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시청각류
  • 주제분류
    • 한류NOW
    • 해외통신원
    • 한류 조사연구 보고서
    • 포럼 · 세미나
  • 시기분류
    • 2000년대 (2)
      • 2000년~2004년
      • 2005년~2009년
    • 2010년대 (2)
      • 2015년~2019년
      • 2010년~2014년
    • 2020년대 (2)
      • 2020년~2024년
      • 2025년~2029년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level = 2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1 , index = 5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82개의 기록물
  • 제13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일시 2023. 12. 7. (목) 장소 더북컴퍼니 토브홀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 주제 : 한류, 경계를 넘어서: 딜레마와 과제 ▶ 일시 : 2023. 12. 7.(목) 오후 12:50~18:10 ▶ 링크 : youtu.be/DlTUZFgqfHA?si=Tuz3r4pCbjMlGrcj (클릭) <프로그램> ▶ [제1부] 'K' 없는 한류? : 한류의 본질과 미래 좌장 : 원용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 제 1발표 : 한류의 확장과 진화를 준비하기 위하여 -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제 2발표 : 케이팝 한류는 진짜 위기일까? - 권석정 카카오엔터테인먼트 PD 종합토론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홍경수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강보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 [제2부] OTT의 습격: 방송과 영화 경계의 와해 좌장 : 조영신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 제 3발표 : 영화와 시리즈의 기획 - 이상미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이사 제 4발표 : 피지컬100 제작기 - 장호기 넷플릭스 <피지컬: 100> PD 종합토론 장영엽 씨네21 대표 김경달 네오터치포인트 대표 유건식 KBS 시청자서비스부 박사 이수엽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 ▶ [제3부] 한류 < 교류: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일하는 방법 좌장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제 5발표 :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일하는 방법 - 하민호 맑은시네마 대표 PD 제 6발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프랑스 한류 현황과 대응 - 민지은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주임교수 종합토론 김명신 CJ ENM 글로벌사업본부 해외사업팀장 정연주 서울영상위원회 해외사업팀장 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생산일자 2023.12.07
  • 제12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개최일2022. 12. 15. (목) 장소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강의실1 주최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NEXT LEVEL 한류: 콘텐츠IP와 문화다양성 사이 ▶ 일시 : 2022.12.15.(목) 14:00~17:30PM ▶ 링크 : https://youtu.be/9riMpu0m54M <프로그램> ▶ 사회·진행 : 조영신(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 ▶ 제 1부 : 한류 콘텐츠에서 K-콘텐츠로, 문화다양성과 한류의 미래    제 1발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성공으로 본 K-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 - 한세민(에이스토리 사장)  토 론  이경진(스마일게이트 D&I실 실장)             노창희(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이현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선임연구원) ▶ 제 2부 : 콘텐츠 ‘IP’에 대한 남다른 고민, ‘1인치의 장벽’을 넘어서    제 2발표 OTT시대의 예능: 언스크립티드물로의 전환 - 김주형(스튜디오 가온(전 SBS) EP/PD)    제 3발표 콘텐츠 경쟁 시대의 현지화 전략 - 장민진(아이유노 그룹장)  토 론  황진우(썸씽스페셜 대표이사)             이수엽(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             김아영(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팀장) ▶ 제3부 : 4세대 아이돌과 케이팝의 재영토화    제4발표 케이팝 3.0과 4세대 아이돌 - 김영대(음악평론가)  토 론  김홍기(스페이스오디티 대표)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김장우(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선임연구원)
    생산일자 2022.12.15
  • 제11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개최일 2021.12.16.(목) 장소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koficeculture) 주최문화체육관광부 내용<세미나 개요> ▶ 주제 : <오징어 게임>, 영상콘텐츠 산업과 IP ▶ 일시 : 2021.12.16.(목) 14:00~16:00PM ▶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vV3FmFX7Hys&t=5024s <발표 및 토론자> ● 제1부 [오징어 게임>과 영상콘텐츠 산업])  ※제1발표 ‘오징어 게임>과 <지옥>이 보여준 영상콘텐츠 산업의 변화 발표 :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제2발표 ‘IP 생태계와 영상콘텐츠 관련 정책 동향’ 발표 : 김규찬(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 제2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IP 활용과 정책 방안] 진행: 심두보(성신여자대학교 교수) 토론: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김규찬(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김나리(미디어인큐베이터오리 대표)      배대식(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국장)      임상혁(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생산일자 2021.12.16
  • 제10차 한류NOW 정기 세미나
    개최일 2020.12.17.(화) 장소 CKL 기업지원센터, 온라인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세미나 개요>  ▶ 주제 : 코로나19 시대의 신한류, 위기 혹은 기회 ▶ 일시 : 2020년 12월 17일(화), 14:00~16:00 ▶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31lzIS1hh8k <발표 및 토론자>  ▶ 사회 : 최경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장) ● 제1부 [코로나19가 이끈 신한류] ※ 제1발표 'BTS, 케이팝을 넘어서다'    발표 : 김영대(음악평론가, 에스노뮤지콜로지 박사) ※ 제2발표 '코로나19 시대, 넷플릭스 드라마 한류'    발표 : 심두보(성신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제3발표 '코로나와 백신의 시대, 그리고 한류공연계의 미래변화'    발표 : 최항섭(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제4발표 '코로나와 한국영화, 위기와 희망'    발표 : 김영진(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명지대학교 교수) ● 제2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한류, 위기를 기회로]     진행 : 심두보(성신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토론 : 김영대(음악평론가, 에스노뮤지콜로지 박사)             심두보(성신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최항섭(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김영진(명지대학교 예술학부 교수/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생산일자 2020.12.17
  • 제14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제14차 한류 NOW 정기세미나: 2024 한류 레시피, 현재를 만들고 내일을 빚다 일시 2024. 12. 18. (수), 오후 13:00~17:40 장소 콘래스서울 스튜디오 1, 2, 3 주최/주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대주제 2024 한류 레시피, 현재를 만들고 내일을 빚다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jXvAd_MVt7k (클릭) <프로그램> ▶ 축사/개회사 축사 : 최보근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 개회사 : 박창식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원장 ▶ 오프닝 영상 오프닝 : 노마 히데키 일본국제교양대학교 객원교수, 원론> 저자 ▶ [제1부] OTT와 한류 빅데이터: 글로벌 한류 데이터는 어떻게 발굴하는가? 좌장 : 조영신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 제1발표 : 글로벌 콘텐츠 데이터 발굴하기 - 김기주 한국리서치 상무 제2발표 : AI기반 한류 빅데이터 대시보드로 본 한류 트렌드 - 김한밀 아르스프락시아 팀장 종합토론 곽영호 한터글로벌 대표 강혜원 성균관대학교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초빙교수 ▶ [제2부] 해외 한류 수용 진단, 그리고 <파묘> 좌장 : 장민지 경남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제3발표 :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발표 - 이현지 KOFICE 조사연구팀 선임연구원 제4발표 : 인도네시아 한류 수용 연구 중간발표 - 김아영 KOFICE 조사연구팀장 제5발표 : <파묘> 신드롬 집중 탐구 - 김영민 영화 <파묘> 제작자 종합토론 박소정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부경환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강사 ▶ [제3부] <흑백요리사>, 세계를 향한 레시피 좌장 : 문정훈 서울대학교 푸드비즈랩 교수 제6발표 : 셰프와 예능이 만났을 때 - 조은주 더치더스카이 총괄셰프 제7발표 : <흑백요리사> 제작노트 - 김은지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 스튜디오슬램 PD 종합토론 강보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박경진 중국전매대학교 박사과정 / 전 KOFICE 북경통신원
    생산일자 2024.12.27
  • 제14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영상
    제14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2024 한류 레시피: 현재를 만들고 내일을 빚다 주최·주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시공간적으로 급변하는 한류 환경 속에서 한국 콘텐츠의 확산과 수용, 미래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2024년 연말, 한류의 오늘을 진단하고 내일을 설계한 세미나 영상자료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본 영상은 행사 당일 스트리밍 이후 편집을 거쳐 KOFICE 유튜브 계정에 게재한 영상과 동일합니다. (영상 교체일자 : 2025년 1월 2일)
    생산일자 2024.12.27
  • 제13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영상
    제13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한류, 경계를 넘어서: 딜레마와 과제 주최·주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23년 한류의 활약상을 정리하고, 2024년 미래 한류를 전망하고자 '제13차 한류NOW 정기세미나'를 열었습니다. ‘K’ 없는 한류, OTT의 습격, 한류와 교류, 2024 프랑스 파리 올림픽까지 한류 논의에 있어 꼭 필요한 담론들이 오갔습니다. 한국 문화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생산일자 2024.02.01
  • 제12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영상
    제12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NEXT LEVEL 한류: 콘텐츠IP와 문화다양성 사이 주최·주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2022년은 다방면에서 이뤄진 K-콘텐츠의 저력을 통해 한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한 해였습니다. 그중에서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신드롬이 촉발한 문화다양성 이슈뿐만 아니라 케이팝의 재영토화, K-예능의 확장이 한류의 주된 키워드로 부상했습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22년 한류의 활약상을 정리하고, 2023년 K-콘텐츠의 확장을 위한 전략을 탐구하고자 '제12차 한류NOW 정기세미나'를 열었습니다. 다양성·K-예능의 언스크립티드화·현지화를 키워드로 총 세 개 세션을 진행했습니다. 한국 문화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
    생산일자 2023.01.11
  • 제11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영상
    2021년은 장기화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전 세계 문화콘텐츠 시장의 고전 속에서도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이 괄목할 만 한 성장을 기록한 해였습니다. 특히 올해 한국 드라마는 사상 최대 수출액을 기록했고, 10월에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오징어 게임"은 전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신한류 열풍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한국 영상콘텐츠 산업의 변화와 IP 활성화 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자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한류와 문화콘텐츠 산업, 국제문화교류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생산일자 2021.12.16
  • 제10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영상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언택트 시대가 가속화됨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문화생활이 보편화 된 해였습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전 세계적인 국경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 속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과 한류의 현황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변화와 기회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자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한류와 문화콘텐츠산업, 국제문화교류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생산일자 2020.12.17
  • 2012년 제1차 한류나우 정기세미나
    ‘한류나우 정기세미나’는 해당 분기에 발생한 국내외 한류 동향에 관한 정확한 정보 및 심층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정부  정책 수립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류문화 확산에 기여하고자 개최함 ▣ 일시 : 2012년 12월 17일(월) 14:00~17:30 ▣ 장소 : 한국저작권위원회 교육연수원(게이트웨이타워 16층) ▣ 주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 협력 영화진흥위원회, 한국관광공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  내용  ● 2차 해외 한류조사 결과 보고(박성현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박사)  ● 세션 1. 한류지역 집중 탐구    - 한중 수교 20주년에 보는 중국 내 한류 동향과 발전 방안(강만석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소장    - 일본 시장 한류 분석(김영덕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사무소 소장)  ● 세션 2. 한류 장르 집중 탐구    - 영화 한류의 경과와 미래 비전(박희성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조사팀 팀장)  ● 세션 3. 한류 비즈니스 집중 탐구    - 엔터테인먼트 기획사의 사업다각화 전략(김재범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생산일자 2013.01.14
  • 2017년 한류나우(Hallyu Now) - 7+8월호 vol.19(격월간 한류 심층 보고서)
    ■ 한류 몽타주   비주류의 반란, 인디음악에서 인디게임까지   Zoom 1. 인디콘텐츠 정책 현황과 해외 진출 지원 방안 모색   Zoom 2. 분야별 인디콘텐츠 집중탐구    2-1. 인디음악 20년, 정책 현황과 글로벌 진출 지원 방안    2-2. 영화한류의 새로운 키-카드, 독립영화의 도전과 전망    2-3. 인디포칼립스 시대, 인디게임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살려라   Zoom 3. 대한민국 비보이 실종사건  ■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Bigdata Review   인디게임의 확산과 성장 동력   1. 인디게임의 글로벌 버즈량 확대   2. 인디게임 확산의 주요 영향요인   Stock Inside   1. 1분기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7년 1분기 세부 섹터 별 주가분석   3. 1분기 엔터/레져 산업 주가에 대한 의견   Statistics Inside   1. 한류 - 제조업 분야   2. 한류 - 관광 분야   3. 한류 - 교육 분야  ■ 글로벌 한류동향   Asia - 중국 / 일본   Americas - 미국   Europe - 프랑스 / 독일 / 스페인   Mideast - 이란  ■ KOFICE NEWS   2017년 1분기   2017년 2분기
    생산일자 2017.07.14
  • 2017년 한류나우(Hallyu Now) - 9+10월호 vol.20(격월간 한류 심층 보고서)
    ■ 한류몽타주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IP(Intellectual Property) 확보 전략   Zoom 1. 한류 콘텐츠, 창작 IP로 한류 몽타주 전략을 펼쳐라   Zoom 2. 원천 스토리, 글로벌 콘텐츠 프랜차이즈 전략   Zoom 3. 글로벌 IP 확보를 위한 국가별 전략   Zoom 4. 한국 콘텐츠 해외 저작권 정책의 방향 ■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Bigdata Review   1. '콘텐츠 지적재산' 이슈 분석   2. 2017년 '콘텐츠 지적재산' 연관 핵심 키워드   Stock Inside   1. 2017년 2분기 주요 기업 주가 추이 분석   2. 2017년 2분기 세부 섹터 별 주가분석   3. 2017년 2분기 엔터/레저산업 주가 분석    Statistics Inside   1. 한류 - 제조업 분야   2. 한류 - 관광 분야   3. 한류 - 교육 분야 ■ 글로벌 한류동향   Asia - 중국 / 일본 / 인도네시아   Americas - 미국   Europe - 영국 / 독일 / 러시아   Mideast - 이란 ■ KOFICE NEWS    2017년 1~3분기
    생산일자 2017.09.08
  • 2017년 한류나우(Hallyu Now) - 11+12월호 vol.21(격월간 한류 심층 보고서)
    ■한류몽타주: 쌍방향 문화교류 시대의 한류를 말한다   Zoom 1. 쌍방향 문화교류 기반의 한류 정책   Zoom 2. 한류의 4대 딜레마     1.‘한류’ 상업주의가 가져온 한국 문화산업의 문제     2. 문화 개방에 대한 이중 잣대, 한류의 지속가능성     3. 혐한은 혐오 한국인가, 혐오 한류인가?     4. [Interview] 한류, 정부의 지원과 개입사이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Bigdata Review     한류 정책 이슈 정권별 언론 보도 분석  Stock Inside     1. 2017년 3분기 주요 기업 주가 추이 분석     2. 2017년 3분기 세부 섹터 별 주가분석     3. 2017년 3분기 엔터/레저산업 주가 총평  Statistics Inside     1. 한류 - 제조업 분야     2. 한류 - 관광 분야     3. 한류 - 교육 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중국 / 일본 / 인도네시아 / 필리핀  Americas-미국  Europe-독일 / 터키 / 폴란드 / 러시아 / 우크라이나  Oceania-호주 ■KOFICE news 2017년 1~4분기
    생산일자 2017.11.09
  • [한류나우 22호] 1+2월호 : 문학을 통한 한류 스펙트럼의 확장
    ■한류몽타주: 문학을 통한 한류 스펙트럼의 확장 Zoom 1. 한국문학 해외 소개 현황과 과제 Zoom 2. K-literature 미학 방향성을 위한 제언  1. 포스트 한류와 K-literature의 가능성을 위하여  2. 서구적 관점에 얽매인 한국문학의 가치평가를 경계하라 Zoom 3. K-literature 해외 진출 전략수립을 위한 이슈체크  1. 글로벌 출판시대,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2. 전문 출판에이전시 기능을 강화하라  3. 아시아 출판강국, 일본시장을 두드려라  4. 도약하는 웹소설 시장을 잡아라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Stock Inside  1. 2017년 11~12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7년 4분기 세부 섹터 별 주가분석  3. 2017년 11~12월 엔터/레저산업 주가 총평 ■글로벌 한류 동향 Asia-중국 / 일본 / 베트남 Americas-미국 / 파나마 Europe-독일 / 영국 / 터키 / 폴란드 / 헝가리 / 러시아 Mideast-이란 ■KOFICE news 2017년 4분기~2018년 1분기
    생산일자 2018.01.10
  • [한류나우 23호] 3+4월호 : 글로벌 동심 잡는 한류 키즈 콘텐츠
    ■한류몽타주: 글로벌 동심 잡는 한류 키즈 콘텐츠 Zoom 1. OTT에서 가상현실까지 키즈앱의 새바람 Zoom 2. 니하오! ‘캐리와 친구들’ 한국에서 아시아로 Zoom 3. 글로벌 또 하나의 한류, 한국의 애니메이션 Zoom 4. 지역소재 키즈 콘텐츠, 세계시장을 향해 날다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Stock Inside 1. 2018년 1~2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8년 1~2월 세부 섹터 별 주가분석 3. 2018년 1~2월 레저/엔터산업 주가 총평 Statistic Inside 1. 2017년 4분기 한류-제조업 분야 2. 2017년 4분기 한류-관광 분야 3. 2017년 4분기 한류-교육 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대만 / 홍콩 / 일본 Americas-미국 Europe-독일 / 스페인 / 터키 / 캐나다 / 영국 / 벨기에 Mideast-아랍에미리트 Oceania-호주 ■KOFICE news 2018년 1~2분기
    생산일자 2018.03.12
  • [한류나우 24호] 5+6월호 : 영화를 통한 국제 문화교류
    ■한류몽타주 : 영화를 통한 국제 문화교류 Zoom 1. 한국영상자료원, 고전 영화와 예술 영화로 만나는 세계문화 Zoom 2. 세계 여성영화의 허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Zoom 3. 영화를 활용한 기업 CSR 사업의 국제 문화교류 효과 Zoom 4. 영화진흥위원회, 산업성장을 견인하는 국제 교류사업 Zoom 5. 문화와 산업의 결합, 아시아 영화 리메이크 제작현황과 의미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브라질, 가능성은 충만하되 현실성은 여전히 숙제 Stock Inside 1. 2018년 3~4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8년 3~4월 세부 섹터 별 주가분석 3. 2018년 3~4월 레저/엔터산업 주가 총평 Statistic Inside 1. 2018년 1분기 한류-제조업 분야 2. 2018년 1분기 한류-관광 분야 3. 2018년 1분기 한류-교육 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중국 / 일본 / 베트남 / 몽골 Americas-미국 / 캐나다 Europe-독일 / 스페인 / 벨기에 / 헝가리 Oceania-호주 ■KOFICE news 2018년 1~2분기
    생산일자 2018.05.09
  • [한류나우 25호] 7+8월호 : 방송콘텐츠를 통한 국제 문화교류
    ■한류몽타주 : 방송콘텐츠를 통한 국제 문화교류 Zoom 1. 글로벌 문화교류의 확장, 방송콘텐츠 국제공동제작 Zoom 2. 함께 만들어가는 해외방송인 초청사업 Zoom 3. 일방적 한류를 넘어 포용의 한류로, 서울드라마어워즈 Zoom 4. 방송콘텐츠와 팬섭(Fansub) 문화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 러시아 한류 심층분석 1. ‘의리’ 중시 마케팅 전략으로 러시아에 뿌리내린 기업 한류 2. 자생성과 역동성으로 확장되어 가는 대중문화콘텐츠 3. 달아오르는 K뷰티와 연계사업의 성장 가능성 Stock Inside 1. 2018년 5~6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8년 5~6월 세부 섹터 별 주가 분석 3. 2018년 5~6월 엔터/레저 산업 주가 총평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중국 / 대만 / 일본 / 말레이시아 / 미얀마 Americas 미국 / 캐나다 / 칠레 Europe 러시아 / 스페인 / 독일 Mideast 아랍에미리트 ■KOFICE news 2018년 1~3분기
    생산일자 2018.07.06
  • [한류나우 26호] 9+10월호 : K팝을 통한 국제 문화교류
    ■한류몽타주 : K팝을 통한 국제 문화교류 Zoom 1. BTS, 달라진 세계와 음악 비즈니스 모델의 재구성 Zoom 2. K팝 팬문화의 글로벌 확산, 조공과 기부문화를 중심으로 Zoom 3. <프로듀스 101>, 한·중·일 문화 교류의 장(場)이 될 수 있을까? Zoom 4. 다국적 아이돌, 보다 입체적인 고민을 위해 Zoom 5. 한류의 증거는 가수가 아니라 팬이다,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 터키 한류 심층분석 1. 한국전쟁, 칸카르데쉬, 형제의 나라 2. 터키 한류의 시작과 성공의 주역, “한국 드라마” 3. 터키 한류에서 ‘K뷰티’의 급부상 및 지속적 성장세 전망 Stock Inside 1. 2018년 7~8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8년 7~8월 세부 섹터 별 주가 분석 3. 2018년 7~8월 엔터/레저 산업 주가 총평 Statistic Inside 1. 2018년 1분기 한류 : 제조업 분야 2. 2018년 1분기 한류 : 관광 분야 3. 2018년 1분기 한류 : 교육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중국 / 일본 / 태국 / 필리핀 Americas 미국 / 아르헨티나 Africa 남아프리카공화국 Europe 스페인 / 독일 Oceania 호주 ■KOFICE news 2018년 1~4분기
    생산일자 2018.09.10
  • [한류나우 27호] 11+12월호 : 연대하는 공연예술
    ■한류몽타주 : 연대하는 공연예술 Zoom 1. 공연예술 국제교류의 역사와 전망 Zoom 2. 공연예술 분야별 집중탐구  2-1. 춤추는 지구, '충돌'의 미학  2-2. 퓨전국악과 월드뮤직의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  2-3. 거리예술, 새로운 네트워크를 위한 제언 Zoom 3. [interview] 최석규 2017 2018 '한영 상호교류의 해' 예술감독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 태국 한류 심층분석 1. 태국, '한국은 우리에게 우호적인 국가' 2. 영화부터 음식까지, 태국 내 분야별 한류현황 분석 3. 태국 한류의 지속가능성, '긍정적' Stock Inside 1. 2018년 9~10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8년 9~10월 세부 섹터 별 주가 분석 Statistic Inside 1. 2018년 1분기 한류-제조업 분야 2. 2018년 1분기 한류-관광 분야 3. 2018년 1분기 한류-교육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대만 / 일본 / 인도 Americas 미국 Oceania 호주 Middle East 아랍에미리트 Europe 영국 ■KOFICE news 2018년 1~4분기
    생산일자 2018.11.09
  • [한류나우 28호] 1+2월호 : 디지털 시대의 한류콘텐츠 소비행태와 제작시스템 변화
    ■한류몽타주 : 디지털 시대의 한류콘텐츠 소비행태와 제작시스템 변화 Zoom 1. 미디어 소비행태 변화와 한류콘텐츠 Zoom 2. 방송콘텐츠 제작시스템 변화와 새로운 한류의 기회 Zoom 3. K팝 제작시스템 변화 : K팝의 양 날개 Zoom 4. 혼종성의 경계를 지나 디지털 시대의 '문화우세종'으로서의 한류로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 미국 한류 심층분석 1. 전쟁국가 이미지에서 미국인의 사랑을 받는 K팝의 나라로 2. K팝, 미국 내 한류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3. 방송한류, 미국 내 한류의 저변을 확대하다 4. K뷰티, K팝과 함께 도약하다 Stock Inside 1. 2018년 11~12월 주요 기업 주가추이 분석 2. 2018년 11~12월 세부 섹터 별 주가 분석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중국 / 일본 Americas 미국 Oceania 호주 Middle East 아랍에미리트 / 이란 Europe 독일 / 터키 / 영국 ■KOFICE news 2018년 4분기 - 2019년 1분기
    생산일자 2019.01.17
  • [한류나우 29호] 3+4월호 : '한류의 첨병' 아이돌 산업의 그림자
    ■한류몽타주 : '한류의 첨병' 아이돌 산업의 그림자 Zoom 1. K팝이라는 모순: 아이돌 음악과 다양성에 대한 고찰 Zoom 2. 팬덤 중심 시장의 폐해 Zoom 3. 연습생 제도와 불공정 계약이 초래하는 아이돌 인권문제 Zoom 4. 아이돌의 감정노동 '365일 24시간 연중무휴'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 일본 한류 심층분석 1. 한류와 혐한의 힘겨루기를 넘어 역동적 관계로 2. K팝, 일본 내 한류의 부활을 알리다 3. K푸드, 일본인의 입맛을 사로잡다 4. K뷰티, 소녀들의 즐거운 일상속으로 들어가다 Stock Inside 1. 2019년 1~2월 세부 업종별 주가 분석 2. 2019년 1~2월 엔터테인먼트/레저 산업 주가에 대한 의견 Statistic Inside 1. 2018년 4분기 한류 - 제조업 분야 2. 2018년 4분기 한류 - 관광 분야 3. 2018년 4분기 한류 - 교육 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중국 / 라오스 / 일본 Americas 미국 Europe 프랑스 / 벨기에 / 스페인 Oceania 호주 Middle East 이란 / 아랍에미리트(UAE) ■KOFICE news 2019년 1분기
    생산일자 2019.03.11
  • [한류나우 30호] 5+6월호 : 콘텐츠산업 불공정 관행과 개선 방안
    ■한류몽타주 : 콘텐츠산업 불공정 관행과 개선 방안 Zoom 1. 비틀어서 다시 보는 방송계 불공정 관행 Zoom 2. 지속가능한 K팝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Zoom 3. 영화계 불공정 관행 현황과 개선 방향 Zoom 4. 게임 개발자는 왜 21세기 소작농이 되었나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9 해외한류실태조사 : 중국 한류 심층분석 1. 한한령 이후, 중국 한류의 미래는? 2. K뷰티, 주링허우와 링링허우를 사로잡다 3. K드라마, 스토리로 인정받다 4. K푸드, K드라마와 함께 성장하다 Stock Inside 1. 2019년 3~4월 세부 업종별 주가 분석 2. 2019년 3~4월 엔터테인먼트/레저 산업 주가에 대한 의견 Statistic Inside 1. 2019년 1분기 한류 - 제조업 분야 2. 2019년 1분기 한류 - 관광 분야 3. 2019년 1분기 한류 - 교육 분야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인도 / 말레이시아 / 일본 Americas 미국 Europe 프랑스 / 영국 / 스페인 Oceania 호주 ■KOFICE news 2019년 1분기~2분기
    생산일자 2019.05.10
  • [한류나우 31호] 7+8월호 : 신남방정책과 한류
    ■한류몽타주 : 신남방정책과 한류 Zoom 1. 신남방정책과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 Zoom 2. 신남방정책과 ASEAN 지역의 한류  2-1. '상생 한류'와 베트남: 쌍방향을 넘어 다방향으로  2-2. '미디어 허브' 싱가포르: 동남아 한류의 견인차 Zoom 3. ASEAN과 한국, 쌍방향 문화교류 촉진을 위한 제언 ■통계로 본 한류스토리 2019 해외한류실태조사 : 인도네시아 한류 심층분석 1. 신남방정책과 기회요인으로서의 한류 2. K팝, 인도네시아 한류의 중심 3. 초고속통신망의 확산, 한류콘텐츠 향유를 확대하다 4. 한국 도서 소비의 증가, 한류의 지속적 발전에 대한 기대를 높이다 5. 문화적 다양성을 기대하며 Stock Inside 1. 2019년 5~6월 세부 업종별 주가 분석 2. 2019년 5~6월 엔터테인먼트/레저 산업 주가에 대한 의견  ■글로벌 한류 동향 Asia 중국 / 일본 / 라오스 Americas 미국 Europe 영국 / 프랑스 Oceania 호주 Mideast 이란 ■KOFICE news 2019년 1분기 - 3분기
    생산일자 2019.07.09
    1234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