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의 목소리를 들으며 이 땅의 아동·청소년들이 처한 폭력적인 일상을 느껴보길 바란다. 상처 입었지만, 끝내 발 딛고 일어서려 애쓰는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들의 마음을 관객들에게 전하려 한다. 거울에 비친 관객의 모습에 겹쳐진 피해 아동·청소년이 만든 수호천사인형은 묻는다.
“당신은 어디에 있습니까?”

부드럽고 따뜻한 양말을 이용하여 인형을 만드는 작업은 결핍된 애착관계의 재형성을 돕고 안전한 중간대상을 통해 관계의 회복을 경험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자신만의 인형을 만들고 바느질 작업을 통해 자신의 ‘내면 아이’를 위로하고 자신의 걱정을 모두 가져가거나 자신을 지켜주는 상징물을 만들었다. 부드러운 천의 느낌을 느끼며 위안을 받고 자신을 덮는 보호의 표현으로 스스로 치유할 수 있었고, 재료가 유연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 변화를 통해 자아를 투사하였다.
작업 과정에서 자아와 내면을 투사하고 혼란스러운 마음 안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것을 나열하여 스스로가 마음의 문을 열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바느질과 같이 반복되는 작업 안에서 실패하고 도전하며 완성되어가는 결과물을 보며 흥미를 느끼고, 성취감과 쾌감을 경험하며 스스로를 위로할 수 있었다.
김선영 예술심리치료사

Mixed media, 30x11x6cm, 2018

Mixed media, 30x11x10cm, 2018

Mixed media, 27x11x12cm, 2018

Mixed media, 30x11x8cm, 2018

Mixed media, 26x9x8.5cm, 2018

Mixed media, 17x10x8cm,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