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시청각류
  • 주제분류
    • 한류NOW
    • 해외통신원
    • 한류 조사연구 보고서
    • 포럼 · 세미나
  • 시기분류
    • 2000년대 (2)
      • 2000년~2004년
      • 2005년~2009년
    • 2010년대 (2)
      • 2015년~2019년
      • 2010년~2014년
    • 2020년대 (2)
      • 2020년~2024년
      • 2025년~2029년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4)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level = 2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 level = 1 , index = 5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72개의 기록물
  • 한국방송학회 2022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한류세션
    개최일 2022. 11. 12. (토) 장소 한림대학교 공학관 주최 한국방송학회, MBC,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한류 콘텐츠의 지형 변화와 새로운 문화의 방향 ▶ 일시 : 2022. 11. 12.(토) 오전 14:10~15:40 <프로그램> ▶ 사회 : 김경모 교수(연세대학교) ▶ 발제 한류, 문화다양성을 고민하다: 콘텐츠 제작자의 고민과 다양성 정책을 중심으로 - 이성민 교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종합토론 강신규 연구위원(한국방송광고공사) 윤복실 교수(서강대학교) 이동준 박사(창원대학교) 이현지 선임연구원(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영주 연구위원(EBS)
    생산일자 2022.11.12
  • 한국방송학회 2021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류세션
    개최일 2021. 6. 18. (금) 장소 여수 엑스포 컨벤션센터 주최 한국방송학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코로나19 이후 한류의 변화 및 발전 방향 ▶ 일시 : 2021. 6. 18.(금) <프로그램> ▶ 사회 : 이준웅 교수(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1부 발제: 퀄리티 텔레비전: 한류 담론의 확장 혹은 관점의 전환 - 김주옥 교수(Texas A&M International University) 종합토론 김신동(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심두보(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2부 발제 : 한류 연구의 지형 변화에 따른 학문적 성찰 - 진달용 교수(Simon Fraser University) 종합토론 손병우 교수(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김수철 교수(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생산일자 2021.06.18
  • 2021 KACA-KOFICE 학술대회
    개최일 2021. 8. 4. (수) 장소 미국(온라인)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한미커뮤니케이션학회(KACA)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AEJMC-KACA 한류 협력세션] K-컬처와 미디어 전략(K-culture and Media Strategy) ▶ 일시 : 2021. 8. 4.(수) 오후 7:00~10:00 <프로그램> ▶ 사회 : 박한나 교수(선문대학교) ▶ [패널 토론 세션]  제 1발표 : 한국 다큐멘터리 제작 과정과 해외 진출 - 이승준 영화감독 제 2발표 : 한류의 힙함과 과장의 현실(The Hip Hype Reality of the Korean Wave) -  Bernie Cho 회장(DFSB Kollective) ▶ [리서치 세션 1]  제 1발표 : 방탄소년단의 상업적 성공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안적 남성성, 시각적 재현, 그리고 불만(Critical Reflections on BTS's Commercial Success: Alternative Masculinity, Its Visuality, and Their Discontent) - 김구용 교수(Cheyney University of Pennsylvaia) 제 2발표 : 마케팅 한류: 국가 브랜딩과 한국의 팬데믹 공공외교(National Branding and South Korea's Pandemic Public Diplomacy) - 김헌식 교수, Seow Ting Lee 교수(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제 3발표 : 한국 만화의 세계적 독자 형성: 역류(contra-flow) 주류화의 역사적 조건(Finding Global Audiences for Korean Comics: Historical Factors for Mainstreaming a Contraflow) - 김낙호 교수(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Harrisburg) 제 4발표 : 전통적 품질 신호와 미디어 크라우드펀딩 성공 간 관계에서 기업가정향의 조절 효과(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tional Quality Signals and Media Crowdfunding Success) - 차지영 교수(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 [리서치 세션 2]  소셜 미디어 뉴스 소비와 정치·시사 학습의 관계: 이론적 틀 구축과 매개 기제 검증 제 1발표 : 소셜 미디어 뉴스 소비와 정치·시사 학습의 관계: 이론적 틀 구축과 매개 기제 검증(How Does News Consumption on Social Media Hinder Our Learning About Politics and Current Affairs? Providing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esting Underlying Mechanisms) - 이상원 교수(New Mexico State University) 제 2발표 : 미디어 다양성 층위 분석: 당파 다양성, 플랫폼 다양성, 그리고 이슈 태도(Explicating the Layers of Media Diversity: Partisan vs. Platform Diversity and Issue Attitudes) - 배수영 교수(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  
    생산일자 2021.08.04
  • 2022 KACA-KOFICE 학술대회
    개최일 2022. 10. 6. (목) 장소 온라인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한미커뮤니케이션학회(KACA)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초국적 미디어 환경의 한국학 연구와 한국 문화콘텐츠의 영향력과 가능성 ▶ 일시 : 2022. 10. 6.(목) 오후 7:30~10:30 <프로그램> ▶ 사회 : 신영주 교수(Arizona State University) ▶ [기조연설] 모더레이터 : 진달용 교수(Simon Fraser University) 창의성, 개발주의, 세계화: 한국과 일본 미디어 산업에 대한 국가 지원(Creativity, Developmentalism, and Globalization: State Support of the Media Industries in South Korea and Japan) - Nissim Otmazgin 교수(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 [리서치 세션] 모더레이터 : 김주옥 교수(Texas A&M International University) 제 1발표 : 초문화적 수용자 삶의 경험과 도전: 형성 과정의 시선(Lived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Transcultural Audiences in the Making) - 윤경 교수(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t Okanagan) 제 2발표 : 플랫폼화 시대 K-pop 팬덤의 이해: 캐나다 팬들의 스트리밍 플랫폼 참여 사례(Understanding K-pop Fandom in the Era of Platformisation: A Case Study of Canadian K-pop Fan Participation in Streaming Platforms) - 김태용 교수(Loughborough University) ▶ [리서치 그랜트 발표 세션] 모더레이터 : 김민지 교수(Flagler College) 제 1발표 : K-드라마 시청과 자아개념의 관계에 대한 탐구(Who is Watching K-dramas and Wh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pects of One's Self-concept and K-drama Watching) - Rachel Son(University of Florida) 제 2발표 : 'K-컬처' 재검토: K-딸들의 전복적 담론과 국가 리브랜딩(Questioning 'K-culture': Subversive Voices From K-daughters and Rebranding the Nation) - 김진숙 교수(Emory University) 제 3발표 : 반아시아 증오범죄 완화 전략: K-pop, 프레이밍, 아시아인 국적이 개인의 인식과 대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Mitigating Anti-Asian Hate Crime: Exploring the Role of K-pop, Framing, Individuals' Perception and Engagement Against the Hate Crime) - 김선우(Louisiana State University)
    생산일자 2022.10.06
  • 2024 KACA-KOFICE 학술대회
    개최일 2024. 11. 21. (목) 장소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즈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한미커뮤니케이션학회(KACA)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NCA-KACA 한류 협력세션] 한국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의 역동성: 글로벌 시장 전략과 문화적 연결성 ▶ 일시 : 2024. 11. 21.(목) 오후 2:30~3:45 <프로그램> ▶ 사회 : 김연수 교수(한미커뮤니케이션학회장,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기조연설] 한국 대중문화 속 퀴어 가시성과 퀴어 커뮤니케이션 연구(Queer Visibility in Korean Popular Culture and Queer Communication Studies.) - 권정민 교수(Portland State University) ▶ [리서치 세션] 제 1발표 : 글로벌 미디어 시장 속 한국 창작 노동자와 K-드라마 제작(Korean Creative Laborers and the Making of K-Dramas in the Global Media Market) - Benjanmin Han 교수(University of Georgia) 제 2발표 : ARMY vs. Swifties: 두 글로벌 팬 커뮤니티의 형성과 관계 구축(ARMY vs. Swifties: Community Construction and Relationship Cultivation of Two Successful Fan Communities)  - Chang Wan Woo 교수, Victoria Bertram 교수, Yufan "Sunny" Qin 교수, Kristen Okamoto 교수(James Madison University) 제 3발표 : 커뮤니케이션 관리 분야에서의 산업 4.0 준비도 측정(A Measurement for Readiness of Industry 4.0 in Communication Management) - Jeonghyun Janice Lee 교수(Louisiana State University) 제 4발표 : 한국전쟁 참전용사의 자긍심 고취: 가상현실을 통한 정신 건강 및 삶의 질 향상 가능성(Make Korean War Veterans Proud: How Virtual Reality can Improve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Jeonghyun Janice Lee 교수(Louisiana State University) 토론 : 김연수 교수(한미커뮤니케이션학회장,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생산일자 2024.11.21
  •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Untact in the Digital Age, Global VOD Consumption and Hallyu to the Next Level) 온라인 포럼 영상
      ■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 온라인 포럼 - 주제: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          (Untact in the Digital Age, Global VOD Consumption and Hallyu to the Next Level) - 일시: 2020년 9월 17일(목), 15:00~16:30 - 장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라이브 생중계          (https://www.youtube.com/user/koficeculture) -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인터넷기업협회   - 강연자 및 내용  1. 언택트 시대 VOD의 역할   - John Medeiros (AVIA Chief Policy Officer)  2. 글로벌 VOD 서비스의 한류 영향력 - 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3. 국내 영상콘텐츠 서비스의 VOD 전략과 성과   - 전범수 (한양대학교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4. 영상미디어 생태계를 위한 정책적 제언   - 류민호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
    생산일자 2020.09.17
  •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한류 동향 세미나 영상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한류 동향  - 일시: 2021년 11월 10일(수), 14:00~16:00 - 장소: 온라인(https://www.youtube.com/user/koficeculture) - 프로그램 제1부 빅데이터와 신한류 동향(발표) 발표 1. 한류 거대자료 수집 및 활용방안(채지영 연구위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발표 2.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한류 트렌드 (김흥선 전무·하창주 과장, 미소정보기술) 제2부 한류 빅데이터의 도전과 발전(토론) 채지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하창주 (미소정보기술 과장) 박종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연구위원) 현은정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김홍기 (Space Oddity 대표) 윤호기 (글림미디어 대표)
    생산일자 2021.11.10
  • 제14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생산일자 2024.12.18
  • 제13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생산일자 2023.12.07
  • 제10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콘텐츠산업 및 국제문화교류 전문가들의 연간 핵심 한류 이슈 분석과 토론을 통해 민관산학연(民官産學硏)에 시의적절한 한류 관련 아젠다를 제시하고자 '제10차 한류NOW 정기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코로나19 시대의 신한류, 위기 혹은 기회'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한류와 문화콘텐츠, 국제문화교류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세미나 정보> ▶제목 : 제10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주제 : 코로나19 시대의 신한류, 위기 혹은 기회 ▶일시 : 2020.12.17.(목) 14:00~16:00PM ▶장소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oficeculture), 이벤터스(사전등록자에 한함) ▶ 세미나는 무료로 참가가 가능하며, 참가 신청은 이벤터스를 통해서 받습니다.    참가 신청 - https://event-us.kr/koficeresearch/event/25887 <프로그램 및 참가자> ▶제1부 : 코로나19가 이끈 신한류 제1발표: BTS, 케이팝을 뛰어넘다  (김영대, 음악평론가/에스노뮤지콜로지 박사) 제2발표: 코로나19 시대, 넷플릭스 드라마 한류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제3발표: 코로나와 백신의 시대, 그리고 한류공연계의 미래변화  (최항섭,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제4발표: 코로나와 한국영화, 위기와 희망  (김영진,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명지대학교 영화전공 교수) ▶제2부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한류, 위기를 기회로 토론: 발표 연사 4인/ 모더레이터
    생산일자 2020.12.17
  • 제11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콘텐츠산업 및 국제문화교류 전문가들의 연간 핵심 한류 이슈 분석과 토론을 통해 민관산학연(民官産學硏)에 시의적절한 한류 관련 아젠다를 제시하고자 '제11차 한류NOW 정기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오징어 게임>, 영상콘텐츠 산업과 IP'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한류와 문화콘텐츠, 국제문화교류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세미나 정보> ▶제목 : 제11차 한류NOW 정기세미나 ▶주제 : <오징어 게임>, 영상콘텐츠 산업과 IP ▶일시 : 2021.12.16.(목) 14:00~16:00PM ▶장소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oficeculture), 이벤터스(사전등록자에 한함) ▶ 세미나는 무료로 참가가 가능하며, 참가 신청은 이벤터스를 통해서 받습니다.   참가 신청 - https://event-us.kr/40103 <프로그램 및 참가자> ▶제1부 : <오징어 게임>과 영상콘텐츠 산업 제1발표: <오징어 게임>과 영상콘텐츠 산업의 변화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제2발표: IP 관련 법제와 영상콘텐츠 정책 동향 (김규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제2부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IP 활용과 정책 방안 모더레이터: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토론: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김규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김나리, 미디어인큐베이터오리 대표      배대식,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국장      임상혁,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생산일자 2021.12.16
  • 한국언론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류세션
    한국언론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류세션 개최일 2024. 5. 10.(금) 장소 경주 화백컨벤션 주최 한국언론학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제 한류 플랫폼의 미디어적 특성과 팬덤 실천 <프로그램> ▶ 사회 : 이경숙 고려사이버대학교 교수 ▶ [기조연설] 해외 한류 팬덤 커뮤니티의 빅데이터 분석 및 현지어 분석을 통한 한류 가치 담론 발굴 - 김한밀 아르스프락시아 팀장 ▶ [종합토론] 박대민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신행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종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외래교수 ·임동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 연구원 ·장민지 경남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생산일자 2024.05.10
  •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Untact in the Digital Age, Global VOD Consumption and Hallyu to the Next Level) 온라인 포럼 자료집
    ■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 온라인 포럼 - 주제: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          (Untact in the Digital Age, Global VOD Consumption and Hallyu to the Next Level) - 일시: 2020년 9월 17일(목), 15:00~16:30 - 장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유튜브 라이브 생중계          (https://www.youtube.com/user/koficeculture) -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인터넷기업협회 - 강연자 및 내용  1. 언택트 시대 VOD의 역할   - John Medeiros (AVIA Chief Policy Officer)  2. 글로벌 VOD 서비스의 한류 영향력 - 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3. 국내 영상콘텐츠 서비스의 VOD 전략과 성과   - 전범수 (한양대학교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4. 영상미디어 생태계를 위한 정책적 제언   - 류민호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
    생산일자 2020.09.17
  •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한류 동향 세미나 자료집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한류 동향  - 일시: 2021년 11월 10일(수), 14:00~16:00 - 장소: 온라인(https://www.youtube.com/user/koficeculture) - 프로그램 제1부 빅데이터와 신한류 동향(발표) 발표 1. 한류 거대자료 수집 및 활용방안(채지영 연구위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발표 2.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한류 트렌드 (김흥선 전무·하창주 과장, 미소정보기술) 제2부 한류 빅데이터의 도전과 발전(토론) 채지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하창주 (미소정보기술 과장) 박종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연구위원) 현은정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김홍기 (Space Oddity 대표) 윤호기 (글림미디어 대표) ​​​
    생산일자 2021.12.02
  •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Untact in the Digital Age, Global VOD Consumption and Hallyu to the Next Level) 온라인 포럼
    개최일 2020.9.17.(목) 장소 세바시 목동 스튜디오, 온라인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한국인터넷기업협회(K-Internet)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세미나 개요>  ▶ 제목 : 언택트 시대, 글로벌 영상소비와 신한류(Untact in the Digital Age, Global VOD Consumption and Hallyu to the Next Level) 온라인포럼 ▶ 일시 : 2020년 9월 17일(목), 15:00~16:30 ▶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V5CptEZI-fs <발표자>  ▶사회 : 최경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조사연구팀장) ● 제1발표 '언택트 시대 VOD의 역할(VOD's Role in Age of Untact and Digital)'    발표 : John Medeiros(AVIA Chief Policy Officer) ● 제2발표 '글로벌 VOD 서비스의 한류 영향력-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Global VOD Service Impacts to Hallyu- Based on Netflix Case)'    발표 : 홍석경(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 제3발표 '국내 영상콘텐츠 서비스의 VOD 전략과 성과(Distribution Strategies of VOD Services and Their Performances)'    발표 : 전범수(한양대학교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 제4발표 '영상미디어 생태계를 위한 정책적 제언(Policy Recommendations for Media Ecosystem)'    발표 : 류민호(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
    생산일자 2020.09.17
  • 청년 트렌드와 한류
    개최일 2019년 10월 2일(수)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ECC 극장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행사명 : 청년 트렌드와 한류(Understanding Z-Generation: New Trends on Hallyu) ▶ 주제 : 전 세계 청년층(Z세대)의 한류 소비 트렌드 제1부 아시아 청년층의 한류 소비 트렌드 * 제1발표 일본 청년층의 케이팝 소비 트렌드  - 발표 : 김선희(소니뮤직 재팬 케이팝 사업고문) * 제2발표 OTT 세계, 어떻게 사로잡을 수 있을까  - 발표 : 헨리펑(Henry Fung, Viu 부사장)  - 토론 : 권석정(카카오 M PD), 김유창(한국웹툰산업협회장), 채지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제2부 전 세계 청년층의 콘텐츠 소비 트렌드 * 제3발표 2019년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키워드 5  - 발표 : 임희수(대학내일 20대연구소 책임연구원) * 제4발표 브라질의 한류 열풍  - 발표 : 카를로스고리토(Carlos Gorito, 주한브라질대사관 교육담당관)  - 토론 : 제상원(한국관광공사 해외사업팀장), 아타울라예바 사르비노즈(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김지연(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선임연구원)
    생산일자 2019.10.02
  • 동남아 한류, 국제 문화교류의 현재와 미래 컨퍼런스
    개최일 2017년 8월 23일(수) 장소 국립한글박물관 B1 대강당 주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내용[공식행사] 개회사 : 최진우(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 정치외교학과 교수) 환영사 : 곽영진(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이사장), 황상재(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축사 : 김상욱(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정책관), 김영선(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주제발표] 제1주제 : 글로벌 한류 사회 최진우(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 정치외교학과 교수) 발표 진달용(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패널 김상학(한양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제2주제 : 한-인도네시아 발표 압두르 로힘 보이 브라위(인도네시아 창조경제위원회 교육연구발전부 차관보) 발표 카피아티 까다(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교수) 패널 서지원(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제3주제 : 한-태국 발표 피티퐁 요드몽콜(치앙마이대학교 아트미디어&테크놀로지학과 교수) 발표 시리샥 코슈파샤린(태국영화 및 콘텐츠 협회 이사), 심두보(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패널 이진(CJ E&M 팀장), 이종임(중앙대학교 박사) 제4주제 : 한-미얀마 발표 더 낀 끼 빠(미얀마국립예술문화대학교 총장) 발표 니 니 미얀(미얀마국립예술문화대학교 교수) 패널: 김재하(서울예술대학교 디지털아트학과 교수) 제5주제 : 한-말레이시아 발표 바드럴 하산(말레이시아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과 교수) 발표 Paul Augustin(페낭 아일랜드 재즈 페스티벌 감독) 패널 김재범(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노광우(고려대학교 박사) 제6주제 : 한-베트남 발표 응웬 티 히엔(베트남 호치민대학교 사회과학&인류학 교수) 발표 팜 타잉 뚜이(Vietnam Satellite Digital Television Company, 저작권 변호사) 패널 하주용(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김일중(SBS 글로벌제작사업팀 프로듀서)
    생산일자 2017.08.23
  • '한류' 지속 발전을 위한 방송콘텐츠 활성화 방안 세미나
    개최일 2016년 9월 8일(목) 장소 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 주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한국방송비평학회, 21세기 방송통신연구소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제1부 제1주제: 방송 한류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질문과 과제    발제 – 전범수(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토론 – 하경헌(스포츠경향 엔터팀 기자) 제1부 제2주제: <태양의 후예>를 계기로 본 한류 드라마 전략과 비평의 역할    발제 – 오명환(방송평론가)    토론 – 배기형(KBS 프로듀서)        제2부 제3주제: K-Pop의 정체성, 그 시공적 변주를 탐색한다    발제 – 박장순(홍익대 영상대학원 교수)    토론 – 김종국(백석대 문화예술학부 교수) 제2부 제4주제: 한류 방송콘텐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컨트롤타워 및 로드맵 구축 방안    발제 – 이상용(한국방송비평학회 기획이사)    토론 – 유일기(좋은방송포럼 대표) 제3부: 종합토론    토론 – 장한성(한국방송인회 회장)             김기상(한국전통문화예술진흥원 이사장)             주호성(장나라 소속 연예기획사 라원문화 대표)             남상현(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조사연구팀장)
    생산일자 2016.09.08
  • 2015 대한민국 한류산업 리더스 포럼
    개최일 2015. 9. 17 - 11. 26 장소 반포 세빛섬, 솔빛섬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한류기획단,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내용 <2015 대한민국 한류산업 리더스 포럼 소개> ♠ 민-관‘컨버전스 한류사업’발굴 민간과 정부가 보유한 정보·경험·자원의 활용으로 기업과 한류의 지속성장 가능성을 제고하고, 콘텐츠 및 소비재 기업, 민·관 협력을 통해 글로벌 한류산업 동반진출 과제를 발굴합니다. ♠ 한류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CEO 문화 경영 역량 제고 CEO에게 요구되는 문화경영 트렌드에 대한 통찰력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한류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다차원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조직 외부의 ‘다면적 관계 강화’를 통해 인적자산을 확대하며, 기업&기업, 기업&정부 등 의사결정권자 및 정부 정책 입안자 간 소통과 융합의 쌍방향 네트워킹을 제공합니다. ♠ 국내 최고 파워 오피니언 리더와의 문화산업 정책 토론 문화콘텐츠 업계 최고경영자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한류기획단에 참여하는 국내 최고의 지성들과 문화산업 정책 토론을 진행합니다. 동시에 더욱 업그레이드 된 문화콘텐츠 산업 정책 개발, 최신 한류비즈니스 구현 방안을 모색합니다. ♠ 역동적 토론을 위한 ‘Paired Lectures’ 국내 글로벌기업 및 문화콘텐츠기업 CEO 간 교차 강의 및 수강을 통해 모두가 함께 배우고 가르치는 적극적 상호소통의 장을 제공합니다. 뿐만 아니라, 인재와 조직의 성장에 관한 공통의 고민을 갖고 있는 경영자들의 상호 토론을 통해 문화경영의 암묵지를 공유합니다. ♠ 문화콘텐츠산업 필드트립(Field Trip) 홀로그램 콘서트, 융복합 콘텐츠 시연 및 한류공연 관람 등을 통한 문화산업·예술 체험은 물론, 글로벌 콘텐츠기업 방문 및 성공경영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또한 한류 문화체험 필드트립을 통해 문화산업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2015 대한민국 한류산업 리더스 포럼 주제발표> ▣ Part 1. 현재와 미래, 세계속의 한류(공개포럼)  • 대한민국 한류산업 리더스 포럼 개회사 및 선포식(문화체육관광부 윤태용 문화콘텐츠산업실장)  • 축사 및 기조강연 : 한류 방송콘텐츠의 세계화 방안(한국방송협회 안광한 회장)  • 장르 융합형 비즈니스 플랫폼 전략(NAVER 김상헌 대표) ▣ Part 2. 기회와 도전, 한류 콘텐츠 성공전략(Paired Lectures)  • 콘텐츠 리더, 벽을 넘어야 별이 된다(아주대학교 주철환 교수)  • 전통문화와 한류(국악방송 채치성 사장)  • Purple People(이노디자인 김영세 회장)  • K-food 글로벌 전략과 시사점(CJ푸드빌 정문목 대표)  • 한류의 상상력, 그 가능성과 도전(세계한류학회 박길성 회장)  • 대한민국 영토, 콘텐츠로 넓힌다(한국콘텐츠진흥원 송성각 원장)  •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전략 :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사례(오라티오 나승연 대표)  • 평창올림픽과 한류 비지니스(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곽영진 사무총장) ▣ Part 3. 소통와 협업, 비즈니스 기반 구축(Paired Lectures)  • 우리의 뿌리를 찾아서.. :국가 브랜드 2.0시대(한국외국어대학교 김유경 부총장)  • 국가브랜드와 역사인식(한국학중앙연구원 이배용 원장)  • 마케팅 플랫폼의 의미와 과제(구글 유튜브 콘텐츠 파트너십 서황욱 총괄상무)  • 패션을 통한 한류의 글로벌화(이상봉 디자이너)  • Changing the world with beauty(아모레퍼시픽 김난희 상무)  • 세계 최고의 문화유산 - 내가 몰랐던 대한민국(한국의 정신과 문화 알리기회 송혜경 상임이사)  • Market과 Media 속의 콘텐츠 비즈니스(SM엔터테인먼트 김영민 대표) ▣ Part 4. 정책과 미래, 더 큰 도약을 위한 실천(예정) ▣ Part 5. 공감과 소통(공개포럼, 예정)
    생산일자 2015.11.26
  • 한류3.0 위원회 5차포럼
    개최일 2014년 11월 21일(금) 장소 콘텐츠코리아랩(홍익대 대학로캠퍼스 10층 컨퍼런스룸) 주최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기조강연 : 한류 빅데이터 센터 건립의 필요성(한류3.0위원회 최광식 위원장) ? 발표 : 한류 빅데이터 구축 설계와 프로세스(고려대학교 인호 교수) ? 종합토론 : 한류 빅데이터의 필요성, 한류 빅데이터 구축의 현실 가능성   ■사회 : 최광식 위원장   ■토론 : 김연성(HB엔터테인먼트 마케팅 이사), 주상식(SM엔터테인먼트 ICT Lab 팀장), 윤경훈(이랜드 상무)              송길영(다음소프트 부사장), 최현정(구글 인공지능팀 데이터 분석 연구원), 박종복(탑라이센싱 코리아 대표)
    생산일자 2014.11.21
  • 한류3.0 위원회 4차포럼
    개최일 2014년 9월 19일(금) 장소 콘텐츠코리아랩(홍익대 대학로캠퍼스 10층 컨퍼런스룸) 주최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기조강연 : 한류의 현장:문화와 산업과의 소통(한류3.0위원회 최광식위원장) • 제 1발표 : 중국에서의 한류, 어디로 갈 것인가?(인민일보 인민망 한국지국 대표 저우위보) • 제 2발표 : 일본 한류의 미래((주)Office HRK 대표 하시모토 히로코) • 종합토론 : 한류 3.0 개념 정립과 향후 위원회 사업 추진 방향 논의
    생산일자 2014.09.19
  • 한류3.0 위원회 3차포럼
    개최일 2014년 7월 18일(금)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국제화상회의실) 주최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환영사 • 서론 : 빅데이터기반 한류3.0 분석 방법 • 1세션 : Mining Minds - 빅데이터 , 욕망을 잃다. • 2세션 : 영어, 일본어, 중국어 문화권에서 바라본 서울의 다양한 모습 - 서울 관광객 리뷰 빅데이터 분석 • 결론 :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한류
    생산일자 2014.07.18
  • 한류3.0 위원회 2차포럼
    개최일 2014년 5월 16일(금) 장소 한국콘텐츠진흥원 DMS 12층 다목적홀 주최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환영사 : 한류3.0위원회 최광식 위원장 • 서 론 :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류 3.0S 소개(고려대학교 인호 교수) • 1세션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시장의 이해(다음소프트 권미경이사) • 2세션 : 빅데이터기반 문화검색기술(한류 신산업 창조의 관점) • 결론 : 한류 3.0S 전략과 이슈
    생산일자 2014.05.16
  • 2013세계문화교류포럼
    개최일 2013년 1월 31일(목) 장소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주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가톨릭대학교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내용  ▣ 주제 : 한류, 창조적 활용을 통한 글로벌 대중문화로의 발전 방안    • 세션 1 : 한류의 창조적 가치   발표1 – 2013 K-Pop 트렌드와 한류지형의 변화전망(안석준 CJ E&M 음악사업부문 대표)   발표2 – 한류자원의 창조적 활용 영역과 접근방법(고정민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 세션 2 – 세계문화전문가가 바라본 글로벌 대중문화의 성립조건과 발전방안     기조강연(닉파웰영국국립영화학교총장)
    생산일자 2013.01.31
    123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