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들의 집단상담은 여러 가지 이유로 불가능해졌고, 십대여성인권센터의 심리 지원은 개별상담으로만 진행되었다. 상담은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1년 남짓 꾸준히 진행되었고, 필요에 따라 보호자(부모) 상담도 함께 병행해 그 효과를 높였다.
이 섹션의 작품들은 한 명의 내담자가 1년 남짓 개별 상담을 진행하며 작업한 작품들 중 일부를 선별한 것이다. 처음 ‘Before & After’의 4개 작품은 같은 주제로 상담 초기에 작업한 작품과 상담 후기에 작업한 작품을 함께 배치해, 긴 시간 꾸준한 상담과 관심이 어떻게 한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내담자는 상담을 받는 1년 남짓 자신의 이야기를 아무 편견 없이 들어줄 어른들, 지지그룹을 만났다. 특히 상담 기간 동안 부모(어머니) 상담을 병행하면서, 주 양육자의 신뢰가 더해졌을 때 상담의 효과가 훨씬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여 땅에 튼튼히 발을 딛고 있는 나무로 자신을 표현한 작품을 상담 종결 작품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 피해자가 생존자로 설 수 있을 때까지 우리 사회가 어떤 태도로 어떤 지원을 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풍경구성법(Landscape Montage Technique)은 풍경이라는 친숙한 주제로 접근성이 쉬워서 방어가 풀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색채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직면에 대한 심리적 에너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면적 인성검사와 풍경구성법을 함께 진행하면서 내담자들의 상황을 이해하며 필요한 프로그램에 대해 좀 더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할 수 있었다.
자기를 들여다보고 직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내담자 역시 그랬다. 책임지는 관계를 고민하기보다 ‘나에게 왜 이런 일이 생겼나’ 푸념을 많이 하였다. 그랬던 내담자가 조금씩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다. 그 변화는 엄마의 믿음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내담자의 마음의 지도에는 두 가지 만남이 있다. 하나는 자기 자신이고 하나는 엄마다. 엄마는 있는 그대로의 자녀를 만났고, 내담자도 현실의 있는 그대로 아팠던 자신과 지금의 자신을 만났다는 것. 이것이 중요하다.
남일량 예술심리치료사

Before LMT
Mixed media, 393x272mm, 2022

Before LMT
Mixed media, 39.3x272mm, 2022

Before 나의 나무
Mixed media, 272x393mm, 2022

After 나의 나무
Mixed media, 272x393mm, 2022

색과 모양을 통한 마음 표현
Mixed media, 393x272mm, 2022

대인관계 탐색
Mixed media, 393x272mm, 2022

난화 이야기를 통한 자기탐색
Mixed media, 393x272mm, 2022

꼴라쥬
Mixed media, 393x272mm, 2022

마지막 종결
Mixed media, 800x1000mm, 2022
건강한 나무로 자기를 인식할 수 있어서 행복한 종결을 할 수 있었다. ○○ 말대로 강한 바람은 불어오겠지만, 뿌리와 튼튼한 줄기를 믿고 잘 버티기를 바란다. 타인을 위해 마음을 열어주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멋진 꿈을 품은 ○○이 걸어가는 길에, 지금의, 축복의 길을 늘 기억하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