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건이 검색되었습니다.
2024 서울 평생교육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 연구
2024.11.25
디지털 전환에 따른 다양한 평생교육 관련 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접근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 평생교육 지식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024 서울형 대학연계 평생교육 체계 강화 전략 수립 연구
2024.10.31
주요 국가의 대학연계 평생교육 운영 사례와 서울의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형 대학연계 평생교육의 특징과 기본 방향을 제시하며, 사업 재구조화 및 성과관리 개선 방안, 운영체계 개선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2024 서울시 평생교육정책 공급 및 수요 분석 연구
2024.10.31
2023년도에 개발된 지표를 활용하여 서울시 평생교육정책 공급 및 수요를 파악하고,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 있다.
2024 서울시 성인 진로교육 지원방안 연구
2024.11.04
법·제도적 변화에 따라 성인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서울시 성인 진로교육의 체계화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 서울시 평생교육 정책 공급 및 수요 조사 지표 개발 연구
2023.12.06
평생교육 정책 개선을 위해 정책 공급과 수요 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서울시 평생교육 정책 지형을 파악하고 서울에 특화된 지수와 지표 개발 및 정책 평가 등에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위한 연구내용이 수록된 기록이다.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 정책의 공급 및 수요 지형 파악을 위한 데이터 수집, 서울시 중장기 평생교육 2030의 정책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지표로의 활용, 서울시 지자체의 평생교육 정책 사업의 질 관리 및 수요 파악을 위한 지표에 참고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2023 서북권 서울시민대학 공간 활용방안 연구
2023.11.07
서울특별시 서북권 북아현동 일원의 재정비촉진구역 일대의 기부채납에 따른 서울시민대학 서남권캠퍼스 설립이 결정되자, 해당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공간활용 방안 마련을 통해 효율적인 건축계획 추진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연구보고서이다.
2023 서울 미래평생학습 연수체제 개발 연구
2023.10.25
서울 미래평생학습 인적자원을 규명하고, 그 역할과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서울 미래평생학습 연수체제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기록은 해당 연구의 결과로 생산된 연구보고서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서울미래평생학습 인적자원이 갖춰야 할 역할과 역량에 알맞은 연수체제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2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24년부터 2030년까지 향후 7년 간을 범위로 비정하고 있으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전역을 대상으로 한다.
2022 서울시민대학 종합계획(2023~2027) 수립 연구
2022.12.16
서울시민대학은 서울시민의 잠재력을 끌어내고 서울교육의 미래를 이끌어가면서 서울시 전체의 비전과 가치를 연계해야 하는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서울시민대학의 운영전략, 운영모형, 종합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한 연구 최종결과보고서이다.
2022 서울시민대학-대학 학점 연계형 평생교육 과정 개발 연구
2022.12.16
서울시민대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사이의 학점연계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제안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진행한 연구보고서이다. 서울시민대학 사업 운영현황 분석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서울시민대학과 대학 연계 전문역량 및 학위취득 과정 운영체제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다. 나아가 과정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 수립에 대한 부분도 구체적 계획으로 작성했다.
2022 제2기 성인 문해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연구
2022.11.18
제2기 서울시의 성인문해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보고서이다. 문해학습자와 문해교유 기관이 배우고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없는 환경을 조성하고, 서울시와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나아가 각 자치구가 공공정책기관으로서 문해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수행해야 할 중요한 우선 지원정책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