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와 와카야마 인쇄소에서 제작 및 발행한 '대경성의 신풍경' 16장 사진그림엽서 세트 중 장충단 공원 모습을 담은 기록이다. 장충단(奬忠壇)은 본래 고종이 1900년 일본군과 맞서다 순국한 홍계훈 등의 장병을 기리기 위해 제단과 사당을 지어 배향했던 곳으로 대한제국을 위해 순국한 선열을 기리는 신성한 장소였다. 그러나 일제는 11909년 이등박문(伊藤博文)이 암살당하자 그를 추모하기 위한 전국민추도회를 장충단에서 개최하며, 순국선열을 기리는 장소의 의미를 훼손시켰다. 실제로 1932년 이등박문을 기리는 박문사를 건립하는 만행까지 자행했다. 본 사진그림엽서 속 언덕 위에는 박문사의 지붕이 보이는 관계로 1932년 박문사 건립 이후 성역화 작업이 이뤄진 공간을 기록한 자료로 보인다.
식별번호 | pparchive-02-00000045 |
---|---|
원본여부 | 원본 |
전자여부 | 비전자 |
검색어 | 장충단공원,장충단,박문사,이등박문,이토 히로부미,이토,히로부미,사진그림엽서,대정사진공업소,다이쇼,와카야마 인쇄소,와카야마,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대정사진공예소,사진공예소,대정 |
등록일자 | 2024.01.29 |
발행처 |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 |
---|---|
발행년월일 | 0000.00.00 | 저작권 |
![]() |
국내외 구분 | 국내 |
소장처 | 오건택 |
---|
형태분류 | 문서류 |
---|---|
출처분류 | 사제(私製) |
시기분류 | 大恐慌·民族抹殺統治(1930年代) |
주제분류 |
발행처 |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 |
---|