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5 발제 2: KOFICE 20년, 의미와 과제(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3
    생산일자 2023.05.19
  • 한류 수용성과 문화 다양성의 이해 포럼
    세션 1: 한류와 문화다양성의 포괄적 이해 --3   1-1. 한류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과 새 도약을 위한 과제(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3   1-2. 케이팝과 문화다양성, 새로운 시대의 케이팝(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 국제학과 교수) --13   1-3. 게임 한류, 다영성으로의 전진(강신규 방송광고진흥공사) --27   사례발표: 한류에 대한 인식 및 자국 문화와의 이해와 교류 --37 세션 2: 한류 수용성 진단 : 장르와 현장을 중심으로 --39   2-1. 케이팝 산업 속 문화다양성: 현황과 전망(김윤하 대중음악 평론가) --39   2-2. 게임과 D&I(다양성&포용): 개념과 사례(이경진 스마일게이트) --55   2-3. 현지화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의 과제(장민진 아이유노 코리아) --63 종합토론: 한류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한류 정책의 지향점 --69
    생산일자 2024.04.23
  • 한국언론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류 플랫폼의 미디어적 특성과 팬덤 실천
    발제: 해외 한류 팬덤 커뮤니티의 빅데이터 분석 및 현지어 분석을 통한 한류 가치 담론 발굴(김한밀 아르스프락시아)
    생산일자 2024.05.10
  • 2013 세계문화교류포럼
    세션1. 한류의 창조적 가치   제1발표     [2013 K-Pop 트렌드와 한류지형의 변화 전망] --22     사 회 : 유진룡(카톨릭대학교 한류대학원 원장)     발 표 : 안석준(CJ E&M 음악사업부문 대표)     토 론 : 채지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실 실장)               이경희(YG 엔터테인먼트 본부장(이사))   제2발표     [한류자원의 창조적 활용 영역과 접근방법] --36     사 회 : 유진룡(카톨릭대학교 한류대학원 원장)     발 표 : 고정민(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토 론 : 송서욱(카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태식(KOTRA 지식서비스 사업단장) 세션2. 세계문화전문가가 바라본 글로벌 대중문화의 성립조건과 발전방안   기조강연     [글로벌 대중문화의 성립조건과 발전방안] --68     발 표 : 닉 파웰(영국국립영화학교(NFTS)총장)   심층토론     [글로벌 문화전문가 심층토론]     사 회 : 손지애(아리랑국제방송 CEO)     토 론 : 닉 파웰(영국국립영화학교(NFTS)총장)               파트리크 메슬랭(파리정치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플로린다 마테오(필리핀대학교 매스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다카시 기모토(유니버셜뮤직 재팬 부사장)               존 히라이(유튜브 재팬&코리아 음악총괄)
    생산일자 2013.01.31
    123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