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의 연령이 현저히 낮아지고, IT 기술의 발달로 범죄의 공간이 개인의 방 안까지 확장되면서 피해 아동·청소년뿐 아니라 부모에 대한 심리 지원도 중요해졌다. 이번 섹션에서는 피해 아동·청소년과 부모가 자신의 몸을 감각하고 인식하고 표현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자신의 몸에 주의를 집중하고 스스로의 호흡과 신체감각을 느껴본다. 자신의 기억과 행동들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서를 느끼고 의미를 알아차리는 신체작업은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이다.
마음 속에 떠오르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이미지를 표현해보는 작업을 경험하며 지금-여기에서의 스스로의 상태와 신체상에 대한 이해를 가져본다.
김동심 예술심리치료사

아픈 곳이 많은 19살 청소년
Mixes media, 100x200cm, 2022

다시 태어나는 밝은 나
Mixes media, 100x200cm, 2022

눈을 감은 아이
Mixes media, 100x200cm, 2022

나의 몸 색깔
Mixes media, 100x200cm, 2022

이 세상 모든 부모들이여 힘내자
Mixes media, 100x200cm, 2022

열린 마음
Mixes media, 100x200cm, 2022
사랑이 가득한 마음의 문을 열고, 이 열린 마음으로 아이를 대하는 노력을 잘 표현하고 싶었다.

청바지를 입은 발레리나
Mixes media, 100x200cm, 2022

도약: 따뜻한 마음으로 새롭게 뛰어오르다
Mixes media, 100x200cm,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