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민간아카이브 (6)
      • 시민단체
      • 지역공동체
      • 개인
      • 기업
      • 종교단체
      • 교육기관
    • 공공아카이브 (4)
      • 공기업
      • 지방자치단체 산하
      • 정부부처 산하
      • 국·공립대학 산하
    • 인권·복지 (5)
      • 노인복지
      • 동물복지
      • 페미니즘
      • 인종차별 반대
      • 아동·청소년
    • 사회 (8)
      • 공동체
      • 교육
      • 주거
      • 지역
      • 재난
      • 언론
      • 전쟁
      • 퍼블릭 데이터
    • 예술 (10)
      • 건축
      • 미술
      • 문학
      • 연극·뮤지컬
      • 무용
      • 음악
      • 사진
      • 국악
      • 디자인
      • 영화·애니메이션
    • 문화 (3)
      • 언어
      • 종교
      • 스포츠
    • 생활 (2)
      • 가족
      • 여행
    • 환경
    • 학술
    • 역사
    • 인물
    • 기업
    • 과학
    • 메타버스
    • 미분류
  • 시기분류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남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프리카
    • 아프리카 level = 1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level = 1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6 , provenance = 유럽
    • 유럽 (6)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영국
      • 영국
      • level = 2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러시아
      • 러시아
      • level = 2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일랜드
      • 아일랜드
      • level = 2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독일
      • 독일
      • level = 2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프랑스
      • 프랑스
      • level = 1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아시아
    • 아시아 (4)
        level = 2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중국
      • 중국
      • level = 2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level = 2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일본
      • 일본
      • level = 2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필리핀
      • 필리핀
      • level = 1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2)
        level = 2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국
      • 미국
      • level = 2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캐나다
      • 캐나다
      • level = 1 , index = 18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5개의 기록물
  • 모성사망 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하기 모성사망 아카이브는 산과 전문의가 줄어들고 분만 인프라가 붕괴되는 상황에서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모성사망은 급증할 것임을 알아챈 한국일보에서 모성사망의 발생 배경과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인터랙티브(Interactive) 형식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지난 11년간 출산 중 사망한 산모는 389명으로, 정보 접근이 가능한 103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유족이 의료진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 1심 판결 71건과 소송 중인 사건 3건,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서 중재 신청된 28건과 중도 취하 사건 1건을 조사했습니다. 초록색과 보라색으로 강조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세한 이야기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생산일자 2024.05.07
  • Jewish Women’s Archive
    아카이브 방문 "The Jewish Women's Archive는 유태인 여성의 특별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홍보하는 데 전념하는 국제 조직입니다. JWA는 우리 시대의 시급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틀로써 과거를 탐구합니다. 놀라운 역할 모델로 젊은이들에게 영감을 줍니다. 그리고 유대인 여성의 이야기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자신을 변화의 주체로 보도록 자극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유태인 여성에 대한 세계 최대의 정보 모음이며, 정보, 영감, 공동체 및 정체성을 찾기 위해 연간 300만명 이상의 방문자를 끌어들입니다. 여기에서 영감을 주는 여성들의 수천 가지 이야기를 탐험하는 것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JWA는 또한 공개 프로그램을 주최합니다. Rising Voices Fellowship을 통해 미래의 사고 리더를 양성합니다. 블로그, 팟캐스트 및 소셜미디어로 대화를 촉발합니다. 페미니스트와 유대교 분야에서 주도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출처: https://jwa.org/aboutjwa
    생산일자 1998
  • THE FEMINIST INSTITUTE
    아카이브 방문 "Feminist Institute(TFI)는 대중이 접근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 자료를 보존하고 디지털화하여 문화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기여를 기록하고 기념합니다. TFI는 더 완전한 진실을 반영하기 위해 문화 기록을 채워 정보 활동주의와 성평등을 촉진합니다.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직원은 기관, 페미니스트 크리에이터,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물리적 기록과 디지털 기록을 모두 포함하는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그런 다음 TFI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이러한 파트너십에서 디지털화된 자료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우리의 파트너십은 디지털 전시회, 이벤트, Alive in the Archive 비디오 시리즈 및 블로그를 포함한 프로그램에 연료를 공급합니다 . 우리는 젠더 소외된 개인과 조직의 문화에 대한 동등한 기여가 알려지고 인정되며 그들의 권리가 보호되는 미래를 상상합니다." 출처: https://www.thefeministinstitute.org/about
    생산일자 2016
  • 전쟁과여성인권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 "1930년대부터 1945년 패전하기까지 제국주의 일본은 체계적·조직적으로 ‘군위안소’를 설치하고 점령지 및 식민지 여성들을 강제로 연행하여 성폭력, 성착취, 폭행, 고문을 자행하고 살해했습니다. 살아남은 피해자들은 오랫동안 고통 속에서 침묵했지만, 1991년 8월 14일 김학순의 용기 있는 공개증언에 힘입어 세상 밖으로 나갈 결심을 하게 됩니다. 피해생존자들과 시민사회여성운동 단체들은 30년 넘게 일본의 진상규명, 범죄인정, 공식사죄, 법적배상, 책임자 처벌을 외쳐 왔습니다. 그러나 한일 양국 정부는 피해생존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극우 역사부정 세력은 그 목소리를 왜곡하며 역사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국가 주도의 제도적 ‘위안소’ 운영과 점령지 및 식민지 여성의 성노예화를 은폐하기 위해 패전 직후 관련 문서를 대량 소각했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도의 증거가 되는 자료를 가지고 있어도 공개하지 않습니다. 국가는 정권에 따라 언제든 입장을 바꿀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말하는 ‘국익’의 주체가 의심스러운 오늘날, 기록을 지켜내고 피해자들의 용기를 계승하는 일은 특히 중요해 보입니다. 일본군성노예제도에 관한 역사 자료 및 피해생존자들의 기록, 지난 30여 년 동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싸워 온 우리들의 기억과 기록은 다른 누구도 아닌 우리 자신의 손으로 제대로 정리하고 보존해야 합니다. 권력자들이 ‘국익’이란 명분으로 기록을 처분하거나 의도적으로 숨겨 역사가 지워지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됩니다. 정의기억연대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결성 30주년을 맞는 2020년 해외에 <김복동 센터>를 건립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진실을 알리고 피해자들이 겪은 고통이 반복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전쟁과여성인권아카이브 구축은 <김복동 센터> 건립 사업의 취지를 이어받아 추진되었습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외 시민들이 보내주신 <김복동 센터> 건립 후원금이 있었기에 첫발을 뗄 수 있었습니다. 문제 해결은 문제 인식과 인정에서 시작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권력’을 견제하는 우리의 연대가 끊임없이 성장해야 합니다. 전쟁과여성인권아카이브는 이를 위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와 해결운동의 역사를 전 세계 시민들의 기억에 심고 운동의 재생산을 모색하는 아카이브가 될 것입니다. 전쟁과여성인권아카이브는 정의기억연대가 소장하고 있는 역사 자료 및 피해생존자들의 기록,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 운동기록을 정리하고 다국적 언어로 서비스하는 동시에, 국내외 흩어진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기증받아 컬렉션을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카이브가 모은 기억과 기록이 국경과 물리적 거리를 넘어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 시민들에게 닿고 미래세대로 전해지길,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과 여성·인권·평화를 함께 외치고 역사부정과 왜곡에 맞서는 기억공동체를 이루길 기대합니다. 이 길에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잊지 않고 끊임없이 말하는 것, 그 말들이 모여 세상을 흔드는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는 것, 그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하고 싶은 말은 꼭 하고야 말 거요. 언제든지 하고야 말 거니까." (김학순의 말 중)" 출처: https://archives.womenandwar.net/about-01#
    생산일자 2023.07.03
  • 성평등아카이브
    성평등아카이브  http://www.genderarchive.or.kr/ 여성운동과 여성정책의 변화과정을 기록·보존·공유하는 소통형 디지털아카이브를 지향합니다. 활동사례집, 회의자료, 포스터, 소식지, 박물류, 메시지, 사진,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모든 순간을 기억하고 기록하고자 합니다. 성평등아카이브는 다양한 형태의 성평등 기록을 시민들이 보다 친근하게 만나고 쉽게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성평등 관점에서 과거를 재해석하고 시민들이 기증한 기록과 자료를 재구성하여 전시로 선보입니다. 누구나 참여하여 성평등 활동을 남길 수 있습니다.
    생산일자 2018
    1

DADA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